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GALLERY We CHEONGDAM 갤러리위 청담 《당신은 여러분》

“당신은 어떤 사람입니까?”

GALLERY We CHEONGDAM 갤러리위 청담 《당신은 여러분》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Eventually, You're Everyone by NATURE HAAN 25. 5. 9 (FRI) - 6. 7 (SAT) Ex B1, 1F [GALLERY We CHEONGDAM] OPENING HOURSㅣTUE-SAT 10AM-6PM DAY OFF l SUN-MON, Public Holiday 《당신은 여러분》 “당신은 어떤 사람입니까?” 한자연 작가의 이번 전시는 이 짧고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한다. 우리는 이름과 역할로 정의되지만, 실상은 감정, 기억, 그리고 수많은 자아가 층을 이루는 복합적인 존재다. 작가는 회화를 통해 이 다층적 자아의 구조를 탐색하며, 동시대 개인의 내면을 세 가지 방식으로 들여다본다. 〈삭제의 가벼움〉은 디지털 시대의 이미지 소비를 주목한다. 빠르게 떠오르고 사라지는 장면들—그 휘발성을 작가는 회화의 물성 안에 붙잡는다. 삭제된 감정, 희미한 기억은 그렇게 다시 존재의 흔적으로 남는다. 〈기억의 경계〉는 선명하지 않은 풍경 속에 감각의 잔재를 새긴다. 기억은 늘 정확하지 않지만, 그 불분명함 속에서야 비로소 감정은 환기된다. 〈버려지는 기록들〉에서는 일상의 오브제, 이를테면 영수증 같은 사소한 흔적이 회화의 캔버스로 전환된다. 중요하지 않다고 여겨진 조각들이 예술의 층위로 끌어올려지며, 자아의 또 다른 면을 드러낸다. 《당신은 여러분》은 직선적인 서사 대신 병렬적 구성으로 전개된다. 관람자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시를 읽고, 재구성한다. 이미지, 기억, 기록 사이—그 틈에서 작가는 자아를 구성하는 실마리를 건넨다. 그리고 다음 질문으로 관람자를 이끈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이 질문에 정답은 없다. 《당신은 여러분》은 그 질문이 잠시 머무는 공간이며, 당신의 응답이 전시의 마지막 장면이 되기를 바란다. 갤러리위 청담 서울 강남구 도산대로56길 15-1 02-517-3266 www.gallerywe.com / art@gallerywe.com

국립민속국악원 예음헌에서 '차와 이야기가 함께하는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 5월 28일(수) 오후 7시

공지영 작가 상처와 치유 , 인간다움에 대하여

국립민속국악원 예음헌에서 '차와 이야기가 함께하는 국악콘서트 <다담(茶談)> ' 5월 28일(수) 오후 7시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국립민속국악원(원장 김중현)은 오는 5월 28일(수) 오후 7시, 예음헌에서 차와 이야기가 함께하는 국악콘서트 <다담(茶談)>을 개최한다. 5월의 이야기 손님으로는 소설가 공지영이 초청되어 ‘상처에서 피는 꽃’을 주제로, 삶과 문학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관객과 나눈다. 공지영 작가는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도가니』 등 수많은 화제작을 통해 사회적 메시지와 깊은 감성의 서사를 전해온 대한민국 대표 소설가다. 이번 무대에서는 상처와 치유, 그리고 인간다움에 대한 통찰을 문학으로 풀어내며, 관객에게 따뜻한 위로와 성찰의 시간을 전할 예정이다. 공연은 ‘우리음악 즐기기’ 순서로 시작된다. 국립민속국악원 창극단의 윤영진(몽룡), 서진희(춘향), 서은기(고수)가 무대에 올라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대목을 들려준다. 사랑가 장면은 춘향과 이몽룡이 사랑을 나누는 주요 장면으로, 감미로운 소리와 절제된 감정 표현을 통해 판소리 특유의 아름다움과 깊이를 선사한다. <다담>은 전통차를 마시며 명사와 국악이 어우러지는 국립민속국악원의 대표 기획 공연으로, 매 회차 깊이 있는 인문학 이야기와 품격 있는 국악 무대로 많은 관객의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 공연은 50석 규모로, 선착순 무료로 진행된다. 예약은 5월 14일(수) 오전 10시부터 국립민속국악원 누리집(namwon.gugak.go.kr), 카카오톡 채널(국립민속국악원 친구 추가), 또는 전화(063-620-2329)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極限 & 狂歡》 羅納德·溫杜拿個展

《極限 & 狂歡》 羅納德·溫杜拿個展

K-Classic News 기자 | 台北 2025.05.10 - 06.28 策展人 Curator:魯爾·卡西亞 Ruel Caasi 開幕酒會 2025年5月10日(六) 4pm ※藝術家出席開幕 PORSCHE 964 Turbo 跑車塗鴉活動 2025年5月10日 (六): 16:00~18:00 特別來賓:王陽明 2025年5月11日 (日): 14:00~18:00 此展覽是一場穿越羅納德·溫杜拿(Ronald Ventura)腦海的狂飆之旅,於此,超級跑車變成神話、肌肉與記憶。這些機械猛獸咆哮、閃耀,並載著燃燒的獅首與緊握方向盤的幽靈手。 溫杜拿的移動雕塑形成於2020年的沉悶與幽閉恐懼之中,它們衝出白盒子,奔向道路,帶著明確的意圖。想像碳纖維的夢境、動漫的焦慮、以及科技巴洛克的極致張揚。這是掙脫畫框束縛的藝術,全速轟鳴,撕裂日常,讓神話闖入現實。 這裡有壓力,也有快樂,還有一切介於兩者之間的可能。 ───策展人 魯爾·卡亞西(Ruel Caasi) 白石畫廊榮幸推出菲律賓藝術家羅納德·溫杜拿首次於台北空間的個展「極限&狂歡」,呈現一系列新作。此次並與EMC(Empire Motor Club)合作,推出開幕限定PORSCHE跑車塗鴉活動,邀請觀眾在繪有藝術家創作的保時捷上塗鴉,體驗藝術家創作於車身的激情與快感。活動日期為5月10日、11日,藝人王陽明也將出席首日的開幕,與藝術家羅納德·溫杜拿共同揭幕活動。 了解更多 Pressure & Pleasure Ronald Ventura’s Solo Art Exhibit Taipei 2025.05.10 - 06.28 Curator:Ruel Caasi Opening Reception 2025.05.10(Sat) 4 pm *Artist will be present PORSCHE 964 Turbo graffiti event 2025.05.10(Sat) : 16:00 -18:00 Special Guest: Sunny Wang 2025.05.11(Sun) : 14:00 - 18:00 This exhibition is a joyride through Ronald Ventura’s headspace, where hypercars mutate into myth, muscle, and memory. These machines snarl, shimmer, and carry flaming lion heads and ghostly hands gripping the wheel. Born from the boredom and claustrophobia of 2020, Ventura’s mobile sculptures escape from the white cube and hit the road with intent. Think carbon fiber dreams, anime anxiety, and techno-baroque excess. This is art unchained from its framed and revving at full throttle, tearing open the everyday to let mythology in. There is pressure, pleasure, and everything in between. — Curator Ruel Caasi Whitestone Gallery is pleased to present Filipino artist Ronald Ventura’s solo exhibition, Pressure & Pleasure, marking his first solo show at the gallery’s Taipei space. In collaboration with EMC (Empire Motor Club), the exhibition will feature a special opening event—a limited-time PORSCHE graffiti experience, where visitors are invited to draw on a car wrapped in the artist’s original design, embracing the thrill and joy of creation. The event will take place on May 10 and 11, with celebrity Sunny Wang joining on the first day to unveil the car alongside the artist, Ronald Ventura.

[시론] 혼돈의 시대, 철학은 나침반이 되고 비평은 거울이 된다

— 서양 예술사에서 되짚는 전환기의 사유와 기록

[시론] 혼돈의 시대, 철학은 나침반이 되고 비평은 거울이 된다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세상이 흔들릴 때, 인간은 본능적으로 생존을 도모한다. 그러나 진정한 전환의 시대에는 생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어디로 가야 할지? 무엇이 옳은지? 왜 살아야 하는지를 묻는 철학이 필요하고, 예술이 방황하지 않도록 방향을 비추는 비평이 절실해진다. 서양의 예술사는 그 혼돈의 순간마다, 철학과 비평이 어떻게 시대를 견인했는지를 명백히 보여준다. 고전에서 중세, 질서의 해체와 신학적 통합 로마 제국의 몰락과 함께 고전 문명의 조화와 균형은 무너졌고, 중세는 신(神) 중심의 질서를 예술과 철학에 강요했다. 그 혼돈 속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는 인간 이성과 신의 의지를 통합하려는 시도로 신학적 철학을 정립했고, 예술은 비잔틴의 상징성과 고딕의 숭고함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그 시대에도, 신에 대한 믿음조차도 비평 없는 순응이었을 때 예술은 정체되었고, 오직 질문이 있는 곳에서 르네상스는 태어날 수 있었다.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인간의 재발견과 가치의 붕괴 르네상스는 고전의 부활을 외치며 인간 중심의 철학을 되살렸다. 에라스무스, 마키아벨리,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는 인간 존재의 존엄과 의지를 예술과 사유로 증명했다. 그러나 곧 종교개혁의 불길이 유럽 전역을 덮치면서 명예와 진리의 기준은 파편화되고, 모든 가치가 의심받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때 예술비평은 단순한 감상의 언어를 넘어서, 미적 판단과 윤리적 기준의 재정립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미켈란젤로의 누드 조각은 예술인가? 외설인가? 라는 질문이 당시에도 사회적 논쟁이었던 것처럼 말이다. 계몽주의와 프랑스 혁명, 예술의 목적, 국가의 이상 18세기 계몽주의는 이성 중심의 철학으로 기존 권위를 타파했고, 예술은 인간과 국가의 이상을 시각화하는 수단이 되었다. 볼테르, 루소, 칸트는 인간 존엄의 근거를 철학으로 제공했고, 다비드의 회화는 혁명정신을 시각 언어로 고양시켰다. 이때의 비평은 단순히 기술을 논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평가하는 공공적 사유로 발전했다. 괴테, 레싱의 문예비평은 독립된 학문이자 시대의 지성으로 자리 잡았다. 전후 실존주의 시대, 의미 없는 세계와 예술의 저항 20세기 두 차례의 세계대전은 인간의 이성과 도덕에 대한 신념을 철저히 붕괴시켰다. 사르트르, 카뮈, 하이데거는 실존의 고통과 부조리한 세계 속에서 인간의 자유와 책임을 묻기 시작했다. 이 철학은 예술 속에서도 반영되었다. 피카소의 ‘게르니카’,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쇤베르크의 무조음악 등은 체계적 질서를 부정하고 혼돈 자체를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 시기의 예술비평은 더 이상 미와 기술을 평가하는 것을 넘어서, 예술의 존재 이유, 작가의 윤리, 사회적 파급력을 묻는 윤리적 담론으로 진화했다. 지금, 예술과 철학은 다시 필요한가? 우리는 지금 또 한 번의 전환기에 있다. 세계적 전쟁의 위협, 인공지능의 급변, 기후재앙과 경제 불안은 인간의 조건 자체를 재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혼돈의 시대에 예술은 그 자체로 사유이고, 비평은 시대를 기록하는 지성의 언어다. 예술을 소비로 전락시키는 오늘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다시 질문해야 한다. 예술은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 예술가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는 어떤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가? 철학은 방향을 묻고, 비평은 흔들림을 바로잡아주며 기록한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이 불안한 시대에 반드시 다시 붙들어야 할 예술과 사유의 이유다.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

Sport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