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원종섭 문화심리] 질투 - 모자르트와 살리에리

A Better Me
꿈은 더 나은 내일을 향해
질투는 나의 힘

K-Classic News 원종섭  문화 비평가 |


 

 

질투의 법칙

 

 

 

 

 

 

 

 

질투는 휴일이 없다.

질투는 가장 사악하고 비열한 감정이다.

이는 악마의 속성이다. -프랜시스 베이컨

 

 

시기심은 살아있는 자에게서 자라다 죽을 때 멈춘다. -오비디우스

 

 

질투는 나의 힘 -기형도

 

 

평온한 마음은 몸의 생명이고 질투는 뼈의 염증이다. -구약성경

 

 

질투심 많은 사람은 이웃 사람들이 살이 찔 때

마르게 된다. -호라티우스

 

 

시기와 질투는 언제나 남을 쏘려다가 자신을 쏜다. -맹자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스승을 만나면 스승을 죽이라. -석가모니

 

 

배가 고픈 것은 참을 수 있지만,

배 아픈 것은 참기 어렵다 -한국 속담

 

 

거지는 거지를 시기하고 시인은 시인을 시기한다는 - 헤시오도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의 미들네임으로 쓰여진 영화 아마데우스 Amadeus에 나오는 궁중악장이었던 살리에리 Antonio Salieri는 모차르트가 나타나기 전까지만 해도 당대의 촉망받는 음악가였으며 사람들의 찬사와 환호를 한 몸에 받았다. 그러나 모차르트가 나타나고 아무리 노력해도 모차르트를 이길 수 없다는 현실 앞에서 살리에리의 질투는 불타오른다. 평소 자신이 그토록 경멸했던 그 질투 말이다.

 

 

 

 

르네상스 시대의 두 천재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도 그러했다.

 

 

 

우리는  '결핍 심리 scarcity mentaliry'  때문에 걸핏하면 질투심에 사로잡힌다.

성경에서도 형 가인의 동생 아벨 살해 사건을 비롯해 시기, 질투장면이 무수히 등장한다. 하느님도 질투한다고 했으니 무슨 말을 더 하겠는가.

 

 

 

 

시기, 질투는 잘만 활용하면 성장, 발전의 동력이 될 수도 있다. 시기심을 바탕으로 상대방을 이기겠다는 열정을 갖는다면 당연히 장려할 일이다.

 

 

우리가 단순히 시기심을 갖는다고 해서 크게 양심의 가책을 느낄 필요는 없다. 심리학에선 누구에게 '남의불행이나 고통에 기쁨을 느끼는 감정이 있다고 진단한다. 독일어 샤덴프로이데(Schadenfreude)가 그것이다. 미국 소설가 고어 비달은 “친구가 성공할 때마다 나는 조금씩 죽는다”라고 고백했다. 

 

 

문제는 그 정도가 심해 남이 잘되는 것을 공연히 미워한 나머지 그를 끌어내리려고 모함하거나 치졸한 방법으로 음모를 꾸미는 경우다. 이럴 경우 건강했던 인간관계가 깨지고 자기 주변을 피폐하게 한다. 베이컨을 비롯한 철학자들이 시기, 질투심을 이구동성으로 사악하고, 비열하고, 추악하고, 반사회적인 감정이라고 규정한이유 아닐까.

 

 

 

 

 

시기, 질투심을 경계해야 하는 더 큰 이유는 그 대상인 남보다 자기 자신을 더 크게 망칠 수 있다는 점이다. 시기심이 생겨 남을 해치고자 음모를 꾸미다 오히려 자신이 낭패를 보는 사례를 우리는 자주 본다. 그리스 신화에 '시기는 자신의 화살로 자살하는 행위다”라는 말이 나온다. 

 

 

시기, 질투심은 '마음 챙김' 노력으로 제거하는 것이 두말할 필요도 없이 좋다. 그 지름길은 잘되는 남과 비교하는 마음을 가급적 갖지 않는 것 아닐까 싶다.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비교는 기쁨을 훔쳐가는 도둑”이라고 했다.

 

 

타인의 행복에 기쁨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

불교의 '무디타 Mudita'가 바로 그것이다

 

 

 

 

타인의 행복을 기뻐함으로써 우리 안에서 진정한 행복을 찾을 방법이 있다. 타인의 행복을 공유하는 수행은 불교 경전에 쓰였던 팔리어 Pali로 무디타Mudita라고 한다. 

 

 

'공감의 기쁨  empathic joy' 이 다

 

 

달라이 라마의 말처럼, 세상엔 너무나 많은 사람이 있으니 그들의 행복을 우리 행복의 근간으로 삼는 게 어떤가? 그러면 기쁨을 경험할 가능성이 거의 80억 대 1로 늘어난다. 그야말로 높은 확률이 아닌가.

 

 

 

 

타인의 행복을 축하하도록 배우면, 행복이 결코 한정판 상품이 아님을 알게 된다. 타인의 행복은 우리 몫을 줄이기는 커녕 우리가 추구하는 행복을 우리 앞에 가져다 준다.

 

 

 

 

 

 

 

당신은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뜻밖의 능력자 입니다

 

 

 

원종섭   Won  Jong -Sup

시인,  길위의 인문학자,  교육학 박사, 문화예술 비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