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문화예술인 100인에게 묻는다!〉 대한민국 비평예술원 설립, 필요한가?

균형과 조화를 잃은 생태계는 생명력을 잃는다

K-Classic News 탁계석 예술비평가회장 |

 

 

1. 귀하는 ‘대한민국 비평예술원’ 설립 필요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매우 필요하다 ( ) 필요하다( ) 잘 모르겠다( )필요하지 않다( ) 전혀 필요하지 않다( )

 

2. 현재 대한민국 예술원이 시대 변화—AI 창작, 디지털 시대, 세계화에 충분히 대응하고 있다고 보십니까?

 

충분하다 ( ) 보통이다( )부족하다( ) 매우 부족하다( )

 

3. 대한민국 예술계에는 ‘비평·기록·아카이브’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독립 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필요하다( ) 필요하지 않다( )잘 모르겠다( )

 

4. 비평예술원이 설립된다면, 가장 우선해야 할 역할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순위)

 

비평 담론 형성( )
예술 기록·아카이브 구축( )
숨은 예술가·공헌자 발굴( )
젊은 창작자 및 비평가의 등용문( )
국제 교류·연구 플랫폼( )

 

5. 현행 대한민국 예술원의 가장 큰 한계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폐쇄적 회원 구조( )
시대 변화 반영 부족( )
신진 창작자 지원 미흡( )
국제교류·확장성 부족( )
사회 공헌·공론 기능 부족( )

 

6. 비평예술원의 회원 선발·운영 방식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한다고 보십니까?

 

공개 추천·심사( )
동료 평가 기반( )
학계·비평계 중심( )
투명한 포인트제·자료 평가( )

 

7. 비평예술원이 기존 대한민국 예술원과 어떤 관계를 맺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십니까?

 

상호 보완·분업( )
독립 운영( )
연합 협력 체계( )
기존 예술원 산하 조직( )

 

8. 예술계의 기득권 구조·폐쇄성을 혁신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식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공개 평가 및 기록 시스템( )
신진 창작자·비평가 참여 확대( )
국제 교류·외부 전문가 영입( )
공공성·투명성 강화( )

 

9. 비평예술원이 AI 창작 시대에 어떤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AI 창작물의 비평 및 기준 마련( )
디지털 예술 아카이브 구축( )
윤리·저작권 이슈 대응( )
인간 창작자의 정체성 연구( )

 

10. ‘대한민국 비평예술원’이 창립된다면, 귀하는 참여 또는 협력할 의향이 있습니까?

 

적극 참여하겠다( )
참여 의향 없음( )
중립이다( )

 

마지막 종합 질문

▶ 귀하는 대한민국 비평예술원 설립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서술형 응답)

 

관련기사: 탁계석 노트


대한민국예술원  나덕성 전 회장(첼리스트)과 인터뷰하고 있는 탁계석 회장

원주 유알컬처 원형 공연장 사운드포커싱을 배경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