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It’s not a bag. It’s a Hermès.”
“You never actually own a Patek Philippe. You merely look after it for the next generation.”
돈으로는 이룰 수 없는 것들
돈으로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그러나 돈으로도 결코 할 수 없는 일이 있다. 거대한 자본을 들인다고 해서 에베레스트 정상에 누구나 오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값비싼 장비와 코치를 동원해도, 올림픽 금메달이 보장되진 않는다. 예술 역시 마찬가지다. 작품이 ‘명품’이 되는 결정적 구도와 감동의 완성도는 자본만으로는 결코 이룰 수 없다. 누군가에게 감동을 주는 작품, 시대를 초월해 남는 창작물은 기획서나 예산표 위에서 태어나지 않는다.
명품 브랜드의 카피들이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건 하나다. “이건 단순한 가방이 아니라 에르메스다.” 혹은 “당신은 파텍 필립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세대를 위해 보살피는 것이다.” 이 문장들 속에는 시간, 철학, 그리고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이 깃들어 있다. 예술 또한 그래야 한다.
자유와 시간의 축적, 케이클래식의 철학
명품이란 결국 ‘시간이 만든 예술’이다. 기술과 자본이 아니라, 진정성과 내면의 연륜이 축적되어 빚어진다. 돈이 없지만 자유가 있고, 시간과 사유가 주어진 예술가는 그 자체로 창조의 씨앗을 지닌다. 케이클래식(K-Classic)은 그런 예술의 손맛과 내공을 중시한다. 단지 화려함과 스펙터클을 추구하지 않는다. ‘보여지는 것’보다 ‘들려지는 것’을, ‘효율’보다 ‘깊이’를 택한다. 한국 고유의 절제된 미학, 여백의 미, 삶에 스며든 정서가 음악 속에 녹아들 때, 그 작품은 시대를 초월해 감동할 수 있다.
공공을 넘어선 감동의 밀도
케이클래식이 지향하는 ‘명품 예술’은 단순한 공공재가 아니다. 그것은 공동체를 위한 것이되, 그 울림이 개인의 내면에 깊이 박히는 작품이다.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주어지되, 각자에게 고유한 의미로 남는 것.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명품이다. 자유롭지만 치열한 시간, 자본을 초월한 진정성, 그리고 공공을 넘어서는 감동의 밀도. 이것이 우리가 찾는 ‘그 다음 것’이며, 그것이 바로 케이클래식이 명품을 지향하는 이유다.
케이클래식은 선언한다.
“이건 단순한 공연이 아니다. 이건, 케이클래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