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노유경 리뷰] 독일 란츠베르크 도시의 시청 Festsaal에서 펼쳐진 한국·독일의 만남

음악이 만든 작은 공존의 자리

[노유경 리뷰] 독일 란츠베르크 도시의 시청 Festsaal에서 펼쳐진 한국·독일의 만남

K-Classic News 노유경 평론가 기자 | [노유경 리뷰] 음악이 만든 작은 공존의 자리 부제 독일 란츠베르크 도시의 시청 연회장에서 펼쳐진 한국·독일의 만남 행사명: MUSIK VERBINDET (음악은 연결한다) 일시: 2025년 11월 15일(토) 오후 18:00 장소: 란츠베르크 암 레흐 시청 (Historisches Rathaus Landsberg am Lech) 참여 단체: 월드포크뮤직 소사이어티 소속 코리아 플루트 소사이어티, 아우크스부르크 여성합창단, 현악 앙상블“Alte Liebe” 출연진: 플루트: Marin Gabriel, Daniel H. Park 피아노: Sebastian Kaltner, Gerhard Abe-Graf 타악: Maru Staack 사회(Moderation): Somin Cha, Birgit Abe 뮌헨에서 무궁화호를 닮은 느린 기차를 타고 약 50분 서쪽으로 달리면, 레흐 강가에 자리한 란츠베르크 Landsberg 도시에 도달한다. 이 도시는 중세의 성벽과 여러 전쟁이 남긴 흔적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어, 12세기 요새화된 상업 도시의 성장에서부터 전쟁이 새겨놓은 상처에 이르기까지, 유럽 역사의 층위를 돌마다 품고 있는 장소이다.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저녁 6시, 이 도시의 시청 안 아름다운 연회장 Festsaal에서 란츠베르크 시립음악학교가 마련한 특별한 무대가 열렸다. 이 시립학교에서 15여 년간 바이올린과 비올라를 가르쳐 온 한국인 차소민, 그리고 월드포크뮤직 소사이어티 소속 코리아 플루트소사이어티의 지휘자 박해성의 기획 아래 한국에서 도착한 플루트 연주자들은 아우크스부르크 여성합창단(지휘: 김희정), 현악 앙상블“ Alte Liebe”(지휘: Lisa Pokorny)와 함께 한국과 독일이라는 씨실과 날실로 120여 분의 음악을 직조했다. 입장은 무료였고, 기부만 받는 겸손한 방식이 이 공연의 성격을 또렷하게 했다. 무대가 시작되기 전, 사회자(차소민, Birgit Abe)는 한국어와 독일어를 번갈아 사용하며 관객을 맞았다. 두 언어가 한 공간에서 서서히 겹쳐질 때, 이미 이날 음악회의 의의가 온전히 드러나고 있었다. 사회자는 한국에서 먼 길을 온 플루트 앙상블과, 오랜 시간 독일 사회의 이웃으로 살아온 아우크스부르크 여성합창단을 하나씩 소개했다. 이 합창단의 상당수는 파독 간호사로 독일에 삶을 뿌리내린 이들이다. 그리고 오늘 처음 공식 무대에 오르는 아마추어 스트링 오케스트라 Alte Liebe까지, 전문성과 비전문성이 서로를 갈라놓기보다 오히려 서로의 빈틈을 채워 하나의 울림을 만드는 순간이었다. 한국에서 온 연주자들, 독일에서 세월을 쌓아온 합창단, 이제 첫걸음을 내딛는 오케스트라. 이 세 단체가 만나는 자리가 바로 공연의 제목 ‘MUSIK VERBINDET’, 음악이 연결하는 힘의 증거였다. 공연은 플루트 앙상블의 〈고향의 봄〉으로 문을 열었다. 세 파트로 다시 구성된 이 곡은 다성의 결을 차분히 펼치며, 먼 곳에서 온 사람들이 조심스레 건네는 첫 인사처럼 홀의 공기를 여몄다. 이어 형형색색 한복을 입은 합창단이 등장해 〈오나라〉와 타령을 잇자, 무대는 오래된 한국의 흙냄새와 드라마 속 서정이 뒤섞이는 장면으로 변했다. 그 화려함은 과장이 아니라, 자기 삶의 이야기를 정직하게 꺼내는 방식처럼 보였다. 그리고 아마추어 오케스트라 Alte Liebe가 바흐로 응답했다. 아직 매끈하게 정제되지 않은 소리였지만, 그 미세한 떨림이 오히려 환영의 마음을 더 선명하게 전했다. 환영이란 본래 완벽함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진심이 먼저 도착하는 데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아마추어의 시간이 잠시 접히자, 플루트 듀오—마린 가브리엘과 박해성—가 무대의 중심을 채웠다. 도플러의 Andante und Rondo가 울려 퍼지자 무대는 한순간에 다른 밀도로 바뀌었다. 두 연주자의 숨은 흔들림 없이 단단했고, 음의 각도는 정밀한 장인의 손길처럼 빚어졌다. 관객은 즉시 전문가의 호흡을 감지했고, 그 감지는 곧 감사와 안도로 번져 객석을 감쌌다. 이어 플루트 앙상블이 다시 무대에 들어서며 자연스레 ‘2부’처럼 여겨지는 흐름이 시작됐다. 세 곡이 연달아 펼쳐졌고, 특히 〈Bésame Mucho〉가 시작되던 순간이 공연 전체의 맥락을 전환했다. 첫 숨이 채 끝나기도 전에 타악기의 리듬이 들어왔고, 드럼의 단단한 박동과 스네어드럼의 사박한 긴장감이 혈관을 두드렸다. 마루 슈탁의 손끝에서 나온 리듬은 단순한 반주라기보다 무대 전체를 밀어올리는 하나의 독립된 서사였다. 뒤이어 합창단이 〈꿈길에서〉를 부르며 뛰던 박동을 고요하게 감싸고, 현악 앙상블이 슈베르트로 다시 19세기의 숨결을 열었다가, 〈오페라의 유령〉의 선율로 전환되며 타악기가 또 한 번 무대의 색을 반전시켰다. 그리고 마지막 곡 〈아리랑 고개 위의 들장미〉가 시작되었다. 모든 연주자가 함께 무대에 올라 단 하나의 곡을 위해 서로의 숨을 맞추었다. 각자가 다른 자리에서 준비해 온 모든 소리와 흔들림, 떨림, 목소리와 음의 편린들이 마치 하나의 집을 완성하듯 마지막 지붕을 덮어가는 장면이었다. 이 곡은 현대 창작 합창곡이지만, 두 원곡의 선율을 거의 벗어나지 않은 채 정직하게 병치해 놓은 이영조 작품이다. 아리랑과 「Heidenröslein」은 나란히 걷는 두 개의 오래된 길처럼 조용히 놓여 있다. 이는 보수성이 아니라, 두 문화의 원형을 가능한 온전히 존중하려는 작곡가의 윤리적 태도에서 비롯된 절제다. 이 곡은 새로움의 과시보다 만남의 자리를 더 중시하며, 서로 다른 전통이 한자리에서 조심스럽게 인사하도록 자리를 마련해준다. 이 마지막 장면에서 무대는 어느 한 단체의 것이 아니라, 서로의 결핍과 강점이 겹겹이 드러나는 공동의 터전이 되었다. 국적도, 세대도, 음악적 배경도 다르지만, 바로 그 차이가 이날 무대의 음색을 더 풍요롭게 했다. 예술은 결국 차이를 지우는 것이 아니라, 차이를 서로의 선율로 바꿔내는 일이 아닐까. 문화외교와 문학·철학적 시선 거창한 문화외교의 선언문이 아니었던 이날의 무대는, 그 어떤 공식 행사보다 친근한 방식으로 국가와 문화 사이의 보이지 않는 다리를 실제로 건너 보인 현장이었다. 국적과 세대, 전문성과 비전문성이 뒤섞인 채 하나의 장면을 만들어 ‘함께-있음’을 다시 배우는 일이라는 것을 깨닫게 했다. 하이데거가 말했듯, “Das Dasein ist wesenhaft Mitsein mit Anderen.” 인간은 본질적으로 타자와 함께-있음으로 존재한다. 이 문장은 그저 철학자의 사유가 아니라, 이날 무대 위에서 실감으로 변한 하나의 사실이었다. 문화는 언제나 조용한 방식으로 서로를 잇는다. 정치가 막아 세운 벽도, 언어가 품지 못한 틈도, 음악은 잠시나마 접어두고 서로에게 다가가게 한다. 미하엘 엔데의 소설 속 시간처럼, 이 날의 음악은 서두르지 않고 서로의 삶 속으로 천천히 스며들었다. 란츠베르크의 시청의 연회장이 보여준 것처럼, 문화예술은 국가 간 거리를 줄이는 가장 오래된 다리이자 앞으로도 계속 건너가야 할 미래의 길이다. 오래된 도시의 공기 속에서 음악이 가능하게 한 ‘함께-있음’을 조용히 바라보며, 한국과 독일이라는 두 세계가 앞으로도 이어가야 할 느리고 단단한 약속처럼 그리고 그 약속의 겹친 새끼손가락을 방패처럼, 이 연회장에서 시작된 관계의 온도를 지켜가려는 의지가 또렷하게 느껴진다. 글: 노유경 Dr. Yookyung Nho-von Blumröder, 음악학박사, 쾰른대학교 출강, 국제독일교류협회 대표, 해금앙상블(K-Yul) 음악감독 겸 단장, Ynhovon1@uni-koeln.de ,인스타그램: Hangulmanse, kyul-germany www.kyul.de Ein Ort des musikalischen Miteinanders Koreanisch-deutsche Begegnungen im Festsaal von Landsberg Mit einem langsamen Zug, der einem regionalen Mugunghwa-Express (in Korea) ähnelt, erreicht man nach etwa fünfzig Minuten westlicher Fahrt von München die Stadt Landsberg am Lech. Diese Stadt, in der mittelalterliche Festungsmauern und die Spuren verschiedener Kriege noch immer sichtbar sind, trägt in jedem ihrer Steine die Schichten der europäischen Geschichte – von der Entwicklung einer befestigten Handelsstadt des 12. Jahrhunderts bis zu den Wunden, die die Kriege hinterlassen haben, bewahrt eine stille Aufmerksamkeit für die Zeit der Menschen. Am Samstag, dem 15. November 2025, um 18 Uhr fand im Festsaal des Historischen Rathauses ein besonderes Konzert der Städtischen Sing- und Musikschule Landsberg am Lech statt. Auf Initiative von Somin Cha, die seit über fünfzehn Jahren an dieser Schule Violine und Viola unterrichtet, sowie von Daniel Hai-Sung Park, dem Leiter der Korea Flute-Society (World Folk Music Society), reisten Flötistinnen aus Korea an. Gemeinsam mit dem Koreanischer Frauenchor Augsburg (Leitung: Heejeong Kim) und dem Streichorchester Alte Liebe (Leitung: Lisa Pokorny) webten sie aus den Fäden Koreas und Deutschlands ein rund 120-minütiges musikalisches Gewebe. Der Eintritt war frei, Spenden waren willkommen – eine zurückhaltende, aber klare Geste für den Charakter dieses Abends. Noch bevor das Konzert begann, begrüßten die Moderatorinnen Somin Cha und Birgit Abe das Publikum abwechselnd auf Koreanisch und Deutsch. Als sich beide Sprachen im Raum überlagerten, wurde die Bedeutung des Abends unmittelbar erfahrbar. Der Koreanischer Frauenchor Augsburg, dessen Mitglieder zum großen Teil ehemalige koreanische Krankenschwestern der Gastarbeitergeneration sind, sowie das an diesem Tag erstmals offiziell auftretende Streichorchester "Alte Liebe" wurden vorgestellt. Professionelle und nichtprofessionelle Musikwelten standen sich nicht gegenüber, sondern ergänzten einander, indem sie ihre jeweiligen Lücken zu einem gemeinsamen Klang verbanden. Musikerinnen und Musiker aus Korea, ein Chor mit jahrzehntelanger Lebensgeschichte in Deutschland und ein Orchester, das seine ersten Schritte wagt: Diese drei Gruppen verkörperten gemeinsam das Motto des Abends – „MUSIK VERBINDET“. Das Konzert eröffnete mit dem Flötenensemble und dem Stück „Spring of my Hometown“ (고향의 봄). Die dreistimmige Bearbeitung entfaltete eine ruhige Polyphonie, die wie ein vorsichtiger Gruß aus der Ferne den Saal durchzog. Anschließend trat der Frauenchor in farbenprächtigen Hanboks auf und präsentierte „Onara“ sowie zwei traditionelle Lieder, „Doraji Taryeong“ und „Monggeumpo Taryeong“. Für einen Moment verschmolzen die erdige Atmosphäre Koreas und die lyrische Welt einer historischen TV-Serie zu einer eindringlichen Szene. Das Streichorchester "Alte Liebe" antwortete darauf mit Bach. Auch wenn der Klang noch nicht vollkommen geschliffen war, lag gerade in dieser feinen Unvollkommenheit eine umso deutlichere Geste des Willkommens. Nach einer kurzen Zäsur traten die Flötisten Marin Gabriel und Daniel Hai-Sung Park mit Dopplers „Andante & Rondo Op. 25“ auf. Mit ihrem Einsatz veränderte sich sofort die Dichte im Raum. Ihr Spiel war sicher und konzentriert, jeder Ton wirkte präzise modelliert. Das Publikum erkannte die Professionalität unmittelbar – und diese Wahrnehmung verwandelte sich rasch in Dankbarkeit und eine leise Erleichterung. Anschließend begann ein Abschnitt, der sich beinahe wie ein zweiter Teil des Abends anfühlte: Das Flötenensemble kehrte zurück und präsentierte drei Werke. Besonders „Bésame Mucho“ bildete einen Wendepunkt. Noch bevor die erste Phrase endete, setzte das Schlagzeug ein. Der feste Puls der Bass Drum und die gespannte Textur der Snare – gespielt von Maru Staack – ließen den Raum wie ein lebendiger Organismus pulsieren. Sein Spiel war keine bloße Begleitung, sondern eine eigene erzählerische Linie, die das Ensemble vorantrieb. Danach beruhigte der Frauenchor mit „Beautiful Dreamer“ den zuvor erhobenen Puls, und das Streichorchester öffnete mit Schubert einen Atemzug des 19. Jahrhunderts, bevor das Arrangement aus „Phantom der Oper“ (arr. L. Moore) die Farben des Abends erneut wechselte. Das Schlussstück „The Rose on the Arirang Hill“ (arr. MKH) vereinte schließlich alle Beteiligten auf der Bühne. Die unterschiedlichen Stimmen, Schwingungen und Vorbereitungen der Mitwirkenden fügte sich wie die letzte Dachschicht eines Hauses zusammen. Das Werk ist eine zeitgenössische Komposition von Youngjo Lee, die die Melodien von „Arirang“ und Goethes „Heidenröslein“ fast unverändert nebeneinanderstellt, wie zwei alte Wege, die im gleichen Rhythmus weiterlaufen. Diese Zurückhaltung ist keine konservative Geste, sondern Ausdruck einer ethischen Haltung, die die Ursprünge beider Kulturen respektvoll bewahrt. Das Stück sucht kein spektakuläres Neuerfinden, sondern schafft einen Raum des behutsamen Sich-Begegnens. In diesem letzten Moment wurde die Bühne zu einem gemeinsamen Boden, auf dem Unterschiede sichtbar blieben, aber gerade dadurch eine reichere Klangfarbe erzeugten. Kunst löscht Unterschiede nicht aus – sie verwandelt sie in gegenseitige Resonanz. Kultur, Diplomatie und eine literarisch-philosophische Perspektive Dieses Konzert war kein groß angekündigtes kulturpolitisches Programm, sondern ein Ort, an dem die unsichtbaren Brücken zwischen Nationen und Kulturen in einer unmittelbaren Form erfahrbar wurden. Wenn Generationen, Nationalitäten und musikalische Hintergründe zusammen eine Szene bilden, lernt man das „Mitsein“ im heideggerschen Sinn neu.„Das Dasein ist wesenhaft Mitsein mit Anderen.“Dieser Satz war an diesem Abend keine abstrakte Philosophie, sondern eine gelebte Erfahrung. Kultur verbindet Menschen leise. Wo Politik Grenzen betont und Sprache Unschärfen erzeugt, ermöglicht Musik eine Annäherung. Wie die Zeit in einem Roman von Michael Ende drang auch die Musik dieses Tages ohne Eile, langsam und still, in das Leben aller Anwesenden ein. So wie der Festsaal des Rathauses von Landsberg es zeigte, ist die Kulturkunst die älteste Brücke, die die Distanz zwischen Staaten verkürzt – und zugleich der Weg in die Zukunft, den wir weiterhin überschreiten müssen. Im alten Atem dieser Stadt, in dem die Musik ein „Miteinander-Sein“ überhaupt erst möglich machte, war ein leises, aber festes Versprechen spürbar: dass Korea und Deutschland diesen langsamen und zugleich tragfähigen Weg weitergehen werden. Und wie ineinandergehakte kleine Finger, die man schützend vor sich hält, war der Wille deutlich zu fühlen, die Wärme dieser hier entstandenen Beziehung zu bewahren. Text: Dr. Yookyung Nho-von Blumröder, Musikwissenschaftlerin, tätig in Forschung und Lehre an der Universität zu Köln, Vorsitzende der Internationalen Deutsch-Koreanischen Austauschgesellschaft, Künstlerische Leiterin und Direktorin des Haegeum-Ensembles K-Yul. E-Mail: ynhovon1@uni-koeln.de Instagram: @hangulmanse, @kyul_germany www.kyul.de

쏠리스트 앙상블(Solist Ensemble) 광복 80주년 기념 제41회 송년음악회

쏠리스트 앙상블(Solist Ensemble) 광복 80주년 기념 제41회 송년음악회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대한민국 성악계의 전통을 이어온 쏠리스트 앙상블이 오는 연말,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제41회 송년음악회를 개최한다. 1984년 KBS합창단 출신 선후배들이 결성한 이래 스승과 제자, 그리고 제자의 제자로 그 명맥을 이어온 쏠리스트 앙상블은 지난 41년간 대한민국 남성 앙상블의 새로운 역사를 써 내려가며 수천 명의 고정 애호가층을 확보한 국내 대표 연말 음악회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쏠리스트 앙상블은 매년 단 한 차례, 송년무대에서만 관객을 만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앙상블·합창 음악 공연 중 가장 높은 관심도를 보이는 단체로, 언론과 대중 모두가 주목하는 특별한 공연으로 꼽힌다. 이번 공연은 광복 80주년이라는 의미 깊은 해를 맞아 음악적 깊이뿐 아니라 공동체적 울림을 더하며, “노래를 통해 화합과 우정을 다지고 음악인과 관객을 잇는” 본래의 취지를 더욱 강조한다. 이번 송년무대는 ‘우정의 노래(Stein Song)’로 시작해 성가합창, 한국가곡, 오페라, 뮤지컬 등 관객층이 폭넓게 공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무대가 꾸며진다. 특히 광복 80주년 기념 칸타타 <조국의 혼> 中 ‘희(希)곡은 광복의 역사적 의미를 음악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호른과 타악의 힘 있는 앙상블이 더해져 시대의 메시지를 현대적 감성으로 표현한다. 쏠리스트 앙상블의 41번째 송년음악회는 연말을 맞아 음악을 통해 서로를 응원하고 위로하는 특별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공연은 R석 15만원, S석 10만원, A석 8만원, B석 5만원 (단체 20인 이상 10% 할인)으로 롯데콘서트홀과 NOL티켓에서 구매 가능하다. 1984년 KBS합창단 출신 선후배들이 모여 첫 연주무대를 선보인 이래 스승과 제자, 제자의 제자로 그 전통이 이어지며 대한민국 성악계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 가고 있는 쏠리스트 앙상블은 지난 41년 동안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확인되고 있듯이 한 해 동안 국내에서 개최하는 음악축제 중 음악인들뿐만 아니라 대중 사이에서도 매우 높은 관심도를 보이는 단체이며 매년 연말 단 1회의 공연을 통해 이미 수천 명의 고정 애호가들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노래를 통해 화합과 우정을 다지며, 음악 애호가들과 음악인들을 한데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쏠리스트 앙상블은 새로운 형태와 레퍼토리로 아카데믹한 남성 앙상블과 합창 음악의 진수만을 선보임으로써 송년음악회를 찾는 관객들에게 뜨거운 감동의 시간을 선사할 것입니다.

오페라 <메밀꽃 필 무렵> 최다 관객에서 국민오페라로 (2026 전국 5개 도시)

한국 문학 서정미의 극치, 오늘의 소외된 삶과도 닮아

오페라 <메밀꽃 필 무렵> 최다 관객에서 국민오페라로 (2026 전국 5개 도시)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지난 10년 창작오페라의 성적표에서 가장 많은 관객 7,000명,그리고 가장 많은 유료 관객 4,000명을 기록한 작품— 그 이름, <메밀꽃 필 무렵> 구미오페라단이 서울에서 올린 3일 공연,연고가 없는 도시에서 이룬 낯선 성공. 전문가들은 말한다,“원작 이효석의 힘, 그리고 음악과 대본의 정서적 일치가 관객을 객석으로 이끌었다”고. 이날 CNU 충남대학 오페라중점사업단 학술대회는 이 기록을 한국 창작오페라의 중요한 이정표로 다시 세웠다고 발표했다. 대본과 음악의 첫 만남 — 창작 서막이 열리다 탁계석 대본가는 필자의 창작 초기 작품으로 <소나기>와 <메밀꽃 필 무렵>이 함께 태어난 날이었다. 메밀꽃의 악보는 영남의 대들보, 故 우종억 선생의 손으로 흘러 들어갔다. “이건 내가 쓰고 싶네!” 선생은 80세에 첫 오페라에 도전했고, 호주로 날아가 밤을 세워가며 피아노보를 만들어 왔고, 다시 관현악을 완성해 마침내 초연의 막을 올렸다. 그로부터 10년, 그는 90세에 이 작품을 자신의 생애 기념비로 남겼다. 문학의 서정, 음악에 물들다 “바람 지나간 들판 위에 / 사라진 사람들의 마음이 머무르고…” 이효석의 문장은 갈등보다 풍경, 극적 폭발보다 정한의 떨림에 가까웠다. “이 단순한 이야기로 오페라가 될까?” 많은 의문이 있었지만 문학적 서정이 성악과 관현악 속에서 한국적 정서의 울림을 이루었다. 서양 오페라가 강한 극적 표출의 예술이라면<메밀꽃 필 무렵>은 ‘내면으로 통하는 오페라’였다. 외로움, 자연, 부성, 회한, 이 시대의 마음을 파고드는 조용한 폭발. 그래서 관객은 이 오페라를 “한국의 토속적 풍경화 같은 작품”이라 불렀다. 초연의 환호와 오늘의 과제 “첫 무대의 숨결 / 관객의 박수로 다시 피어나…” 초연 당시 무대, 가수, 관객 반응은 모두 기대 이상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그다음이다. 한국의 많은 창작오페라가 초연 후 자취를 감추듯 사라진다. 그렇지만 이 작품 또한 10년이 지난 오늘날 까지 꾸준히 공연되고 갈라 콘서트로 청소년을 찾아 가기도 했다. 이제는 ‘어떻게 국민오페라로 뿌리내릴 것인가’라는 새로운 질문 앞에 서 있다. 한때 평창 메밀꽃 축제와 연계하려 했던 시도는 무산되었지만, 이 실패는 오히려 향후 전국 공연의 필요성을 더 강하게 부각시킨다.지역을 넘어, 세대를 넘어,다시 무대 위에 세워야 할 시간이다. 국민오페라로의 길 — 2026 전국 5개 도시로 “바람 불어오는 길 따라 / 메밀꽃이 전국을 흰빛으로 물들이리…” 작품은 이제 새 여정을 준비한다. 내년, 전국 5개 도시 순회 공연. K오페라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며 한국의 서정과 원작의 정서를 음악으로 되살릴 계획이다. 이 작품이 사랑받는 이유는 단순하다. 오늘 우리의 삶도 소외된 이들의 고단함도 가족의 그리움도 자연의 품속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도 그 속에 그대로 살아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땅에서 난 이야기,우리의 언어로 쓰인 음악, 우리의 마음이 들린다—그래서 국민오페라라 부를 자격이 있다.” 이제 메밀꽃은 계절이 아닌 무대 위에서 다시 피어날 준비를 하고 있다. <메밀꽃 필 무렵 초연시 전문가 리뷰> “베르디 아리아처럼 한번 들어도 입에 맴돌아” 최천희(오페라 작곡가/ 경남음악협회장) “위인(偉人) 중심에서 순수 문학의 감동, 오페라계에 새로운 전환점 마련한 작품“ 김완준(전 대구오페라하우스 관장/ 계명아트센터 관장) "대본이 문학을 더 업그레이드 시켜, 가깝고 친근하게 느껴져많이 뜰 것 같네요” 이태수 (전 매일신문 논설주간/ 대본작가) “따뜻한 마음으로 그대로 와 닿는 것을 느껴 새 창작이 계속해 나오기를 기대” 박희숙(오페라단장) “대단히 감성적이면서 감동적인 작품” 이철우 (오페라 작곡가) “한국 오페라가 나아가야 할 線(선)을 보여준 작품” 손정희(성악가, 테너) “노래하기 편안한 대본과 음악을 만난 것은 성악가로서는 행운이죠” 김승철(성악가 ,바리톤)

[마스터피스 초청 ] 우리 가곡의 보급과 새로운 어법의 창작 가곡 길을 열어온 장은훈 대표

전국민 가창 운동 펼쳐 노래의 행복감 나눠야 할 때

[마스터피스 초청 ] 우리 가곡의 보급과 새로운 어법의 창작 가곡 길을 열어온 장은훈 대표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티켓 구매하기 레퍼토리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알렉산드르 푸시킨 시 장은훈 곡 테너 김은교 피아노 전지호 홀로 걷는 이 마음(초연) 장은훈 시 장은훈 곡 소프라노 정아영 피아노 양수아 우리 처음 만난 날 장은훈 시 장은훈 곡 테너 김은교 피아노 정지호 헌정(초연) 장은훈 시 장은훈 곡 소프라노 김은미 피아노 전지호 섬진강 나루 김용택 시 장은훈 곡 테너 이동현 피아노 전지호 베네치아의 황홀한 달빛 장은훈 시 장은훈 곡 소프라노 김은미 피아노 전지호 오우가 윤선도 시 장은훈 곡 테너 이동현 피아노 전지호 오늘 같은 날에는 (극가곡 ' 사랑의 노래 ' 중에서 이중창) 장은훈 시 장은훈 곡 소프라노 정아영, 테너 김은교 피아노 양수아 작곡가 장은훈 마스터피스 페스티벌 초청, 장은훈 작곡가에게 듣는다 지난해 기악을 포함한 실내악, 솔로, 성악으로 10분의 작곡가들을 초청해 제 1회 K클래식 마스터피스 페스티벌을 푸르지오 아트홀에서 3일간의 일정으로 성황리에 개최하였습니다. 창작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전문가들의 평가와 함께 신선한 창작의 샘물을 마신것 같다는 청중의 반응들이 모아져 큰 힘을 받았습니다. 이번 제 2회는 기금 지원을 떠나 창작 협업, 상생의 길찾기로 한 차원 높은 창작의 길을 열어 갈 것이란 의욕입니다. 이번 페스티벌의 테마는 성악가들이 부를 우리 가곡과 K오페라 이기에 우선 참가하는 작곡가님의 창작 노트를 미리 관객들이 접할수 있도록 인터뷰 '마스터피스 작곡가에게 듣는다'의 코너를 만들었습니다. 가곡도 유행가처럼 시절의 유행을 타는 것일까요? 너무 많이, 오랫동안 부르고 나면 물리는듯 시들해지는 느낌이 드는데, 이것이 시대 변화라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앞으로 어떤 노래를 불러야 할까요? 성악가가 부르는 노래는 일반적으로 그 정서나 창법으로 보아 아리아나 가곡, 민요 정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을 살펴볼 때 성악가의 활동 범위를 좀 더 넓히고자 함과 이 시대를 반영한 예술적 가치, 또한 안정된 직업적 보장, 등이 엿보이는 것 같습니다. 때문에 지금 시대에 굳이 장르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다견다상(多見多想) 속에서 제 생각을 밝혀봅니다. 곡을 잘 표현할 수만 있다면 상황에 따라 어떤 것이든 적응해보는 것 또한 다른 묘미가 있지 않을까요. 구체적으로 우리 색깔이 짙은 민요, 향토적인 리듬을 살린 곡을 현재 성악가들이 부르려면? 우선 성악가가 곡 해석을 넘어 창법 해석을 응용하여, 자신만의 맛을 낼수있는 개성을 길러야할것입니다. 예를들어 소리의 빛깔이나 셈 여림, 가볍고 묵직함, 곡의 어감 (nuance), 등 또 하나 중요한것은 표정 연기의 사실적 진솔함이 공부되었으면 합니다. 현대 시로된 현대가곡을 대학에서 다루지 않아요. 광복 80주년이지만 변화에 적응하려는 아카데미 연구가 원천적으로 없는 것은 아닌지? 책임론이 결국 오늘 성악가들의 생존과 직결된다는 분석입니다. 결국 성악가의 무기가 노래인데 부를 노래가 없다면 생존에서 무엇으로 싸우라는 것인가? 하는 점에서 말입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현대 시로 곡을 만들면 자연스레 현대가곡이 입혀질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갓 쓰고 커피 마시는 격이 아닐까요. 대학의 노력이 있었겠지만 별로 드러나지 않는 시점에서 결코 시대의 정서나 문화를 잊으면 안됨을 강조하고 싶군요. 그러나 보니 대중가요의 수용, 변용, 창법의 개량 등의 수용도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가끔 고른 창법을 가진 가요 가수가 가곡 부르는 것을 상상합니다. 심풀하고 담백한 끼 있는 창법이 답은 아니지만, 하나의 힌트가 될 수 있지 않을까 궁금합니다. 국민 정서에 더 가까이 질 수 있는 그런? 점에서, (성악가의 아름다운 음성이 좀 더 빛을 바라길 바라며) 무엇보다 세대의 변화가 가장 무서운 가창 소멸의 원인이란 점에서 창법은 하나의 문화와 같아서 그 분야의 장르와 역사를 같이합니다. 약간의 편이성을 위해 변형도 있겠지만 결국 달라지긴 싶지 않습니다. 다만 호흡을 통한 자연스러운 창법 솜씨가 많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소멸보다는 변화한다고 판단되어 그 또한 과정으로서 향상되어간다면 좋겠지만 염려하신 대로 대중성마저 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유감스럽습니다. 세대의 변화를 함께 느끼며 적극적인 사회적 동참과 탁월한 실력을 쌓아야 할 것이란 개인적 확신이 듭니다 극장이나 공간은 노래를 담는 그릇입니다. 이들 극장들의 자세랄까 태도랄까, 이런 것들도 좀 바뀌어 가곡이 클래식의 가장 기초 형성이니까, 적극적으로 유치 하고, 사용자 역시 큰 공간이나 유명 장소만 선호하지 않는 생태 환경의 조성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공간의 크기는 연주 규모와 목적에 맞아야하므로, 우선 사용자 자신의 판단이 중요하며 불필요한 자,타의적 눈치 보기 문화의 구조를 없애야합니다. 어쨌든 오늘의 성악가들이 그 좋은 기술을 두고 타 직종의 험한 일을 하는 현실이 무척 안따깝습니다. 혼자서 이를 뚫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고요?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인간의 악기는 신의 잉태이자 선물입니다. 전쟁과 가난, 질병, 기후, 생태 오염, 경쟁, 등 요즘같이 복잡하고 어지러운 세상에 아름다운 노래와 음성이 그래서 더욱 간절히 필요한 때라고 봅니다. 모두 함께 힘을 합해 전국민 가창 운동을 펼치고 노래가 주는 행복감이 성악가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들의 것이 되도록 전방위의 네트워크와 협력을 하는 길이 K클래식을 중심으로 확충되기를 희망합니다. 이점 융, 복합적인 측면에서 음악인 모두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이며, 제 개인적인 소견으로는 성악가가 맘 놓고 가요를 부르기에는 사회적 이미지가 동행하기에, 가곡도 대중적 요소 속에 반주나 선율의 변화가 필요하며, 여기에는 예술적 기술이 균형있게 잘 사용되면 좋겠다는 의견입니다. 인터뷰 감사합니다.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

Sport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