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인터뷰] “갈래 말래~ 할래 말래~”… K-Classic이 묻는 길 개척의 의지

[인터뷰] “갈래 말래~ 할래 말래~”… K-Classic이 묻는 길 개척의 의지

K-Classic News AI 기자 | AI 기자는 최근 ‘K-Classic 글로벌 로드’라는 화두와 함께 예술가들의 생존 환경을 새롭게 조명하는 탁계석 K-Classic 회장을 만났다. 그는 예술가의 길이란 개척 없는 반복일 수 없으며, 코믹하지만 진지한 “갈래 말래~ 할래 말래~”라는 카피 속에 시대적 질문이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가지 않은 길, 선구자의 고통 AI 기자: “프로스트의 ‘가지 않은 길’처럼, 누구도 가지 않은 길을 헤쳐 나가는 일은 예술가에게 어떤 의미입니까?” 탁계석 회장: “예술가가 걷는 길은 일반인들이 상상할 수 없는 고난과 방황이 동반됩니다. 표준이나 지름길은 없습니다. 그러나 막힌 레드오션을 떠나 스스로 새로운 길을 내면 블루오션이 열리죠. 이는 위험이 도사린 어둠 속에서 불을 밝히는 선구자의 운명과도 같습니다.” 피아노 고속도로와 차별성의 필요 탁 회장은 특히 피아노계를 예로 들었다. “피아노의 길은 이미 연휴 고속도로처럼 꽉 막혀 있습니다. 수많은 연주자가 명곡 레퍼토리에 매달리며 경쟁은 극에 달해 있죠. 이제는 ‘피아노’라는 도구를 통해 새로운 어법을 만들지 않으면 개성도 차별성도 생기지 않습니다. K-Classic이 말하는 글로벌 로드는 바로 이 지점에서 시작됩니다.” 음악가들의 실태: 생존과 전업의 갈림길 현실은 냉혹하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조사(2023)에 따르면, 전업 예술가 중 57%가 본업만으로는 생계 유지가 어렵다고 답했다. 또 예술가의 월평균 수입은 약 153만 원에 불과해, 전국 평균 근로소득의 절반 수준이다. 이 때문에 많은 음악가들이 강사·학원 운영으로 생계를 유지하거나, 아예 타 직종 전업을 선택한다. 최근 통계청 부가조사(2022)에서도 음악 전공자의 약 32%가 문화예술 외 직종으로 이탈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도 다양하다. 한 성악 전공자는 교육대학원에 진학해 초등 교사가 되었고, 첼로 전공자는 IT 기업의 마케팅 팀장으로 활동 중이다. 또 일부는 문화 기획이나 공연 매니지먼트로 영역을 전환해, “예술적 감각을 비즈니스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생존 전략을 찾고 있다. 투자 방식의 변화와 시장 논리의 훈련 “예술가는 더 이상 공공기금에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그것은 요행을 바라는 것과 다르지 않아요. 이제는 자율 선택과 시장 논리에 적응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스스로 상품 브랜드가 되어 소비자의 구매력을 얻을 것인가, 아니면 플랫폼을 활용할 것인가, 그 판단이 현명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크라우드 펀딩, 구독형 후원 플랫폼(예: Patreon), 자체 유튜브 채널 운영 등을 통해 직접 소비자와 연결되는 아티스트들이 늘고 있다. 탁 회장은 이를 “투자와 회수의 구조를 스스로 설계하는 새로운 방식”이라고 평가했다. . “갈래 말래~ 할래 말래~” 투어 콘서트의 의미 마지막으로 그는 이번 ‘갈래 말래~ 할래 말래~’ 투어 콘서트의 목적을 설명했다.“이 카피는 코믹해 보이지만, 사실은 예술가가 스스로 선택하고 개척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입니다. 처음엔 무관심할 수 있고, 쉽게 끼어들지 않겠지만, 뜻을 세운 개척자는 일희일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결국 새로운 콘텐츠와 방향성 의지, 그리고 함께 개척하는 동지적 연대 속에서 길이 열립니다.” 탁 회장은 인터뷰를 마치며 예술가들에게 이렇게 당부했다. “발로 뛰세요. 현장으로 가세요. 청중이 좋아하는 것을 하세요. 그리고 그 여정을 기쁘게 즐기세요. 그것이 바로 K-Classic 투어 콘서트가 던지는 화두입니다.”정리하자면, 이번 인터뷰는 예술가 생존의 새로운 길, 투자의 패러다임 전환, 콘텐츠 중심의 개척 의지를 강조했다. 코믹한 슬로건 뒤에 숨은 K-Classic의 메시지는 단순히 투어 콘서트가 아니라, 한국 예술계 전체의 미래 생존 전략을 향한 질문이기도 하다.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 공연

정승호 작가의 개인전 《Flashback》 2025. 08. 29 – 09. 29 | 갤러리 채율

갤러리 채율, 9월 전시 ‘Flashback’ 빛과 그림자가 교차하는 순간

정승호 작가의 개인전 《Flashback》 2025. 08. 29 – 09. 29 | 갤러리 채율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서울 가로수길의 갤러리 채율에서는 정승호 작가의 개인전 《Flashback》을 오는 8월 29일부터 9월 29일까지 선보인다.정승호 작가는 굴 폐각과 낙엽 등 일상에서 잊히거나 소외된 재료를 직접 채집해 작업에 활용한다.30여 년간 무대 디자인을 이어온 그는 “공연이 끝나면 사라지는 무대예술이 늘 아쉬웠고, 버려지는 페인트와 자개로 나만의 작품을 만들고자 했다”라고 밝혔다.그는 이러한 재료에 새로운 감정과 언어를 불어넣어, 사라진 존재의 온기를 조용히 되살리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람의 눈과 부엉이 등 관람자를 응시하는 형상들이 등장한다. 마주 선 두 자아는 마치 거울처럼 서로를 탐색하고, 때로는 조용히 위로를 건넨다. 나아가 관람객의 내면을 비추며 숨겨진 자아와 마주하게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검은 원과 흰 원은 각각 인간 내면의 어두운 면과 밝은 면을 상징한다.끝없이 순환하는 이 원들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찾고 질문하는 ‘영원한 미완’의 존재인 우리 자신으로 귀결된다. 작가는 이를 통해 관람객이 진정한 ‘나’와 마주하고, 성찰과 성장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모든 작품에 등장하는 검은 사람의 형상은, 하나의 시그니처이자 스스로를 응시하고 고민한 흔적이다.” – 작가 인터뷰 中 작가 역시 창작 과정에서 끊임없이 자신에게 질문을 던졌으며, 이러한 시간은 고스란히 작품에 스며들어 관람객에게 깊은 울림을 전한다. 빛과 어둠, 확신과 모순이 머무는 이번 전시 《Flashback》은, 침묵 속에서 진정한 ‘나’와 마주하는 자리이다. 작가 소개 | 정승호(Jeong Seung-Ho) 30여 년간 무대 디자이너로 활동해 온 정승호 작가는 그 경험을 토대로 고유한 회화 작품을 선보이는 화가이다. 주로 인간 내면의 빛과 어둠을 재해석해 깊이 있는 울림을 전하며, 동시에 관람객이 스스로를 발견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의 화면 속에는 자신을 향한 끝없는 탐구와 질문, 스스로를 마주하고 성찰하려는 다짐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200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약 150편 이상의 연극, 뮤지컬, 콘서트, 무용에서 무대 디자인을 맡아 왔다. 대표작으로는 뮤지컬 레베카, 엑스칼리버, 베르테르, 모차르트, 연극 우리 읍내, 십이야 그리고 이문세, 김동률의 콘서트 등이 있다.서울예술대학 교수로 재직 중인 작가는 그동안 다양한 회화 전시를 선보여 왔다. 이번 갤러리 채율에서 열리는 ‘Flashback’은 그의 3번째 개인전이며, 숯·낙엽·굴 폐각 등 흔치 않은 소재를 사용한 작품들로 관람객의 이목을 끈다. ■ 관람 안내 전시 기간 : 2025년 8월 29일(금) – 9월 29일(월) 장소 : 갤러리 채율 (서울 강남구 가로수길 17, B1 채율) 관람 시간 : 10:00 – 18:00 문의 : www.cheyul.com | cheyul@cheyul.com | 070-4742-3571 ■ 전시 개요 ○ 정승호과 함께하는 9월 전시 - 전시명 / 《Flashback》 - 전시기간 / 2025. 08. 29(금) ~ 09. 29(월) - 관람시간 / 월요일~일요일 10:00 ~ 18:00 - 작 가 / 정승호 (Jeong Seung-Ho) - 출품 장르 / 회화 - 주최∙주관 / 갤러리 채율 ○ 문의- 갤러리 채율 070.4742.3571 ■ 작가 소개 정 승 호 Jeong Seung-Ho 학력 현 서울예술대학 교수 미국 뉴저지 주립대학 Rutgers University 무대미술 MFA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졸업 개인전 2024 The Gaze Upon Breath (헬렌앤제이갤러리 Helen n Jae gallery in seoul) 2024 In the box (헬렌앤제이갤러리 Helen n Jae gallery in seoul) 2인전 / 단체전 2024 <75가지 바나나 박스 연구> (kkr+kdk 스튜디오) 2024 Future Frame (Space776 NYC) 2023 생명의 무게 (헬렌앤제이갤러리 Helen n Jae gallery in seoul) 수상 2024 서울특별시 문화상 미술부분 수상 2020 한국뮤지컬어워즈 “엑스칼리버” 무대예술상 수상 2019 예그린뮤지컬어워즈 “엑스칼리버” 무대예술상 수상 2019 대중문화예술 제작스테프 대상 수상 2013 더 뮤지컬어워즈 “레베카” 무대미술상 수상 2011 더 뮤지컬 어워즈 “남한산성” 무대미술상 수상 2008 한국뮤지컬대상 “내마음의 풍금” 무대미술상 수상 2008 더 뮤지컬 어워즈 “스위니토드” 무대미술상 수상 2007 서울공연예술제 “벚꽃동산” 무대미술상 수상 무대 디자인 2025 뮤지컬 베르테르 (디큐트 아트센터) 2024 킬롤로지 (대학로티오엠2관) 2024 벤자민버튼 (세종문화회관 M theater) 2023 김동률 콘서트 (올림픽체조경기장) 2023 우리읍내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2023 산전수전 토벌가 (인속국악원) 2022 백조의 노래 (민송아트홀) 2022 이문세콘서트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2022 맥베스 (정동에술극장) 2022 콘트라바쓰 (세종문화회관 S 시어터) 2021 박하사탕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2021 쓰릴미 (충무아트센터 블랙) 2021 십이야 (인천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2021 파우스트앤딩 (명동예술극장) 외 약 150편 이상의 연극, 무용, 뮤지컬, 콘서트에서 무대 디자인 기획 ■ 주요 작품 이미지

[탁계석 노트] 갈래~ 말래~ 방방곡곡 콘서트

배운 것에서 벗어나, 체험 속에서 살아남는다. 경험은 최고의 투자이며, 생존의 무기다

[탁계석 노트] 갈래~ 말래~ 방방곡곡 콘서트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생존의 현실을 직시하라 유학 후 귀국 연주회, 대관 공연, 연주 초청 기다리기, 이것이 전형적인 패턴이지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학위나 콩쿠르 수상은 기본 중의 기본일 뿐, 이제는 이것만으로는 상품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나 자신이 얼마나 ‘매력적인 상품’으로 알려져 있는가를 냉철히 직시해야 한다. 은퇴한 선배들이 말하듯, 실제로 생존할 수 있는 예술가는 극소수다. 인생에는 유턴이 없다. 선험자의 경로를 시뮬레이션하면서 현실을 진단해야 한다. 새로운 길을 열어야 한다 ‘갈래~ 말래~ 방방곡곡 콘서트’는 단순한 공연 기획이 아니라, 스스로 찾아 나서는 생존 전략이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라도 하라”는 말처럼, 기회는 투자를 통해 얻어진다. 작은 공간, 살롱 콘서트, 봉사 음악회, 섬과 소외 지역,연주할 곳은 많다. 지휘자 금난새 선생 역시 특정 예술공간만을 선호하지만 말고 삶의 현장을 찾아 떠나는 음악회의 효과를 강조한 바 있다. 기술에서 맛으로 이제는 단순한 연주 기술만으로는 청중을 설득할 수 없다. 음악에는 ‘맛’이 들어가야 한다. 눈물과 웃음, 땀과 고통이 스토리로 녹아들어야 비로소 공감이 생긴다. 기술은 상향 평준화되었지만, 맛을 내는 정성은 부족하다. 연주자 스스로 삶의 이야기를 담아내야 한다. K-클래식의 새로운 길 연주자가 전국을 돌며 풍경을 보고 정서를 느끼지 못한다면, 한국 음악을 진정으로 표현하기 어렵다. K-클래식은 고속도로가 아닌, 스스로 개척해야 하는 길이다. ‘방방곡곡’이라는 익숙한 말 속에, 새로운 발상 전환과 차별화의 무기가 담겨야 한다. 갈래~ 말래~ 콘서트는 비전과 도약의 날개를 길러주는 장이 될 것이다. <결론> 생존의 길은 누구도 대신 가주지 않는다. 체험과 경험이 곧 무기이며, 스스로 찾아가는 연주자가 K-클래식의 미래를 만든다. 자기 길은 자기가 닦는 것이다.

광복 80주년 기념'대한민국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

2025년 8월 30일, 세종체임버홀 개최

광복 80주년 기념'대한민국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광복 80주년을 맞아 오는 2025년 8월 30일(토) 오후 5시, 세종체임버홀에서 특별한 음악회 “대한민국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1910년 국권을 잃은 비극의 시대부터 1945년 해방의 환희에 이르기까지, 격동의 현대사를 음악으로 풀어내는 장대한 서사적 무대로 기획되었다. 공연은 두 개의 장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 ‘비극의 시작점'에서는 1910년 경술국치로부터 시작된 아픔을 주제로, '아리랑 변주와 가락잔치', '러시아 민요', 그리고 '눈물의 해주아리랑' 등을 연주하며 민족의 고통을 음악으로 되새긴다. 이어지는 2부 ‘환희의 순간까지’에서는 해방의 기쁨을 담아낸 ‘아라리 아라리요’, 아리랑 왈츠, 두꺼비변주곡, 그리고 스코틀랜드 민요 ‘Auld Lang Syne(석별의 정)’을 편곡해 세계초연으로 한국 환상곡연주로서 대미를 장식한다. 탁계석 K클래식 회장은 피아노의 모국어를 찾아서 떠나는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는 관객들에게 지금까지 들었던 서양 레퍼토리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우리 가락의 맛, 흥과 신명, 한의 정서를 느낄 것이라며, 음악은 귀로 먹는 음식이기에 향후 우리 피아노가 국내는 물론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는 때여서 더 많은 피아니스트들이 주목하고 참석하는 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이것이 새로운 피아니스트들의 시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출발은 매우 중요하다며 화성에서의 호응을 업고 서울 진출에 박수를 보낸다고 했다. 화성 피아노 소사이어티 신사임 대표 인터뷰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