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속에 잠든 이 누구신가 그대가 밀어 올린 꽃줄기 끝에서 그대가 피는 것인데 왜 내가 이다지도 떨리는지 그대가 피어 그대 몸 속으로 꽃벌 한 마리 날아든 것인데 왜 내가 이다지도 아득한지 왜 내 몸이 이리도 뜨거운지 그대가 꽃 피는 것이 처음부터 내 일이었다는 듯이. "언제나 몸이 먼저 반응하고, 가슴이 먼저 쿵쿵거려요." 가혹한 현실을 살아가는 존재들의 고통과 슬픔을 어루만지며 타자의 몸속으로 스며드는 시인의 애잔한 사랑의 시편들은 가슴 한켠을 촉촉이 적셔줍니다 시인이 품어내는 삶의 경이로움 오염되지 않은 천연의 감각기관을 가진 문학의 전방위를 넘나드는 그녀의 글은 담대하면서도 따뜻합니다 생명의 약동과 사랑의 환희를 찬미하는 구절들 언제나 조곤조곤 사람의 마음을 파고드는 신선한 힘을 가졌습니다 시인의 선명한 에너지의 기원은 '사람들, 그 관계 속에 있는 사랑과 우정’ 이라 말합니다 김선우 金宣佑, 1970~ 대한민국의 시인입니다.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했습니다. 1996년 《창작과비평》겨울호에 시〈대관령 옛길〉등 열 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했습니다. 현재 '시힘'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대문학상> 〈천상
K-Classic News 원종섭 평론기자 | 어떤 사람 이상한 일은 어떤 사람을 만나면 몹시 피곤해진다는 것, 그런 사람과 함께 있으면 마음속 생각이 모두 움츠러들어 마른 잎처럼 바삭거린다는 것. 그러나 더 이상한 일은 또 다른 사람을 만나면 마음속 생각이 갑자기 환해져서 반딧불이처럼 빛나게 된다는 것. Some people Isn’t it strange some people make you feel so tired inside, Your thoughts begin to shrivel up like leaves all brown and dried! But when you’re with some other ones, it’s stranger still to find Your thoughts as thick as fireflies all shiny in your mind! - Rachel Lyman Field, from <The Pointed People> 우리의 마음을 반딧불이처럼 밝히는 힘을 가진 시입니다 그렇습니다 두 종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기를 빼앗고 인생을 재미없게 만드는 사람과 봄날처럼 마음이 밝아지게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나 역시 누군가
K-Classic News 원종섭 평론 기자 | 바람만이 아는 대답 사람은 얼마나 많은 길을 걸어봐야 진정한 삶을 깨닫게 될까? 흰 비둘기는 얼마나 많은 바다 위를 날아야 백사장에서 편히 쉴 수 있을까? 전쟁의 포화가 얼마나 많이 휩쓸고 나야 영원한 평화가 찾아오게 될까?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어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얼마나 많이 올려다보아야 진짜 하늘을 볼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귀들이 있어야 타인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사람이 희생되어야 무고한 사람들의 죽음을 깨달을 수 있을까?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어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얼마나 긴 세월이 흘러야 산이 씻겨서 바다로 내려갈까? 사람은 참된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언제까지 고개를 돌리고 외면할 수 있을까? 친구여, 그건 바람만이 알고 있어 바람만이 그 답을 알고 있다네 Blowin' In The Wind How many roads must a man walk down Before you call him a man? Yes, 'n' how many seas must a white dove sail Before she sleeps on the san
K-Classic News 탁계석 예술비평가회장 | 자기가 좋아하는 소리 고르는 소비자 길러야 시장 정상화 한국 무기 시장 K방산이 대박이났다. '방산' 어벤져스들. K-2 전차와 K-9 자주포, FA-50 경공격기다. 세계 각국의 러브콜을 받으며 누적된 것을 합하면 100조 시장이 만들어 지고 있다. 어마 어마한 축포가 터진 것이다. 이것 뿐일까? 아니다. 한국의 손재주는 도자기, 공예 등에서 최고의 명품을 만들어 내는 수준이어서 모든 것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이미 확보했다. 문제는 국산에 씌워진 낡은 프레임이다. 오랫동안 그것도 과다하게 서양 수입에 길들여진 탓에 우리 것을 보려 하지 않고, 들으려 하지 않는 인식의 얄팍함이 지금도 많이 깔려 있는게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전 분야에서 K 주가는 상승세다. 이걸 하나씩 풀어내고 실제화를 통해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필요 한 때다. 이번에 K악기란 이름으로 제작 악기 연주회를 갖는 것도 이때문이다. K클래식은 동병상련의 심정으로 K악기와 어께동무를 하면서 홍보 마케팅을 도울 것이다. 우리클래식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올드 악기를 둘러싼 의혹과 왜곡을 씻어내야 클래식이 정상화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제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 회장 | 박일관 올댓 트레이더 대표 K클래식은 K 팝에 이어 신상품이다. 100년 넘게 수입 클래식에서 이제 우리 클래식을 수출해야 하는 때다. 오랜 서구 수입품 클래식에 이제는 우리 작곡가들의 발명품이라 할 수 있는 창작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다. 누구보다 개척자의 부단한 실험과 어려움을 잘 안다. 그래서 이번에 '메디워트 7'이란 기능성 음료를 접하고는 효과를 보고 있는 분의 인터뷰를 싣는다. 흥과 신명이 담긴 K클래식도 건강해야 들을 수 있고 표현할 수 있다. 음악가나 예술가들의 건강을 위해서도 이런 정보는 유익할 것이란 판단이다. 언제나 선택은 자유이고 그 선택이 새로운 길을 만들죠 탁계석 K클래식 회장: '메디워터 7'이란 어떤 음료입니까? 용기에는 무색. 무취. 무향, 깨끗한 물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박일관 올댓트레이더 대표: 유산균 음료인데요. 이게 지금 한 4년간인가 메디플러스 최이교 대표님께서 연구 끝에 만들어내셨죠. 최근에야 홍보가 시작이 됐습니다. 현재 저희는 몰랐는데 당뇨 카페가 있더라고요. 그 당뇨 카페의 회원이 24만 명이 된답니다. 근데 우리나라에 점차 당뇨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탁월한 발성법과 뛰어난 목소리, 감성적 능력을 지닌 소프라노 황신녕의 귀국 독창회가 오는 3월 30일 목요일 오후 7시 30분, 영산아트홀에서 열린다. 이날 공연에서 황신녕은 로베르트 알렉산더 슈만의 <Frauenliebe und Leben 여인의 사랑과 생애>로 1부를 꾸민다. 이어지는 2부에서는 클로드 아실 드뷔시의 <Ariettes oubliées 잊혀진 노래>와 가에타노 도니체티 오페라 ’Lucia di Lammermoor(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Regnava nel silenzio 깊은 침묵은 밤을 덮는다>를 피아니스트 이소영과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부산예술고등학교와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성악과(사사:신영조)를 졸업 후 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Conservatorio di Musica “Giuseppe Verdi”)을 만점으로 졸업한 후 스위스 제네바 국립 고등음악원(Haute école de musique de Genève)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고 프랑스 마르세유 오페라 스튜디오(Opéra Municipal de Marseille)를 졸업한 소프라노 황신녕은
K-Classic News 오형석 기자 | 사진가 김용호와 LG전자가 함께 ‘MADE IN CHANGWON’ 전시를 오는 3월 28일부터 4월 2일까지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지난 2022년 서울 강남구 모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전시를 확대 기획한 이번 ‘MADE IN CHANGWON’ 전시는 가로 60미터, 세로 40미터의 거대한 전시장에 창원의 도시와 자연, 그리고 창원시와 반세기를 함께한 LG전자의 숭고한 노력을 담아내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년 ‘MADE IN CHANGWON’에서 만나볼 수 있었던 김용호 사진작가의 작품들이 공간에 걸맞는 스케일로 새롭게 설치되었다. 창원컨벤션센터 3층 제3전시장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무료로 관객들에게 선사한다. 전시주최는 LG전자, 주관은 앤컴퍼니가 맡았으며 창원특례시에서 후원한다. 오프닝은 오는 3월 27일 월요일 오후 4시에 시작되며 오프닝에서는 특별한 공연을 볼 수 있다. LG전자 H&A사업본부 CX담당 이향은 상무는 이번 전시를 ‘MADE IN CHANGWON : M623GNN392’는 항상 남들보다 앞서 세계 최고의 제품을 생산하는 고객경험혁신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스위스를 중심으로 유럽 전역에서 오페라, 오페레타, 오라토리오, 뮤지컬 등 폭넓고 다양한 무대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테너 조중혁의 독창회가 오는 3월 31일 금요일 오후 7시 30분,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다. 이날 공연 1부에서는 페르골레지의 <Tre giorni son che Nina 삼일째 잠든 니나>로 무대를 연다. 이어서 슈베르트의 <Schwanengesang, D. 957 백조의 노래> 중 다섯 곡과 로이터의 <3 Lieder nach Gedichten von Friedrich Hölderlin, Op. 67 횔덜린의 시에 의한 3개의 가곡> 전곡을 선보일 예정이다. 2부에서는 드뷔시의 <Ariettes oubliées 잊혀진 노래> 중 세 곡과 차이코프스키 오페라 ‘예브게니 오네긴’의 <Kuda, kuda, kuda vi udalilis 어디로, 어디로, 어디로 갔나 내 청춘>, 푸치니 오페라 ‘요정 빌리’의 <Ecco la casa... Torna ai felici dì 여기 집이... 행복했던 시절로 돌아가서>를 피아니스트 권한숙과 함
K-Classic News 오형석 기자 |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선승혜, 이하 문화원)은 영국 왕립음악원과 협력하여 3월 ‘하우스 콘서트’를 개최한다. ‘하우스 콘서트’는 영국 내 한인 클래식 신진 음악가에게 무대 기회를 제공하는 기획 프로그램이다. 선승혜 주영한국문화원장은 “미래문화의 주역이 될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무대를 여는 일은 무엇보다도 뜻깊다. 셰익스피어가 소네트에서 ‘이것이 살아있는 한 그대에게 생명을 준다’라고 말한 것처럼 차세대 예술의 발견을 기대한다.”며 소망을 내비쳤다. 3월 하우스 콘서트는 특별히 신진 음악가와 스승과의 협연 공연을 마련하였다. 3월 30일(목) 오후 7시 런던 중심가에 위치한 세인트 제임스 피카딜리 교회(St James’s church, Piccadilly)에서 올려진다. 강구일(바이올린), 우하영(바이올린), 권다희(비올라), 김하은(첼로)로 구성된 스트링 쿼르텟은 멘델스존 <현악 4중주 제 6번 바단조, 작품번호 80>, 바버 <현을 위한 아다지오>, 그리고 드보르작의 <현악 4중주 12번 바장조 작품번호 96 아메리카> 곡을 연주 한다. 강구일 바이올리니스트는 20세기 가장 위대한 바이
K-Classic News 진금하 기자 | 마포구가 제78회 식목일을 앞두고 오는 30일 오후 2시 레드로드의 KT&G 상상마당 앞에서 300여명의 주민들과 함께 나무심기 행사를 연다. 이번 식목행사는 기존처럼 공원이나 산에 나무를 심는 게 아니라, 거리의 대형 폐화분을 재활용해 식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대형 화분은 레드로드 거리의 경관 조성에 활용될 계획이다. 식목행사에 쓰이는 화분은 그동안 거리에 방치되거나 낡은 대형 화분 87개다. 화분 폭이 약 1미터에서 2미터 사이로 부피가 크다보니, 거리 미관을 해치더라도 이동이 어려워 그대로 방치되기 일쑤였던 철재화분 62개, 목재화분 21개, 돌화분 4개다. 식재에 앞서 낡은 목재화분을 단단히 맞추기 위해 못질을 하는 등 수리작업을 가진 뒤 배롱나무 254주와 철쪽 120주 등 총 374주를 심을 예정이다. 4월경에는 작업이 끝난 87개 화분에 그림도 입힌다. 가로 20센티미터, 세로 24센티미터의 화판(유화를 그린 판자) 조각을 이어 붙여 어둡고 단조롭던 화분을 공공미술작품으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화판은 지역의 어린이집과 초중고교 학생들이 그린 그림으로 채워질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