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하이데거, 니이체를 넘어 우리 철학을 바로 세워야 바로 선 다
K-Classic News 박정진 철학자 | 양재동 시냇가를 바라보며 앉아 있는 칸트 아직도 한국의 철학자들은 서구 학자들의 문서와 책들을 마치 성경을 읽듯이 창세기 몇 장 몇 줄 하듯이 문서 몇 번 몇 줄을 표기하면서 자신의 지식 자랑을 일삼는 데서 자기 임무를 다했다는 안일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한국 철학이 단순한 서양 철학의 전도사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주인이 아닌 종의 철학이다. 이는 마치 기독교 목사가 성경에 장절을 외치면서 설교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말하자면 서양 철학은 또 다른 서양 종교가 된 셈이다. 한국인의 종교적 심성이 유독 강한 탓일까? 우리는 외래 사상이나 문물이 들어오면 처음에는 강하게 저항하는 척하다가 나중에는 거의 무방비 상태로 무조건 받아들이고 숭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한민족의 여성성이라고 하면 지나친 비하이고 편견일까? 한국인은 외래 사상을 시시비비 따지기 전에 무조건 받아들이고 본다. 그리고 한 번 받아들인 것은 세상이 변해도 지키는 습성이 있다. 스스로 창조적 이성으로 생각하고 토론하는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외래 문물은 국내에 들어와서는 쉽게 당파를 형성한다. 내용보다 형식이 중요하고 실질보다 허례
- 박정진 철학자 기자
- 2025-03-28 1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