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마스터피스가 풀어야 할 과제 2] 진정한 거장(巨匠)은 역사에 한 획을 그어야 한다

주말 등산이 아니라 에베레스트봉에 오르는 K클래식 명작을

[마스터피스가 풀어야 할 과제 2] 진정한 거장(巨匠)은 역사에 한 획을 그어야 한다

K-Classic News GS, 회장 | 우리 작곡가의 작품 중 외국 아티스트 누가 연주를 하는가? 하루에도 수백 수천 곳에서 연주회가 열린다.크고 작은 규모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르의 음악회다. 그 대부분은 등산으로 말하자면 주말 등산 같은 것들이고, 게중에는 조금 높은 산에 오르는 경우도 있고 아주 정상급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 수요자보다 공급자가 훨씬 많은 것은 틀림없다. 따라서 관점을 국내에만 두지 말고 세계 시장에 둔다면 차별성이 생길 것 같다. 우리 작곡가의 작품 중 어느 곡이 세계의 연주가들이 스스로 작품을 찾아서 연주할까? 그런 경우를 찾을수 있을까? 아마도 현재로선 거의 없을 것 같다. 아직 그 단계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세계의 명곡들은 우리 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연주가들이 악보를 통해서 연주하고 있는데, 이 기준에서 보면 얼마나 뒤떨어져 있는가. 이같은 생각조차 못해 본 해방이후의 성장 과정이고 현대화다. 바야흐로 K 콘텐츠 시대가 열리고 있다. 우리의 위상이 높아져 생겨난 신개척의 땅이다. 그 초석을 놓으려는 게 K-Classic 이다. 악보 개발이 필요하다. 출판을 통해서 연주자들이 연주를 하고, 연주가들에게 당근(인센티브)를 주면서 홍보해 나가는 방법을 생각해 볼수 있다. 때문에 좋은 작품을 위해 기량의 연주가들이 나서야 한다. 국악은 우리가 하고 서양 악기는 외국인이 하는게 연비가 좋다. (ㅎㅎ~) 실로 밤하늘의 별 만큼이나 많은 수없이 많은 서양 레퍼터리를 가져와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해온, 하고 있는 방식 이지만, 앞으로 나아가려면 창작이다. 그 창작이 보편성과 설득력이 있는 균형감이 필요하다. 신기한 것, 기법의 탁월성, 놀라운 음향도 좋지만 누구나 연주하고 싶다는 욕망을 충족시키는 상품성이 중요하다. 아카데미 카테고리 안에서야 어떤 실험도 가능하지만 대중과 만나는 장소에서는 상품으로서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피아졸라처럼 모두가 공유하는 명곡을 굳이 근자의 예를 들자면 피아졸라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작품을 보면 연주가가 순간적으로 감흥이 솟아나야 한다. 마치 프로 선수들이 필드에 나왔을 때의 느낌과 같을지 모른다. 이것이 마스터피스를 하면서 부여받은 과제이자 소득이다. 명작을 만드는 것, 그리해서 한 획을 긋는 것, 시대의 거장(巨匠)만이 할 수 있는 진정한 작업이 아니겠는가? 좋은 작품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비르투오조 연주가와 창작자가 힘을 합해야 한다. 위대한 역사의 작곡가가 되려면 탁월한 연주가와 함께 가야 한다. K-Classic 이 해내야할 또 하나의 과제다. 임준희 작곡 댄싱산조(Dacing Sanso)

한국피아노학회 콘체르티노 100곡 창작 기념음악회 (2)

 K-POP, BTS의 대중 한류를  넘어 이제  K클래식이 상승기류

한국피아노학회 콘체르티노 100곡 창작 기념음악회 (2)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2022년부터 시작한 한국피아노학회의 피아노 소협주곡(Concertino for Piano and String Quatet) 창작 공연이 올 하반기에 두차례 공연을 갖는다. 기념비적인 100곡의 창작곡이 완성된 것이다. 이를 기념한 '피아노 콘체르티노 100곡 창작 기념 음악회 '가 오는 11월 17일에 이어 12월 18일(일) 오후 7시 30분 거암아트홀 무대에 오른다. 실로 오랜 세월동안 바이엘, 체르니를 기초 학습으로 외국의 명곡 소품만이 피아니스트의 전유물로 인식되어 온 피아노 건반 입장에서는 이보더 더 혁신적일 수 없는 패러다임의 변신이다. 이를 주도한 한국피아노학회는 국내 예술 분야에서 독보적인 순수 성격의 학회로 발전해 오면서 이같은 쾌거를 만들어 냈다. 장혜원 이사장이 1991년에 창립한 학회는 서울, 경기, 영남, 호남, 제주, 충청, 강원의 5개 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연과 세미나, 교재 개발 연구 등의 활발한 활동과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이제는 국제적인 명성을 획득한 글로벌 학회로 성장했다. 학회가 개발한 피아노 소협주곡(Concertino for Piano and String Quartet)은 실내악 4중주의 협주라는 새로운 공연 모델을 창안한 것으로, 우리의 핏속에 감도는 동요나 민요 등을 주제로 하는 단악장의 소협주곡이어서 청중에게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킨다. 청중들이 어깨를 들썩이는 등 서양 레퍼토리에서는 흉내 낼수 없는 모국어 피아노를 체험하게 한다. 참여한 작곡가들도 국내에서 시작하였으나 점차 외국인 작곡가들의 참여가 늘어 나면서 우리 소재의 세계화 가능성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주고 있다. 그러니까 K-POP, BTS의 대중 한류를 훌쩍 넘어서 이제는 K클래식이 상승기류를 탐으로써, 우리 예술 역량을 새로운 틀에 담아 냈다는 평가다. 과거 수백년된 레퍼토리를 해석하고 연주 기량을 높이는 것에 주력했던 시대에서 이제는 무엇을 연주하느냐? 콘텐츠 시대로 변환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피아노의 대중적 친근감과 거대한 오케스트라 협연의 희소적 기회를 보상해 주는 효과도 있다. 여기에는 '나' 중심의 솔로에서 앙상블의 의미를 더함으로써 솔로 피아노로 고착된 '피아니스트'의 고정 관념에 큰 변화를 준다. 동시에 작곡에 비하여 소외된 편곡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상호 작용에 의한 창작의 발전을 모색하는 효과마저 발생한다. [연주곡목] 1. 김하은 <노래는 즐겁다>(Miss I denn) - Piano: 송현아 2. 남상봉 <동동 섬집아기> - Piano: 이예린 3. 정유식 <과수원길의 추억> - Piano: 전혜빈 4. 정다솜 <갑돌이와 갑순이> - Piano: 박주희 5. 최환용 <에델바이스>(Edelweiss) - Piano: 박소연 6. 김주현 <강강술래> - Piano: 정아리영 7. 김은혜 <아리랑> - Piano: 한희준 8. Kawashima Motoharu <Fantasy on “Hamabe no Uta”> - Piano: 김하은 9. Yohan Kim <낯선 사람>(Piano Concertino on a Theme of Robert Schumann's The Strange Man) (Yohan Kim) - Piano: 이승연 10. 박영란 <해주아리랑 주제에 의한 눈물의 아리랑 고개> - Piano: 진강우 11. 이나리메 <사랑, 꿈, 스미다> (Drift into Dream of Love) -Piano: 손소정 12. 하순봉 <자진모리> - Piano: 박수정

[탁계석 노트] ESG가 명품을 만나야 하는 이유

명품이 설득력이 강한 것은 감화력 때문이다

[탁계석 노트] ESG가 명품을 만나야 하는 이유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언젠가 3초 백이라는 말이 유행했다. 짝퉁 이야기다. 명품을 살 형편이 되지 않지만 그 브랜드와 외형이라도 같은 제품을 가짐으로써 대리만족을 하려는 행위다. 사람들은 왜 명품을 좋아할까? 멋있고 돈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실용적이기 보다 가치가 부여된 명품은 미적 아름다움과 완벽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모방은 훌륭한 것, 좋은 것에서 모방이 따른다. 인간의 욕망에 기초한 것이다. ESG가 추구하는 환경, 사회기여, 투명한 지배구조에서 보다 완성도 높은 것을 보여줌으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대중이라고 해서 대중문화만 소비하는 것이 아니다. 역설적으로 평소 접하지 못한 새로운 창작 예술이나 예술품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가 좋을 수 있다. 오늘의 대한민국에서 ESG는 인식이 너무 낮다. 한 언론 조사에 의하면 국민들의 5%도 인지를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ESG 경영은 효율성 지표만 남는다. 효율성은 기업의 것이기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없고 소통이 안되고 그래서 ESG 인식이 낮다. 열심히는 하는데 따르는 행위가 없으니 공회전과 다름없다. 소비자의 인식이 따르지 않고 환경 문제를 혼자서 해결할수 있단 말인가? 연탄 배달, 달동네에 라면, 쌀 전달이 필요하지만, 언제까지 그 1차원적인 접근과 방식뿐일까? 저소득 계층아이들에게 문화 감수성을 체험케 하고, 손에 악기를 들게하며, 장애인 연주가들이 시향과 합동연주를 할 기회를 줄수 없을까?ESG가 새로운 좌표 설정을 하고 나가야 하는 때가 왔다. EGS가 크리에이티브를 만나야 한다. 기후위기 환경은 점점 심해지고 일회용 쓰레기는 택배로 지구촌이 머리가 아프다. 어떤 경우든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생활 용품에서 부터, 공연 종이 팜플릿을 모바일로 바꾸고, 커피 텀블럭 갖기 운동 등 작은 실천으로 큰것을 이뤄나가야 한다. 우리사회가 발전 과정에서 많은 이벤트 행사를 하면서 개선해 왔다. 쓰레기 줍기에서부터 산불 조심, 자연보호, 금연 운동, 성희롱 문제 등 이슈들을 캠페인으로 해결해 왔다. 이제는 ESG가 기업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시민과 소통하려면 문화가 필수다. 감화력이 큰 예술, 특히 명품 마스터피스와도 만나야 한다. 높은 가치 인식을 주면 모든 것이 정리되고 향상되는 효과다. 대중 음악만 있는 것이 아니라, 케이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수준 높은 클래식을 통해서, 또 한국의 K 클래식을 통해서 인식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ESG가 명품을 만나야 하는 이유다. 탁계석 K클래식 회장이 친환경대전에 참관했다 Why ESG Must Meet Luxury Goods There was a time when the phrase “3 seconds and 100 seconds” became popular. It was a story about counterfeit goods. It is an act of trying to satisfy oneself by proxy by having a product that is the same brand and appearance as a luxury product even though one cannot afford to buy it. Why do people like luxury goods? Because it is an act enjoyed by cool and rich people. Luxury goods that are given value rather than practicality have aesthetic beauty and perfection. Therefore, imitation follows from excellent and good things. It is based on human desire. We can raise awareness by showing more complete things in the environment, social contribution, and transparent governance structure that ESG pursues. The public does not only consume popular culture. Paradoxically, showing new creative art or artwork that they have not normally encountered can be more effective. In today's Republic of Korea, ESG awareness is too low. According to a media survey, less than 5% of the population is aware of it. In this case, ESG management is left with only efficiency indicators. Since efficiency belongs to companies, there is relatively little interest and communication is lacking, so ESG awareness is low. They work hard but there is no follow-up action, so it is no different from running around idle. Can we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alone without consumer awareness? We need to deliver coal briquettes, ramen, and rice to the poor, but how long will we be able to do only that one-dimensional approach and method? Can't we provide low-income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cultural sensitivity, hold instruments in their hands, and give disabled musicians a chance to perform with the orchestra? It is time for ESG to set new coordinates and move forward. EGS must meet creativity. The climate crisis is getting worse, and disposable waste is being delivered by courier, giving the world a headache. In any case, awareness must change. We must achieve big things through small actions, such as changing daily necessities, changing performance paper pamphlets to mobile ones, and the movement to have coffee tumblers. Our society has improved through many events as it has developed. Issues such as picking up trash, being careful of forest fires, protecting nature, anti-smoking campaigns, and sexual harassment have been resolved through campaigns. Now, ESG is not just a problem for businesspeople, but is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 Culture is essential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We must also encounter powerful art, especially masterpieces. If we give high value recognition, everything will be organized and improved. We need to change perceptions not only through popular music, not only through K-pop, but also through high-quality classical music, and especially through Korean K-classical music. This is why ESG needs to meet luxury goods ESG 경영에 문화를 도입해 회사 개관날에 이탈리아 음악가들을 초청해 콘서트를 하고 있는 모습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마스터피스가 풀어야 할 과제1] 창작 유료 관객 개발은 요원한가?

소비자 없는 명품이란 없다!

[마스터피스가 풀어야 할 과제1] 창작 유료 관객 개발은 요원한가?

K-Classic News GS,Tak | 작품이 일회성이 되는 데는 저예산이 원인이기도 하다.그러나 꼭 저 예산 때문에 작품이 일회성이 되는 것은 아니다. 정확한 소재와 잘 만들수 있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경험이 필요하고 노하우가 중요하다. 자칫 공공의 지원이 실습 수준의 양적 방출이라면 되례 좋은 작품이 나가는데 걸림돌이다. 오늘의 포퓰리즘 현상이고 꽉막힌 고속도로처럼 혼돈만 가중된다. 마스터피스(mastrpiece) 화두를 들고 보니 걱정이다. 창작에 관객 개발이 전혀 안되어 있다. 초대권이 만연해 대중 오락물이 아니면 언감생심 티켓 팔기는 어렵다. 참으로 어려운 환경이다. 기존 방식으론 어림도 없고 특화된 마케팅이 요구된다. 사회 과학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 같다. 상품의 내용도 달라져야 한다. 담아내는 그릇과 장소, 포장도 바꿔야 한다. 마스터피스만의 청중을 개발해야 하지 않을까? 이 콘서트가 어떤 유익을? 어떤 즐거움과 맛을 줄수 있는가? 기업의 명품과의 연계로 스폰서도 확보해야 한다. 파는 것이 어렵다면 초대형식이다. 특화된 청중들에게 특별 요리를 맛보게 하는 전략도 방법의 하나다. 음악은 귀로 먹는 음식이다. 창작 VIP 관객 개발이란 숙제를 풀어야 한다. 이제 마스터피스가 첫 걸음을 뗐으니 , 새 출발이 반의 시작이 아니겠는가! 어디서나 명품은 소통되고 설득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역사에 길이 남는 명곡이 된다. Low budgets are also a cause of one-off works. However, low budgets do not necessarily make a work one-off. It requires accurate materials and good production skills. Experience is necessary and know-how is important. If public support is limited to quantitative release at the level of practice, it will hinder the release of good works. It is today’s populism phenomenon and only increases chaos like a congested highway. I am worried when I hear the topic of masterpiece. There is no audience development at all in creation. Invitational tickets are rampant, so it is difficult to sell tickets unless it is mass entertainment. It is a truly difficult environment. Existing methods are not possible and specialized marketing is required. It seems that we need to approach it from a social science perspective. The content of the product must also change. The container, location, and packaging must also be changed. Shouldn’t we develop an audience unique to masterpieces? What benefits does this concert provide? What kind of enjoyment and taste can it provide? Sponsors must also be secured through connections with corporate luxury brands. If it is difficult to sell, then it is an invitation format. One way is to have a strategy of letting a specialized audience taste a special dish. Music is food for the ears. We need to solve the homework of developing a creative VIP audience. Now that the masterpiece has taken its first step, isn't a new start the beginning of half the work? A masterpiece must be communicated and persuasive everywhere. Only then will it become a masterpiece that will remain in history for a long time.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

Sport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