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Artist

전체기사 보기
Artist

[칼럼] 관행을 넘어, K-클래식 길을 묻다

민경찬 작곡 여근하 바이올린 무궁화, 세계 명곡으로 간다

탁계석 회장 기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관행이라는 이름의 굳은 틀 어느 분야든 반복되는 것을 우리는 관행이라 부른다. 관행이 굳어지면 관습이 되고, 관습은 결국 역사가 된다. 한국의 클래식 음악도 마찬가지였다. 우리는 오랫동안 서양의 문법을 따라 배우고, 그 체계 안에서 오늘의 클래식을 만들어왔다. 그것은 분명 성장의 길이었지만, 동시에 너무 익숙해진 나머지 변화에 눈을 감게 만들었다. 제도는 변화를 꺼리고, 시장은 한계에 이른다. 서구 동경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달라졌다. 유학과 콩쿠르만이 길이던 시대는 지났다. 우리의 것에 대한 자신감이 커졌고, 세계는 오히려 한국의 콘텐츠를 갈망한다. 그럼에도 여전히 많은 이들이 기존 관행을 벗어나지 못한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우리가 서양 문화를 수입해 학원을 세우고 대학을 만들며 예술 자원을 키워냈던 것처럼, 이제는 그 반대로 우리의 것을 가지고 세계 시장을 개척할 수 있지 않을까. 기업들이 차별화된 상품으로 세계를 주도하듯, 예술 역시 같은 전략이 필요하다. 한글, K-팝, 그리고 새로운 자부심 세종학당을 통해 한글이 전 세계로 퍼져 나가고 있다. 그 뒤에는 K-팝과 BTS가 만들어낸 거대한 문화적 파급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