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기자 | 지금껏 신년음악회 중 가장 메시지가 분명한 새해 음악회다. 청년의 청년을 위한 청년 청중들의 함성이 무대에 전달됐다. 희망, 비전, 혁신의 꽃이 피어난 역대급 기획이다. 만석의 청중들이 대부분 청년들이다. 젊은 콩쿠르 우승자들 지휘 송민규, 클라리넷 김한, 피아니스트 선율, 그리고 소프라노 황수미, 소리꾼 고영열, 정가 하윤주다. 공연은 시간 구성과 내용의 균형과 배치가 좋았다. 휘날레를 장식한 우효원 작곡가의 한국의 정신으로 한국형 K클래식 신년음악회의 새 모델이 탄생했다. 휴식을 없앤 것도 신의 한 수. 엘가의 무안 항공사고 추모곡을 오프닝으로 숙연한 분위기. 이후 곧 바로 클라리넷이 재즈풍의 리듬과 환타지로 댄스 파티를 만들어 관객을 무장해제 시켰다 피아니스트가 라흐마니노프로 비르투오조의 기교를 뿜어내자 열광그 자체다. 물꼬가 터지고 호흡이 빨라졌다. 화려한 기교의 보석의 아라아. 그러나 다시 정적 분위기의 영란의 시 합창단이 모란이 피기까지는~ 수묵화의 소담함을 노래했다. 흥분의 카타르시스와는 다른 품격이다. 이지수 작곡가의 아리랑 멜로디를 적시면서 곧이어 강한
K-Classic News 김의길 기자 |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에서는 한국-헝가리 수교 33주년 기념으로 <빅토르 바자렐리: 반응하는 눈Victor Vasarely: The Responsive Eye>을 전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헝가리 국립 부다페스트 뮤지엄과 바자렐리 뮤지엄 소장 작품 140점을 출품하였다.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asarely, 1906–1997)는 순수한 형태와 색으로만 세계를 완전히 표현할 수 있으며 미래의 추상미술은 우리 마음속에 있는 우주를 담아내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보고 작품 활동을 하였다. “미래의 추상미술은 우리 마음속에 있는 우주를 담아내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이다.” (빅토르 바자렐리(Victor Vasarely, 1906–1997) 문화콘텐츠 전문기업 가우디움어소시에이츠는 한국 헝가리 수교 33주년을 기념해 오는 12월 21일부터 2024년 4월 21일까지 20세기 추상미술의 한 장르인 옵아트를 대표하는 화가로 손꼽히는 헝가리 태생의 프랑스 아티스트 빅토르 바자렐리 전시는 1990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된 이래 33년 만에 다시 열리는 전시다. 특히 이번 전시에는 헝가리 국립 부다페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