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클래식 본고장 독일 베를린에서 한국의 창작음악들이 소개됐다(현지 29,30일). 콘체르트 하우스 체임버홀이다. 올해는 이건용·임준희·최우정·이귀숙·김희라·하종태·홍성지·김대성·김성국 등 중견작곡가들의 작품을 비롯해 탁현욱·주시열·이도훈·최지운·정혁·김상진 등 젊은 작곡가의 작품들이 선보였다. 주독일 한국문화원(원장:양상근)과 함께 페스티벌을 공동 개최한 한예종 전통예술원의 K-아츠 앙상블(가야금 김형섭 교수, 가야금 임재인, 대금 차루빈, 장구 김태진·이강토, 거문고 이승민, 아쟁 윤겸)도 작품 연주에 나섰다. 여기서 임준희 작곡가의 댄싱산조4를 세계초연했다. 서양악기 연주를 위해서는 독일에서 활동하고 있는 연주자들로 구성된 NUNC앙상블 코리아 (클라리넷 김선만, 바이올린 신소영, 플롯 손소정, 피아노 이동진·신승훈, 타악 정은비, 첼로 백승연·공유빈, 소프라노 김수빈, 기타 송용석)와 독일 연주자인 클라리넷 바네사 크룁핑, 나레이션 크리스티안 스타이어 등이 참가했다. K-Classic 탁계석 회장은 "작품의 청중 소통을 관객들의 열띤 호응에서 확인했다며, 지금은 상품성 단계가 아닌 한국음악을 알리는 초기 단계이
K-Classic 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 기술력은 최고인데 우리 것 외면하는 기득권의 한계성 극복해야 누구나 오케스트라 음악을 들어본 분들은 여러 각도에서 이해가 다를 것입니다. 조예가 깊은 분도 있고, 평소 클래식을 그다지 듣지 않는 분도 있을 것입니다. 어쨌든 오케스트라는 서양에서 들어온 음악의 최고의 시스템이자 인류가 고안해냈지만 신(神)의 선물입니다. 우리는 하이든, 베토벤, 브람스, 말러의 서양음악사를 관통하는 작품들을 통해 충만한 정신의 기쁨과 만족을 누립니다. 이제 우리나라의 클래식이 성장해서 성악은 물론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 모든 분야에서 최고봉에 올랐습니다. 세계 콩쿠르의 60% 이상을, 그래서 지난 30년간 1,200회가 넘는 콩쿠르 1위 우승자를 배출했습니다. 스포츠로 말하자면 금메달을 딴 숫자가 굉장히 많아져서 세계가 한국이 어떤 나라인가? 벨기에 공영방송 PD이자 유명 음악영화 감독인 티에리 로로 씨는 직접 한국에 와서 다큐멘터리를 제작했습니다.이처럼 우리가 획득한 기술적 성과가 대단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클래식 강국은 결코 아닙니다. 콩쿠르까지는 개인이 한 것이니까 성취가 되었지만 클래식의 대중화나 우리 음악의 세계화는 요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회장 | 2024년 2월 19일부터 24일까지 아르헨티나 제2도시 코르도바 주에서 코르도바 주립교향악단 함께 열리게 됩니다 . 심사 위원으로 미국. 파라과아. 칠레. 브라질. 아르헨티나 . 콜롬비아. 한국으로 .현재 12개국이 개국이 참가할 예정입니다. It will be held in Cordoba Province, Argentina's second largest city, from February 19 to 24, 2024, with the Cordoba State Symphony Orchestra. USA as a judge. Paraguay. Chile. brazil. Argentina . Columbia. To Korea.Currently, 12 countries are scheduled to participate. 이 시기에에 라탄아메리카 심포니 오케스트라 총예술감독 박종휘로 총 15개국이 참가하여 아르헨티나 제2도시 코르도바 4개 도시에서 열리게 됩니다.. 이곳 시간으로 어제 라틴어메리카 심포니 오케스트라 단원 모집 마감을 하였습니다. 중남미 여러나라에서 약 100명 이상이 등록을 하였습니다. 10월 15
K-Classic News 원종섭 문화심리학 기자 | 메디치 효과 Medici Effect 이질적인 요소들이 다양하게 얽히고설킬 때 큰 에너지를 분출하게 되는 것을 메디치 효과라고 부른다 다양성의 빅뱅이다 Big Bang of Diversity 메디치 가문 The Medicis은 단테, 갈릴레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마키아벨리 등 당대의 과학자, 문화, 예술인, 작가, 철학자들을 적극적으로 후원하였으며 이들의 활약으로 이태리 피렌체는 르네상스라는 찬란한 꽃을 피울 수 있었다 다양성의 빅뱅 Big Bang of Diversity 생물자원이 가장 풍부한 곳은 이질적인 요소들이 뒤엉키는 곳에 가장 왕성한 생명력이 꿈틀거린다 강과 강이 만나는 어구, 혹은 강과 바다 혹은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갯벌 이런 곳에 가장 다양한 생물군이 숨 쉬며 살아간다 인류 역사상 가장 찬란했던 시기는 르네상스였을 것이다 르네상스는 화가, 조각가, 과학자, 시인, 철학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얽히고설키면서 인류를 중세의 암흑에서 구한 찬란한 문명기였다 그것을 가능했던 것은 예술가들에게 재정적인 후원을 아끼지 않았던 메디치가 덕분이었다 서양에는 14세기 무렵부터 귀족들이 예술가를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일반인들에게 오케스트라의 역할과 기능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 개념을 새롭게 설정해야 하는 것이 아리랑 오케스트라다. 그러니까 기존의 오케스트라라는 설명없이도 모차르트, 베토벤, 브람스의 서양음악을 연주하는 정도로 알고 있다. 그러나 솔직히 전국 곳곳에 시립 오케스트라 60여개가 있다고는 하나 지자체장들이나 지역 국회의원이나 기업인들이 관심을 갖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가까운 일본과 비교해도 상당한 차이가 난다. 언젠가 일본 소니 회장이 베를린필을 지휘해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어려서부터 스즈끼 바이올린이나 합창을 하는 동호인 문화 체험이 있어 전반적으로 우리보다 이해가 매우 높다. 이런 관점에서 아리랑 오케스트라는 단순히 우리 아리랑을 네이밍으로 한다는 것 이상의 설득이 필요하다. 당연히 아리랑 오케스트라가 우리 민족의 정서와 우리의 역사를 노래하겠지만 보다 일반과 소통되는 정확한 펙트를 만들어 줘야 오케스트라가 살아날 수 있다. 아리랑 오케스트라는 여기서 출발한다. 왜 달에 우주선이 가는 것인지를 설명할 필요가 없고, 앞으로 AI가 세상을 좌지우지할 것이란 걱정도 인지되고 있다. 그런 것에 비하면 아리랑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보물을 실어 나르는 글로벌 문화 KTX가 필요하다 케이 콘텐츠 한류를 실어나르는 한국의 대표 KTX 열차가 아리랑 오케스트라입니다. 우리 것이 아무리 좋고 훌륭하다 해도 그것을 실어나르는 게 없다면 보물이 섬에 갇혀있는 것과 다를바 없습니다. 그 신기한 보물을 실어 나르는 열차가 바로 아리랑 오케스트라입니다. 우리의 소리, 우리의 정가, 우리의 판소리, 해금과 가야금 등, 우리 것을 세계 오케스트라와 협연하려면, 먼저 우리가 보여주는게 순서입니다. 여기에 반응이 좋으면 모방하고 따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업의 상품이 출시되기 전에 시제품을 만들어 돌리고 홍보하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예술도 상품화가 되어야 살아 남기 때문에 이같은 방식을 따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말하지 않아도 기업의 경영은 이를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방식입니다. 무엇보다 우리 것은 우리가 제일 잘 할수 있기에 우리가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외국 오케스트라의 0,01%도 우리 음악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이라면 거꾸로 무한 시장이 광활하게 펼쳐있다고 보는 겁니다. 콜럼부스가 신대륙을 발견했을 때 처럼 환타지를 갖습니다. 동시에 어디서 부터 어떻
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아리랑 변주곡 당신은 얼마나 큰 보자기를 가지고 있나요? 지구를 담을 수 있는 보자기를 생각했다면 당신은 승리자다. 그 보자기에 어떤 내용을 담느냐도 당신의 안목이다. 보자기는 상자나 백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포용성을 가지고 있다. 어느 물건, 어떤 것이든 자유로운 형태로 쌀수 있고, 덮을 수 있는 포장술이 장점이다. 보자기 이론을 통해서 홍익인간의 세상을 만들려는 꿈이 아리랑 오케스트라 창단 목표이다! 슬픔, 고통, 눈물, 전쟁의 참혹함까지도 아리랑 선율은 위로하고, 치유하며, 평화를 만들어 내는데 공헌하고 싶다. 당신곁에 아리랑 오케스트라가 존재해야 하는 이유이다. Arirang Variation How big of a cloth do you have? If you have thought of a wrapping cloth that can contain the Earth, you are a winner. What content you put in the wrapping cloth also depends on your insight. The dream of creating a world of Hongik Inga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아리랑 월드 오케스트라 세계 100인 명예 지휘자 위촉장 수여해 케이클래식조직위원회(회장 탁계석)는 2019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37개국 108명의 유명 지휘자를 '아리랑 월드 -오케스트라 세계 100인 명예 지휘자'로 위촉했다고 밝혔다. 대륙별로는 ▲남미(11개국) ▲북미(1개국) ▲아시아(2개국) ▲아프리카(1개국) ▲유럽 (21개국) ▲중동(1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멕시코(7) ▲베네수엘라(5) ▲브라질(8) ▲아르헨티나(10) ▲에콰도르(3) ▲우루과이(1) ▲칠레(2) ▲코스타리카(1) ▲콜롬비아(2) ▲쿠바(2) ▲파라과이(2) ▲미국(4) ▲대한민국(4) ▲일본(1) ▲이집트(1) ▲그루지아(1) ▲그리스(1) ▲네덜란드(2) ▲노르웨이(1) ▲독일(1) ▲러시아(7) ▲레바인(1) ▲벨기에(1) ▲보스니아(1) ▲볼리비아(2) ▲불가리아(1) ▲스웨덴(1) ▲스위스(3) ▲스페인(15) ▲아일랜드(1) ▲우크라이나(1) ▲이탈리아(6) ▲조지아(1) ▲터키(1) ▲포르투갈(5) ▲프랑스(1) ▲시리아(1)인 것으로 알려졌다. The K Classic Organizing Com
K-Classic News 탁계석 비평가회장 | 아리랑 로고 디자인 고암 정병례 세계에서 단 하나 밖에 없는 독창적인 구성의 오케스트라 아리랑 오케스트라의 창단은 저의 오랜 꿈이었죠. 오케스트라가 많은데 또 하나의 오케스트라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이 오케스트라는 한국의 오케스트라이자, 다국적 오케스트라입니다. 글로벌 시장의 콘셉트에 맞춘 오케스트라입니다.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한 것입니다. 그 정체성과 기능과 역할이 다른 오케스트라입니다. 아리랑 오케스트라는 빠른 시간내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오케스트라이자 친숙한 이름의 오케스트라가 될 것입니다. KBS 교향악단이나 서울시향, 그리고 더 많은 오케스트라들보다 아주 쉽게 기억할 것입니다. 아리랑은 이미 세계인이 사랑하는 멜로디이고 그것이 한국이란 것을 다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Founding the Arirang Orchestra has been a long-time dream of mine. There are many orchestras, but another orchestra is not created. This orchestra is a Korean orchestra and a mult
K-Classic News 원종섭 문화심리학 기자 | 사회에 흔들리는 선과 악 The good and evil swayed by society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의 탁월한 저서 중 하나인 『실천이성비판』에서 “선은 해야만 하는 일을 내가 손해를 입을지라도 하고, 하지 말아야 하는 일은 하지 않는 것, 악은 자신의 이익에 따라 해야만 하는 일을 하지 않고, 하지 말아야 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라고 한다. 사회 안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마음 우리는 사회 안에서 살면서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지를, 무의식중 몸에 익혀간다. 그렇다 해도, 우리 안에는 '선한 것'과 '악한 것' 중 어느 것이든 행할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다. 그럼 어째서, 똑같은 상황에 놓여졌을 때 나쁜 짓을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는 것일까? 또한, 왜 자신에게 하등의 이득도 없는데 다른 사람을 도우려고 하는 걸까? 우리 내면에 있는 선악의 판단 척도, 기준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까? 사회적 행동을 좌우하는 요인 타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행동을 사회적 행동(Social Behavior)이라고 한다. 사회적 행동을 좌우하는 큰 요인 가운데 하나가 사회적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