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ews GS,Tak | Fuad Šetić (Schweinfurt, 1995) is a Bosnian conductor and collaborative pianist. He has been active since 2014. He completed his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ies in Orchestral Conducting at the Academy of Music, University of Sarajevo, where he was awarded two Golden Badge Awards and the Dean's Award for exceptional study results. He completed his Master’s degree in Music Business Management in 2020 at the University of Westminster (London), where he was a Chevening scholar. As a choir singer, orchestral player, accordion soloist, collaborative pianist and a conductor, he has
(K-News GS, Tak) 활발한 교류로 팬데믹 이후 인류 문명에 기여를 For Contributing to human civilization after the pandemic through active exchanges 탁계석 회장: K-Classic 100인 명예감독 위촉이 완성되었다ㆍ박종휘 총예술감독의 노력에 감사하다. 각 나라 명예감독들의 반응은 어떤가? GS, Tak: Appointment of K-Classic 100 Honorary Directors has been completed. Thank you for the efforts of Artistic General Director Vakh Jonghwi. What is the reaction of the honorary directors in each country? 박종휘: 총 36개국의 나라 지휘자가 위촉을 받았다. 한국. 미국. 일본. 프랑스. 스페인. 이태리. 포르투갈. 독일. 스위스. 벨기에. 네델란드. 아일랜드. .스웨덴. 노르웨이. 러시아.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보스니아. 그리스. 터어키.조지아. 레바논. 이집트. 시리아.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
(K-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전용극장을 확보하라 전용극장을 확보하라 우선 오페라극장을 예술의전당에서 분리해 독립화해야 합니다. 우리의 새로운 아이디어가 아니라 국제적인 표준의 극장시스템을 갖추자는 것이죠. 창작의 경우 좀 규모가 작은 토월극장 정도를 우선은 전용극장화해서 창작 실험과 재연(再演) 등으로 관객과 친화력을 만들어야 합니다. 국악기를 포함한 다양한 편성의 쳄버 혹은 전문 오케스트라가 필요하고요. 동시에 대학도 우리 오페라를 커리큐럼에 넣어서 서양오페라 일변도의 과정에서 벗어나야합니다. 지금껏 성악가 중심이어서 우리 것을 다루지 않는 관행이 굳어져 내려왔지만 개편(改編)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우리 오페라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을 극복해야 하는데, 그 방법의 일환으로 갈라콘서트에서 서양오페라 아리아와 우리 아리아를 전, 후반으로 넣어서 관객의 호응도 조사를 해보면 상당 부분 오해가 풀릴 것입니다. 그런 다음 각종 콩쿠르나 입시에 한국 작품 쿼트를 적용해서 활성화가 곧 창작 완성도를 높이는 실질적인 길이기에 정책에서 밀어 붙여야 합니다. 창작예산을 확보하라 창작오페라 예산을 기존 레퍼토리에서 보다 더 많은 투자가 될 수 있도록 예산 확보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