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아직도 골똘한 생각과 신문을 보고 계신가요?
누구도 시대의 흐름을 막을수는 없다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이 신문의 폐간 사례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2011년 36.7%에서 2018년 86.7%로 약 2.4배 증가하였다. 동시에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도 2022년 기준으로 77.2%로, 처음으로 TV를 통한 뉴스 이용률(76.8%)을 넘어섰다.
종이 신문의 폐간 현황도 마찬가지다. 미국에는 2005년 약 8,891개의 신문사가 있었으나, 2022년 5월 말 기준으로 6,377개로 감소했다. 약 2,500개 이상의 신문사가 폐간(廢刊)된 것으로, 매주 2개꼴로 폐간한 것이다.
우리나라 종이 잡지의 폐간 현황 역시 가장 오랜 전통의 잡지였던 49년 역사를 가진 월간 <샘터>가 2019년 폐간하며 종이 잡지의 쇠태를 예고하고 나섰다. 2010년에 2,744종의 잡지가 폐간되었으며, 2011년에는 424종이 폐간되었다. 이게 10년 전 이야기니까 오늘의 현황은 더욱 가속화되고 았다. 누구도 트랜드의 변화는 막을수 없다.
하루 독자 평균1,370명 매월 41,100명, 잡지의 40배가 넘어
이같은 변화를 예상하고 2021년 8월 창간한 K-Classic 뉴스가 오는 8월이면 창간 4년을 맞는다. K클래식뉴스는 '독자가 만드는 신문'을 표방하며 더욱 풍성한 클래식 플랫폼으로 탄생을 준비 중이다. 현재의 속도라면 오늘 8월이면 200만 독자뷰(view)를 상회할 것으로 보여, 하루 평균 1,370명의 독자가 K클래식뉴스를 읽은 것으로 집계된다. 그간 1일 최대 뷰는 2025년 1월 7,600명이다. 이에 K클래식은 분야별 필진을 한층 강화하고, 전국지를 넘어 글로벌 실시간 매체로 문호를 개방할 것이다. 변화의 속도가 눈부신만큼 언론 소비자인 독자들의 매체를 보는 시각도 달라졌으면 한다. 그러면서 검색으로 통하는 시대에 클래식계에 새로운 미디어 총아가 될 것을 목표로 한다.
소통과 홍보 마케팅이 아티스트를 살린다
탁계석 K클래식뉴스 발행인은 '아직도 인터넷 신문 활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에게 소정의 비용으로 마음껏 뉴스를 자신의 안방처럼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 1년 기사 게재비를 내는 것이 효율적이란 것이 운영진이 내린 결정이다. (*기존 잡지 매체 2~3 페이지 기사(광고 포함) 80만원~100만원) 종이 매체에서 보면 매우 파격이다. 그렇다고 누구나 싣는 것은 아니고 일정의 수준을 검증하여 고품격 매거진이 되도록 할 것이다. 여기에 동영상 탑재가 가능하고 구글 검색도 가능하니 달라진 언론 환경이 주는 최고의 뉴스 플랫폼'이라고 했다.
동시에 비평가인 탁회장은 예술가들의 진로와 무대 등을 만들어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날수 있도록 멘토링을 해서 AI 시대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새 예술 문법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했다. 특히 창작을 중심으로 K클래식 상품화와 소비시장, 그림과 클래식의 공동 개척 등 병행해 나갈 것이라며 아티스트의 마인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새로운 변화의 물길이 거세게 밀려오고 있지만 기득권 매체는 손을 떼지 못하고, 분명한 방향이 될 뉴미디어 사이에서 예술가들은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요즈음 회자돠는 말처럼 누군가가 해야 하고, 지금이 해야 할 때라면, 나서서 해법을 찾는 것이 맞다는 뜻이다. 이 역시 언론의 길이 아닐까 싶다.
*온라인 계좌: 우리은행 1002-931-412158 예금주(탁계석)
홍보 기사 : 1회 10만원/ 프리미엄(기사 무한 리필) 1년 100만원 (100명 한정) /보급형 50만원
박상수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