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김의길 기자 | 연경인문문화예술연구소 미술 아카데미 <카라바조> 개최 노성두 강연, 석연경 진행 연경인문문화예술연구소(소장 석연경)에서는 2025 미술 아카데미 첫 번째로 2월 11일 저녁 6시 30분에 <카라바조> 강연을 추진한다. 현재 서울 예술의 전당에는 <빛의 거장 카라바조 & 바로크의 얼굴들> 전시 중이고 영화 < 카라바조의 그림자> 가 1월 22일 개봉을 하였다. 이에 맞추어 시인이자 문학평론가인 연경인문문화예술연구소 석연경 소장이 카라바조를 더 깊이 대중들에게 전하기 위하여 카라바조 강연을 기획하였다. 노성두 박사는 독일 퀼른대학에서 카라바조 연구를 한 서양미술사학자로 카라바조 전문가이다. 석연경 소장이 사회를 보는 이번 강연에서 노성두 박사는 당시 역사적 배경과 카라바조의 대표 작품을 치밀하게 분석하는 것과 더불어 영화 < 카라바조의 그림자>에 대한 분석도 진행한다. 노성두 박사의 강연 자료 일부를 소개한다. 1610년 로마 교황청은 살인 사건 후 도피 중이던 화가 카라바조의 사면 요청을 받고 이를 검토한다. 교황청에서 파견한 블랙 요원 옴브라가 카라바조의
K-Classic News 김의길 기자 | 연경인문문화예술연구소(순천시 중앙2길 11-19)는 창간호에 이어 2023년 제2호 인문학 잡지 《연경然景》을 출간하였다. 이번 호은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기념하여 '정원'을 특집으로 다루었다. 김용식 '영국 사람의 삶과 정원', 송정섭 '가드닝, 자연과 교감하면서 인간과 식물이 공존하는 채널', 온형근 '시경으로 본 한국정원문화', 최 경 '겨울 산의 보석, 겨우살이', 이안숙 '새로움과 무르익음의 정원, 순천만국가정원'이라는 제목으로 조경학자와 조경가가 다양한 시각에서 정원을 펼친다. 더불어 특집 '석연경 정원시선'에서는 「투르키에 정원」 등 정원을 소재로 한 석연경 시인의 시 19편을 선보인다. 철학 종교 부분에서는 윤석산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문화적 의의' , 문병호 '사물화에 대한 문학적 비판의 시의성', 박재찬 '이웃 종교와 어떻게 대화를 할 것인가 : 토마스 머튼의 종교 간 대화를 중심으로', 박찬일 '‘니체’에 대한 몇 가지─니체, 『비극의 탄생』'이 실려 있다. 창간호에는 불교학과 선시 등 불교와 관련된 글이 실렸으나 이번 호에는 동학과 천주교를 다루면서 종교 간 소통의 문제를 다루었
K-Classic News 김의길 기자 | 석연경 시인이 진행하는 인문학 강연이 12월 11일 오후 5시에 연경인문문화예술연구소(순천시 중앙2길 11-19, 순천시청 옆)에서 열린다. 이번 인문학은 노성두 미술사학자가 세계문화유산 1호 '파르테논 신전 이해하기' 라는 주제로 강연을 한다. 그리스는 서양 미술의 뿌리다. 그리스의 자부심인 아테나 파르테논 신전은 페르시아 전쟁 승전 기념으로 지어졌다. 파르테논 신전은 건축사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강의에서 파르테논 신전에 전해지는 그릇된 상식을 바로 잡아가고 바르게 이해하는 시간도 될 것이다. 노성두는 독일 쾰른대학교 철학 서양미술사 고전고고학를 전공했으며 이탈리아 어문학 박사로 인문학습원 교장이다. 『성화의 미소』, 『바보배 』등 120여 권의 저서와 역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회화론 외 논문 30여 편이 있다. 그리스,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 다수 인문기행 해설을 하기도 했다. 진행을 맡은 석연경은 시인이자 문학 평론가이며 연경인문문화예술연구소 소장이다. 시집 『독수리의 날들』 『섬광, 쇄빙선』 『푸른 벽을 세우다』 『둥근 거울』 『우주의 정원』 등이 있으며 시 평론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