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Column

전체기사 보기
Column

[탁계석 칼럼] 창작의 시장 지배력을 높이려면

K클래식은 세계 음악 지도에 한국 창작의 좌표를 찍는 작업

탁계석 회장 기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순수 클래식 음악은 구조적으로 시장성이 약하다. 상품으로서 소비자인 관객과의 관계가 느슨하기 때문이다. 특히 창작 음악은 이 관계가 더욱 희박하다. 개인 아티스트들은 대중적 홍보에 어려움을 겪고, 이로 인해 대중과의 접점이 극히 제한된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조성진, 임윤찬과 같은 슈퍼 아티스트 몇 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연주자들은 자기 자본을 투입해 연주회를 열고, 그마저도 지속하기 어렵다. 창작 음악의 경우는 상황이 더욱 열악하다. 개인 작곡가의 작품을 연주하는 전문 단체가 거의 없고, 있어도 단발성에 그친다. 연주자는 익숙한 고전 레퍼토리에 집중하고, 기획자는 안정적인 티켓 판매를 원한다. 결과적으로 창작은 시장에서 철저히 고립된다. 대중음악과의 비교는 무의미할 정도다. 그러나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일부 국가들은 창작음악에 대한 청중 기반과 정책적 뒷받침이 존재한다. 프랑스는 IRCAM(현대음악연구소)을 중심으로 창작과 기술을 결합한 현대음악 창작을 적극 지원하며, 국립오페라극장 및 주요 관현악단들이 정기적으로 프랑스 작곡가의 신작을 위촉하고 연주한다. 독일은 'Kulturför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