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김지은 기자 | 1952년 8월 29일 미국 뉴욕주 우드스톡의 야외 공연장.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가 무대 위에 등장한다. 피아노 앞에 앉은 튜더는 악보를 펼치더니 피아노 뚜껑을 닫았다. 몇 초의 정적이 흐른 뒤 그는 다시 피아노 뚜껑을 열었다. “이제 정말 시작하려나 보군.” 하지만 관객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그는 또다시 뚜껑을 닫아버린다. “뭐하는 거야.” 사람들이 수군거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피아노 뚜껑만 여닫기를 반복한 피아니스트는 인사를 하고 퇴장했다. 미국의 작곡가 존 케이지(1912∼1992)의 ‘4분 33초’가 초연된 이날, 아무 연주도 하지 않은 연주자는 사실은 충실히 악보를 따랐다. 1악장 33초, 2악장 2분 40초, 3악장 1분 20초로 짜인 곡의 악보엔 음표는 하나도 없고 ‘타셋’(TACET·침묵)이라고만 쓰여 있었기 때문이다. 연주자는 시간에 맞춰 악장이 시작할 때 피아노 뚜껑을 닫고 끝날 때 연 것이다. 청중들은 피아노의 침묵 속에 무언가를 듣긴 들었다. 나무 옆을 스치는 바람 소리, 갑자기 튀어나온 기침 소리, 웅성거리는 소리…. 케이지는 이런 소음들도 음악으로 여겼다. 연주시간 동안 현장에서 우연히 발생하는 모든 소리가
K-Classic 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 탁계석평론가: 이번 광복절 음악회는 어떻게 해서 열렸는지요? 정나래 지휘자:네, 해외에 까지 관심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음악회는 독일 Castrop-Rauxel에 위치한 오이로파홀에서 재독 한인 총 연합회 주최로 개최된 것입니다.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과 재외동포재단 후원의 제77 주년 광복절 기념 문화행사(8월 20일)로 기획된 것이죠. 이는 매년 재독 한인회 주최로 광복절 행사가 독일에서 진행되어 왔는데 올해에는 특별하게 독일 도르트문트 청소년 합창단이 참여를 하는 기쁨을 갖게 되었고 무엇보다 우리 동포들이 큰 감동을 받았다며 저희들에게 큰 박수를 보내져서 자긍심을 느꼈도 뿌듯했답니다. 음악의 힘, 음악의 소통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경험한 기회로 앞으로 이런 행사가 전 지구촌 우리 동포사회에 동시에 일어나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가져본 참으로 독일 합창단 입장에서도 소중한 경험이었습니다. 탁: 어떤 곡들을 연주했는가요? 정: 독일 도르트문트 청소년 합창단은 한돌 작사, 작곡의 배선경 편곡인 ‘홀로 아리랑’과 홍난파 작곡의 조혜영 편곡인 ‘고향의 봄’을 불렀습니다 단원 모두가 외국인 합창단임에도 정확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광진구 미건테이블 식당 (광진구 동일로 260) Photo: 박은용 어제(25일), 내한 공연을 모두 마치고 단원들은 스페인 비행기를 탔다. 코로나에 태풍에 그 어느 때 보다 힘든 상황에서 단원과 지휘자는 죽을 힘을 다해 땀을 쏱으며 전국을 누볐다. 가는 곳 모다 열광이었고 특히 광주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자 콘서트 장내는 환호에 휩싸였다, 그래서 광주에서만 2회를 했고 여기에 임준희 작곡 탁계석 대본의 칸타타 한강에 나오는 '두물머리 사랑'도 불렀다. 호응이 좋았고 지난 세종대 대양홀(22일)에서 직접 관람할 수 있었다. 스페인에서 윤석열 대통령 밀레니엄합창단이 부르는 '우리의 소원' 듣고 눈물 합창단은 올해 23년차가 되어 이제 많은 사람들이 이들의 활동을 알게되었다. 그러니까 외국 단체가 우리 말을 배워서 가곡을 부른 것은 새로운 영역의 길을 개척한 것이다. 이것이 K클래식 신한류의 뿌리에 해당한다. 지난 달 윤석열 대통령께서 스페인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밀양아리랑을 불렀고 앙코르로 '우리의 소원'을 부르자 대통령께서 눈물을 보이셨다고 한다. 이제 밀레니엄이 또 다른 시장 개척을 하기 좋은 타이밍이 왔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대한민국 최정상급 남성 아티스트들의 주옥같은 무대! The Men's Choir는 국내외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인 성악가 모임으로 공동 예술 활동을 통해 전문적인 연주와 학술적인 연구 및 교류를 통하여 성악 문화 발전 및 대중화를 도모하고 국제교류를 통하여 한국 성악 문화의 위상을 높이고 세계적인 남성합창단을 만들고자 2008년 3월 창단하였다. 지난 2008년 7월 창단 연주회를 시작으로 수회의 정기연주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다양한 기획연주회를 비롯하여 찾아가는 음악회 등을 계획하여 활동하고 있다. PROFESSIONAL 모든 멤버가 유럽과 미국 등에서 유학을 마치고 현재 국내외에서 왕성한 활동과 후학을 가르치는 외래교수 및 전임교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적인 남성합창단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POWERFUL 남성성악가들의 힘 있고 웅장한 음악을 통하여 대한민국 성악 발전에 기여하겠습니다. POSITIVE 음악의 힘을 통하여 Positive한 문화를 형성해 가겠습니다. PUBLIC 대중과 더욱 가까워지는 합창단이 되겠습니다. PURE 최선을 다하는, 늘 순수한, 영혼이 맑은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 작가, 연출가, 배우와 협업 통한 대본 개발 및 작품화 - 세종시문화재단(대표이사 김종률)은 지난 24일 박연문화관에서 지역특화 창작공연제작 <가치만듦>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공모전은 총 11개의 작품을 심사하였고, 대상은 뮤지컬 <산타클로스 프리퀄>, 최우수상은 연극 <아홉거리>가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700만원과 300만원의 상금과 상장이 수여됐다. <가치만듦> 공모전은 세종시문화재단이 지역 브랜드 공연 제작을 위해 세종시에 주소지를 둔 예술인을 대상으로 설화, 민담, 역사 등 세종시를 소재로 하는 시놉시스와 짧은 대본을 공모한 사업이다. 재단은 심사평에서 뮤지컬 <산타클로스 프리퀄>은 모든 계층, 세대, 지역에 공감될 수 있고 사업의 브랜드를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대상으로 결정됐으며, 연극 <아홉거리>는 안정적인 구성으로 전국 유일의 ‘아홉거리’를 지역 브랜드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받아 최우수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대상 수상자 김의연씨는 “공연 연출가를 준비하는 사람에게 세종시문화재단의 <가치만듦> 공모전은 감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문명의 폐허 속 존재에 대한 사유를 남은 녹백, 시인 최승호의 "마지막 눈사람"을 원작으로 한 작곡가 최우정의 합창음악극 마지막 눈사람 Classic The Last Snowman Cone 4 <마지막 눈사람>은 작곡가 최우정이 시인 최승호의 작품 "마지막 눈사람"을 기반으로 작곡한 합창음악극이다. 원작은 빙하기 지구에 홀로 남은 눈사람의 독백을 통해 문명의 폐허 위에 서 있는 한 존재의 절망감과 고독 그리고 허무를 다룬다. 그동안 다양하고 깊이 있는 작품으로 관객들과 소통해 온 작곡가 최우정이 국립합창단과 함께 선보이는 초연작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높인다. 여기에 영상 및 무대 연출과 배우 김희원의 내레이션이 더해져 한층 더 공감할 수 있는 무대를 선사할 것이다.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뉴욕타임즈 기사 노란우산 : 글 없이 음악과 함께 하는 비오는 날 이야기(글 : 제니 앨런) When I first flipped through ''Yellow Umbrella'' and found a CD tucked in a plastic pocket inside the back cover, I felt cranky. Does everything have to come with a CD or a CD-ROM or a tape or a video? Can't a book just be a book anymore? 나는 처음 “노란 우산”을 펼쳐 들고 뒤 커버 안 쪽에 CD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보고 기분이 좀 상했다. 이제는 너무나 많은 그림책에 CD나 CD-ROM, 카세트, 비디오 테이프가 함께 수록되어 있다. 더 이상 책은 책 자체만으로 존재할 수 없는 것일까? So I put off listening to the CD, a musical accompaniment to the pictures in this lovely wordless book, fearing it would be superfluous at b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안녕하세요? 탁계석 선생님, 바쁘신데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프로그램은 EBS-FM <정경의 11시 클래식>입니다. 자동차에서 들으실 때.. 수도권 주파수는 FM 104.5MHz입니다. 스마트폰에서 ebs반디 앱을 다운로드받으면 어디서나(우리나라 시간11시~12시에) 정경의 11시 클래식 청취가 가능합니다.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생방송으로 진행 출연해 주실 방송 일은 9월 7일 수요일입니다. 오전 11시부터 12시까지 생방송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방송 중에는, 보이는 라디오와, 유튜브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됩니다. 방송 후에는 방송내용을 편집해서 유튜브에 올리게 됩니다. *편집하는 이유는 저작권 문제있는 음악 삭제 등 입니다. 저작권에 문제 없는 곡이나, 사용할 수 있는 유튜브영상은 편집을 통해서 함께 올릴 수 있습니다 :) 9월 7일에는 오전 10시 20분까지 일산에 있는 EBS로 와주시면 됩니다.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작은 키가 고민인 쌍둥이 형제, ‘합’과 ‘체’의 열혈 성장 분투기 무장애(배리어 프리) 공연, 무대가 들리고 노래가 보인다 수어를 활용한 안무, 극 중 배역에 녹여낸 음성 해설 점자 프로그램, 터치 투어 등 장애인 관객 접근성 고려한 서비스 확대 장애인 당사자성을 담아내는 다양한 시도 농인이 수어 대본 번역하고, 장애인 역할은 장애인 배우가 연기 국립극장은 박지리 작가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음악극 ‘합★체’를 9월 15일(목)부터 18일(일)까지 달오름극장에서 초연한다. 저신장 장애인 아버지를 둔 쌍둥이 형제의 성장담을 그리는 작품으로, 한글 자막과 음성 해설, 수어 통역이 함께하는 무장애(배리어 프리, Barrier-free) 공연으로 선보인다. 음악극 합★체는 진지한 문제의식과 개성 있는 문체로 우리 사회에 묵직한 질문을 던진 박지리 작가의 소설을 무대화한 작품이다. 작품의 연출은 극단 다빈나오의 상임 연출가이자 20여년간 장애 예술인과 다수의 작품을 만든 연출가 김지원, 극본은 시대적 감각이 돋보이는 극작가 정준이 맡아 원작 특유의 유쾌한 감성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합★체는 저신장 장애인 아버지와 비장애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There's a choir in Spain that sings Korean folk songs, while wearing Hanbok. All members are local, except for the conductor. They visited South Korea for a special concert tour. Song Yoo-jin gets us better acquainted with Grupo Vocal Millennium Promoting Korea by singing in Korean. That's what the Grupo Vocal Millennium, or the Spain Millennium Choir, has been doing for the past 23 years. It's the only foreign professional choir in the world that performs Korean folk songs, such as "Arirang", while wearing the Korean traditional Hanbok. They're currently on tour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