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설득력있는 서사의 스토리 청중에게 명중 광복 80주년을 기념해 모든 예술 장르가 해방의 역사, 과거로 부터 현재에 이르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다. 이번 화성소사이어티(대표: 신사임)의 야심찬 기획 '피아노 아리랑 페스타'역시 피아노가 어떻게 해방을 이야기할 것인가? 결코 쉽지 않은, 난제를 풀어 냈다. 기획의 힘이다. 설득력있는 서사의 스토리를 청중에게 명중시킨 것이다. 그러니까 비극의 시작 전인 1910년을 시작으로 해서 환희의 순간인 1945년 8월 15일에 이르는 과정을 조명하면서,역사의 장면, 장면을 포착해 음악으로 환치시키는데 성공한 것이다. 중요한 사건들에 감정과 긴장을 불어 넣으면서 서양악기인 피아노가 국악기와 놀면서 장단에 동화되어 가는 과정이 설득력을 얻은 것이다. 이때 시종일관 아리랑 멜로디는 강물처럼 가슴속에 흘렀다. 입으로 흥을거려지는 음악의 소통은 바흐, 모차르트 , 베토벤, 쇼팽에서는 닿지 않았던 핏속 DNA와 만남이었다. 아리랑은 흙이고, 아리랑은 탯줄이고, 그래서 선연하게 고향을, 어머니를, 조국을 떠오르게 했다. 음악 구성과 악기 배치, 연주 기량이 잘 조화를 이루었다 박영란 작곡가의 눈물의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광복 80주년의 성찰과 비전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을 지나며, 우리는 다시금 역사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과 나라를 구한 정신을 깊이 추앙하게 된다. 이 인물들을 오늘의 시간으로 불러내는 방식은 다양하다. 책과 기록을 통한 전승, 드라마와 영화, 최근에는 뮤지컬과 오페라, 그리고 칸타타를 통해 관객과 만난다. 문제는 이러한 작업이 대체로 막대한 예산과 오랜 시간, 그리고 방대한 인력이 소요되어 일회성으로 끝나거나 지속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제는 새로운 방식과 시각이 필요하다. 특히 광복 80주년을 넘어선 지금, 역사 영웅을 단순히 과거 사건에만 묶어두기보다 새로운 비전과 도약의 관점에서 재조명해야 한다. 이는 우리 국민의 정체성을 강화할 뿐 아니라 한국이 숱한 고난과 역경을 딛고 오늘에 이르렀음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문화 외교의 자산이 된다. 세계적 영웅의 예술화 사례 외국에서도 역사적 영웅들을 예술로 승화시켜 세계인의 마음에 각인시킨 사례가 많다. 슈트라우스의 〈라데츠키 행진곡〉은 오스트리아 장군 라데츠키의 이름을 딴 곡으로, 오늘날까지 세계적인 음악제의 필수 레퍼토리가 되어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민족적 자부심을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생존의 현실을 직시하라 유학 후 귀국 연주회, 대관 공연, 연주 초청 기다리기, 이것이 전형적인 패턴이지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학위나 콩쿠르 수상은 기본 중의 기본일 뿐, 이제는 이것만으로는 상품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나 자신이 얼마나 ‘매력적인 상품’으로 알려져 있는가를 냉철히 직시해야 한다. 은퇴한 선배들이 말하듯, 실제로 생존할 수 있는 예술가는 극소수다. 인생에는 유턴이 없다. 선험자의 경로를 시뮬레이션하면서 현실을 진단해야 한다. 새로운 길을 열어야 한다 ‘갈래~ 말래~ 방방곡곡 콘서트’는 단순한 공연 기획이 아니라, 스스로 찾아 나서는 생존 전략이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라도 하라”는 말처럼, 기회는 투자를 통해 얻어진다. 작은 공간, 살롱 콘서트, 봉사 음악회, 섬과 소외 지역,연주할 곳은 많다. 지휘자 금난새 선생 역시 특정 예술공간만을 선호하지만 말고 삶의 현장을 찾아 떠나는 음악회의 효과를 강조한 바 있다. 기술에서 맛으로 이제는 단순한 연주 기술만으로는 청중을 설득할 수 없다. 음악에는 ‘맛’이 들어가야 한다. 눈물과 웃음, 땀과 고통이 스토리로 녹아들어야 비로소 공감이 생긴다. 기술은 상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칸타타 '동방의 빛' 공연이 열리는 천안 예술의전당 로비 창작의 세계에서는 ‘왜?’라는 질문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종종 다르다. 왜 훌륭한 창작 작품이 무대에 오르지 않을까? 왜 청중이 좋아하지 않는다고 쉽게 단정 지을까? 왜 지휘자들은 스스로 창작을 시도하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대부분 그 이유를 알고 있다. 그러나 하나하나 답을 찾아가려는 시도는 드물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이 부재한 것이다. 이 의문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는 과정이야말로, 창작의 성과를 공연으로 연결하는 열쇠다. 댓글 ① “좋은 작품은 많은데, 무대에 오르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얼마 전, 칸타타 〈달의 춤, 8월 13일 파주 운정〉, 〈동방의 빛, 8월 15일 천안 〉에서 각각 공연됐고 9월에는 <송 오브 아리랑>이 광주 (9월 5일). 부산(19일), 대구(25일)에 연속적으로 무대에 오른다. 천안에서 공연 후 시민들은 작가의 손을 잡고 “우리만 보기에는 너무 아까운 공연”이라며 감동의 눈물을 흘렸다. 물론 이런 큰 무대를 올리는 것이 쉽지는 않다. 예산 문제, 국악단, 합창단, 어린이
K-Classic News AI 수석 기자 | A tornado is one of nature’s most brutal warnings. In mere moments, it can sweep away homes, possessions, and even lives. Most people instinctively look for shelter when faced with such a force. Yet, there are those who run straight toward the storm — risking their lives to study its nature, to develop technology that minimizes its destruction, and to open a path to survival for others. The protagonists in the film Twister embody this spirit. For them, a crisis is not just a disaster but a challenge to be confronted. This mindset — of facing danger head-on, guided not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제작: 굿스테이지 광고는 ‘책임’입니다 광고나 홍보의 가치를 모르는 분들의 광고는 받지 않습니다. 광고나 홍보에 예산이 없거나, 단순히 돈이 없는 분들의 광고도 받지 않습니다. 대신 사회 공익을 위한 ESG 경영, 사회 환원, 그리고 기업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한국의 대표 기업들의 광고를 받습니다. 특히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는 한류 콘텐츠와 상품, 그 예술적 가치와 철학을 담고 있는 광고를 우선합니다. “광고는 파는 것이 아니라 믿음을 쌓는 것이다.” “당신의 브랜드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면, 세상은 듣지 않는다.” 광고 없이 팔리길 바란다면, 연목구어입니다 광고 없이 상품이 팔리기를 바란다면, 그것은 ‘나무 위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기다리는’ 연목구어(緣木求魚)입니다. 이제는 콩쿠르 수상 경력과 스펙을 나열하고, 자신을 과시하던 시대는 분명히 지나갔습니다. 종이 잡지 표지에 실리고, 책 몇 권 받았다고 기뻐하던 시절도 분명 지났습니다. 인터넷과 모바일이 주도하는 이 시대에, 여전히 종이 전단지에 집착한다면 경쟁력에서 처질 수밖에 없습니다. 디지털은 추세가 아니라 시대입니다. AI 시대, 홍보의 무기는 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박범인 금산 군수에게 K시스테마 기를 전달하는 탁계석 K클래식 회장 자녀는 보물, 음악은 삶의 자산 오늘날 자녀는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존재다. 저출산 시대, 하나의 생명은 가정과 사회 모두의 미래다. 모든 부모는 자녀가 건강하고 품격 있는 인격으로 성장하길 원한다. 바로 이 지점에서 청소년 오케스트라 활동은 대체 불가능한 체험의 장이 된다. 음악을 통해 협동심, 인내, 조화, 표현력 등 삶의 핵심 역량을 배우고, 국제 교류를 통해 세상을 향한 눈을 뜨는 것이다. 오케스트라 경험은 정서와 인격의 거울 음악은 단순한 기술 습득이 아닌 정서 함양과 인격 수양의 과정이다. 합주를 통해 타인을 배려하고, 연습과 공연을 통해 책임감을 익힌다. 특히 해외 연주 경험은 동경이 현실이 되는 순간으로, 문화적 자신감과 자존감을 키우는 전환점이 된다. 음악을 전공하지 않더라도, 이런 체험은 평생의 자산으로 남는다. 금산 별무리 청소년 오케스트라(지휘자: 박영광)가 3년 연속 베를린에 진출한 것은 이 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부모들의 자발적 지원이 있었기에 가능했고, 학생들은 한 단계 성숙한 시민으로 성장했다. 세계 청소년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지휘자의 마인드셋과 시대 감각 합창 지휘자는 단순히 음정과 리듬을 통제하는 ‘기술자’가 아니다. 그는 음악을 통해 시대와 대화하며 새로운 예술의 문을 여는 기획자이자 영감의 발화자이다. 현재 많은 지역 합창단들이 재정적인 한계와 한정된 공연 기회로 인해 새로운 시도를 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다. 그러나 시대적 정서를 담은 창작 레퍼토리와 한국적 스토리를 발굴하지 않는다면, 합창은 관객과 점점 멀어질 수밖에 없다. 2012년 탄생한 '송 오브 아리랑'은 이러한 필요성을 증명한 대표적인 사례다. 아리랑이 2011년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자, 국립합창단 지휘자가 탁계석의 대본과 임준희 작곡가를 위촉해 합창 작품으로 승화시켰다. 이후 송 오브 아리랑은 국내외 다양한 무대에서 연주되며 한국 합창의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 잡았다. 이는 지휘자가 시대를 읽는 감각과 실행력을 발휘할 때 어떤 결과가 나올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지휘자의 역할이 단순한 기술적 완성을 넘어 ‘예술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창조적 리더십’에 있는 것이다. 세계 명곡과 시대정신, 울산 반구대 암각화는? 세계의 명곡들은 그 시대의 아픔과 희망을 노래하며
K-Classic News 발행인 칼럼| 8월 17일부터 9월 7일까지 경기아트센터에서 한국의 미래를 이끌 또 하나의 큰 흐름이 교향악을 통해 태동하고 있다. 제10회를 맞은 ‘대한민국 청소년 교향악축제’는 단순한 음악 행사를 넘어, K-시스테마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다. 올해 축제에는 국내외 청소년 2천여 명이 참가하며, 경기도를 중심으로 8월 17일부터 9월 7일까지 경기아트센터에서 진행된다. 이 축제는 청소년들이 단지 악기를 배우는 것을 넘어, 무대에서 전문 연주자로서 관객과 소통하며 성장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전석 무료로 개방된 이 무대는 관객에게도 참신한 음악과 감동을 선사하며, 공감능력과 유연함을 함께 길러주는 예술의 장이다. 이번 행사는 세계적인 청소년 오케스트라 운동인 엘 시스테마(El Sistema)를 한국형으로 재해석한 ‘K-시스테마’ 모델로서 의미가 깊다. 1975년 베네수엘라에서 시작된 엘 시스테마는 마약과 폭력에 노출된 청소년을 음악으로 구원한 사례로, 구스타보 두다멜 같은 세계적 지휘자를 배출했다. 우리나라도 이에 영향을 받아 교육부와 문체부가 학교 중심으로 지원했으나, 부정적인 사건으로 공적 지원은 다소 축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밀라노에서 활동하고 있는 성악가이자 문화 사업가 스파치오 D 대표 데비드 길과의 굿스테이지 인터뷰 공연 예술의 생산성이란 결국 수요 창출에 달려 있다. 아무리 뛰어난 연주라도 관객이 없다면 공연은 존재하지 않는다. 공급 위주의 마케팅과 유통은 예측이 어렵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반면, 수요자가 분명한 대상을 겨냥해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방식은 빠른 반응과 현금화를 가능케 한다. 바로 여기서 ‘인터뷰 기사화’가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른다. 인터뷰는 단지 정보를 나열하는 형식이 아니다. 연주자의 예술관, 준비 과정, 작품에 얽힌 이야기 등 인간적인 매력을 전달하며 관객과의 정서적 연결을 만든다. 인터뷰를 통해 기사화된 내용은 SNS나 카카오톡으로 빠르게 유통된다. 이는 기술과 콘텐츠가 결합한 새로운 홍보 생태계의 출발점이다. 연주자 중심의 콘텐츠로 직접 소통을 가능하게 대다수의 연주자들은 스스로 관객을 모으는 데 익숙하지 않다. 초청 형식의 공연이 일반화되어 있고, 티켓 판매 역시 어려운 현실이다. 과거에는 전단지와 포스터에 의존했지만, 현재는 이러한 방식이 관객의 관심을 끌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아직도 예술의전당을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