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prize

전체기사 보기
prize

풍자 가곡 ‘와인과 매너’… 콩쿠르 열어 국민가곡 만든다

– 초연 18년, 유머와 사교를 노래한 한국 가곡의 이색 변신 –

김은정 기자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서울=문화] 2007년 초연된 탁계석 작사, 정덕기 작곡의 풍자 가곡 〈와인과 매너〉가 올해로 18주년을 맞았다. 유머와 재치를 담아 한국인의 음주 문화를 비틀어 본 이 곡은, 성악가들의 애창 레퍼토리로 자리잡으며 웃음과 메시지를 동시에 전해왔다. “와인은 막걸리가 아닙니다” 가사는 “꽃을 보듯이 고운 눈으로, 사랑을 속삭이는 연인처럼 와인은 은미하게 마셔야 한다”로 시작한다. 이어 폭탄주·원샷 습관을 경계하며 청중에게 ‘천천히, 우아하게 즐기는 법’을 권한다. 작곡가 정덕기는 기존 가곡의 서정성을 과감히 벗어나, 3개의 변화악장을 가진 탄탄한 구조에 마지막 왈츠 장면 “Drink Drink Beautiful Life”를 삽입했다. 이는 한국 가곡에서 보기 드문 사교 무도회풍의 음악 문법이다. 작사가 탁계석은 “당시 와인이 막걸리처럼 벌컥 마셔지는 현실을 보고 사회 풍자 캠페인송을 만들어 보자는 생각을 했다”며 “웃으면서도 문화 매너를 돌아보게 하는 노래”라고 밝혔다. 해외에도 있는 유머와 사교의 노래 외국에서도 사회 풍자와 사교적 분위기를 결합한 노래가 장수 인기곡으로 남은 사례는 많다. 요한 슈트라우스 2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