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서바토리- 학력 아닌 프로 아티스트 생존 대안으로 떠오를까?
도심 상가(商街)에 공실(空室)이 늘고 있다. 목 좋은 상가들도 밀려난다. 쇼핑몰, 택배 등 SNS기반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벌어진 현상이다. 국내에서 한계점에 이른 라면 등 한국 음식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K-푸드 브랜드로 상종가를 구가하고 있다. 기존 아날로그의 제품들이 인공지능에 물려 몸살을 앓고 있다. 반전(反轉)의 반전(反轉)이 펼쳐지는 현상은 사회 도처에 넘친다. 콩쿠르 우승자도 대접 못받는 상황에서 인구 절벽 감소에 대학 역시 불똥이 튀고 있다. 강사법으로 촉발된 대학은 정원 부족에 점차 매력을 잃어가고 있다. 그래도 유학을 가야 하나? 선택 기로에서 학생도, 교수도 뾰쪽한 답을 내놓지 못한다. 이미 기술의 면에서는 충분히 확보된 상태이지만 외국학위가 없다면 활동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국내에서 공부해 차이코프스키 콩쿨은 물론 국제 오페라 무대에 서는 상황이왔지만 방향 찾기에 고민은 깊어만 간다. 콩쿠르 우승자마저 전혀 대접을 받지 못하는 입장에서 학위 없이는 무엇도 할 수 없는 현행 법규란? 이 한계성을 어찌 돌파할 것인가. 컬럼버스 계란 깨기의 파격이 필요하다. '학력'을 버리고 '생존'을 찾는 전략은? 그러니까 학위에서 실력중심으로, 실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