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평론가 | 가곡을 걱정하던 때가 있었다. 가곡이 위기에 처해 있어 이러다 영영 사라지고 마는 것은 아닐까? 그런 걱정이 말끔히 지워진 것은 아니지만, 몇 해 전부터 불기 시작한 가곡의 새 운동이 불을 지펴 확산되는 분위기다. 80~90 년대 유학붐과 함께 이태리, 독일, 프랑스 가곡 열풍이 근자에는 거의 찾기가 힘들어졌다. 오랜 수입 과정을 통해 우리가 성장한 만큼 이제는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것으로 보인다. 때마침 우리 가곡의 르네상스를 위한 '제1회 가곡의 향기 미술전'이란 새로운 컨셉이 나왔다. 그러니까 치엘로 오페라단과 퍼포밍 파크가 우리 가곡의 르네상스를 위해 가곡만 부를 것이 아니라 노래를 들으면서 떠 오르는 각자의 회화적 이미지를 실제 화폭에 옮기자는 것이다. 이번에는 김동진 작곡가의 가곡이 그 테마다. 김동진의 가곡들은 일반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다. 가고파, 목련화, 내마음, 수선화, 신아리랑, 못잊어, 진달래꽃, 봄이 오면, 저구름 흘러가는 곳... 가곡들을 각자 개인들의 상상력과 연상법으로 그림을 그려 전시회를 갖는다는 것이다. 가곡의 시각화는 또 하나의 장르 개발이 아닐까 싶다. 남녀 노소 구분이
K-Classic News 굿스테이지 | 새 창작 가곡집 '그토록 그리움'은 한 성악가를 위해 모두 새롭게 15곡을 작곡한 것인데 이레적인 일이다. 맑고 감미로운 호소력의 테너 이영화의 '그토록 그리움이'이란 음반이다. 성악가의 음악적 특성과 기질을 잘 분석한 것이 이번 음반의 특징이자 매력이다. 지금껏 우리 가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던 딕션, 감정, 악상처리 등이 획일적인 틀에서 벗어나고 있음을 발견케 한다. 작곡가 역시 그간의 정형화된 틀에서 확연한 변화의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피아노의 진부함을 벗어나 표현력을 확대하고 있는 점은 차별성이 느껴진다. 이를테면 그동안의 적지 않은 가곡들이 찬송가 풍의 반주라는 비판을 받아 온 것에 비하면 소개되는 가곡들은 노래를 존중하면서도 효과를 잘 살려내고 있다. 작곡가의 능숙함과 자신감이 묻어 나보인다. 탁계석(음악평론가)
K-Classic News 원종섭 문화예술국장 | 세계 속 빛나는 제주를 꿈꾸는 제주작곡가 안현순 제2회 안현순작곡발표회 제주, 애 愛 오는 7월14일(일) 저녁 7시 제주문예회관대극장에서 열린다. 제주 최고의 연주자들과 준비가 한창인 이번 연주회는 선조들의 사랑과 헌신으로 지켜온 아름다운 제주, 그 사랑의 깊이를 오롯이 느낄수 있는 감동의 무대가 될것이다. 그 어떤 거창한 말보다 가장 강렬한 힘인 음악으로 제주를 표현할 때 대중들에게 강하게 각인되는 것임을 체감해오며 늘 다양한 구성의 음악으로 제주를 그려내는 일에 힘써오던 안 작곡가에게 이번 발표회는 2020년 코로나와 함께했던 첫 작곡발표회 이후로 4년만에 선보이는 공연이라 더더욱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이번 연주회에서는 제주의 자연, 역사, 문화 등을 제주의 일상이 담긴 제주어 비롯 제주 4.3, 해녀의 삶 등이 제주시인의 시에 음악이 입혀져 제주의 자연, 애(愛)/ 제주의 사람, 애(愛)/ 제주의 아픔, 애(愛)/ 제주의 해녀, 애(愛)/ 제주의 부부, 애(愛) 등의 다양한 제주의 이야기로 좀 더 깊이 제주를 만나게 될 것이다. 세계초연 되어지는 테너 송영규의 ‘유채꽃신부’,(여명옥 시),를 비롯해
K-Classic News GS, Tak K-Classic Chairman | 2024 아시아국제피아노아카데미페스티벌(2024 Asia International Piano Academy & Festival. 이하 AIPAF)이 오는 7월 1일부터 4일까지 서울교육대학교에서 한국피아노학회(이사장 장혜원, 총괄위원장 김용배, 회장 조지현)와 이원문화센터의 주최 아래 국내외 음악인들이 대거 참여하는 가운데 화려하게 개최된다. 지난 2006년 창립된 이래 해마다 참가 인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AIPAF는 장혜원 이사장과 국내 피아니스트 20명을 포함, 인도네시아, 대만, 싱가포르, 멕시코, 중국, 베트남 등 12개국 해외 참가자 100여 명과 함께 한국피아노학회 회원, 음대생, 청소년 수백 명이 참여하는 가운데 공개레슨, 국제콩쿠르, 심포지움, 특강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치러진다. 이번에 참여하는 해외 피아니스트로는 인도네시아 Iswargia Renardi Sudarno, 대만의 Nam Yeung과 Tingwen Tna Shao, 싱가포르 Nicholas Ong, 멕시코 Hector Landa, 중국 Liu Chongxiao와 Guan Huang, 베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안경을 바꿀 수는 있어도 안목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다. 시력 측정은 기계로 하지만 안목이란 마인드를 계량하는 기계가 아직은 발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선수는 선수를 알아 본다. 선수들끼리 모여야 프로가 된다는 말을 한다. K클래식뉴던 '한국을 그리다'를 자세하게 들여다 보면, 공공기금 지원 응모 수준을 훌쩍 뛰어 넘는 창작 컨셉을 발견하게 한다. 소재의 발굴과 편성, 각 연주가들의 실력에서 차별화됨을 알수 있다. 대표인 허정인 아티스트를 K클래식 비전 아티스트로 선정한 이유다. 그러니까 아직도 30~40년 전에 설정된 것으로 귀국 발표회나 독주회에 우리 것을 전혀 하지 않는 관행에 비교하면 그야말로 하늘과 땅의 차이가 발생한다. 뉴던 '한국을 그리다'를 통해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작곡가와의 오랜 작업을 쌓으면서 작품 완성도를 지향하는 것 역시 이 단체의 경력못지 않은 실제 능력으로 보인다. 이제 좋은 작품을 지역에 머물지 않게 전국화,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는 변화된 환경을 맞아야 한다. 뉴던의 새로운 행보에 이번 공연이 원천의 힘으로 작용할 것을 바란다. 탁계석 K클래식 회장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 회장 | 예술가여! 진정한 해방은 당신이 건반에서 자유를 찾는 일이다 누구나 꿈은 소중하다. 피아노를 처음 샀을 때, 피아노 아래에서 잠들며 꾸었던 꿈을 피아니스트들은 잊지 못할 것이다. 건반과 함께 살아가는 피아니스트 꿈은 인생을 살아가면서도 결코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이토록 소중한 꿈이 여러 힘든 과정을 겪으면서 방황과 좌절 그러다 단절되는 경우가 있다. 일반 직장을 다니는 사람들은 이것을 경력 단절이라 한다. 결혼을 하거나 아기를 낳으면 경력 단절이 생기는 것이다. 예술가에게는 더 많은 연주 단절이 발생한다. 한번 놓으면 다시 회복하는 것이 쉽지 않다. 꿈을 잃는 것이다. 하루가 다르게 연주 기술이 발전하고 콩쿠르 우승 등 스타 연주가들이 속속 등장하는 대열에서 자신의 길을 찾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모차르트, 베토벤, 브람스, 쇼팽, 슈만, 차이코프스키, 라흐마니노프. 밤하늘의 별만큼이나 많은 명곡들에는 연주 명인들이 즐비하다. 예술에 국경이 없지만 예술가에겐 조국이 있다. 쇼팽은 왜 한줌의 흙을 싸들고 떠났는가! 이제 이런 구조에서 이탈하며 호젓하게 산이나 들길로 독자 노선을 걸을 수 있는 피아노의 포레스
K-Classic News 탁계석 기자 | 서울 나눔 클라리넷 앙상블의 제16회 정기연주회가 오는 7월 1일 월요일 오후 7시 30분, 롯데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서울 나눔 클라리넷 앙상블은 이번 정기연주회에서 더 많은 사람들에게 치유와 회복이 되는 깊은 울림이 있기를 간절히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무대는 지휘자 김문길을 필두로 소프라노 이지혜, 피리·태평소 유현수, 오르간 최주리, 트롬본 이한진, 트럼펫 콘스탄틴, 사회에 박소현 아나운서가 함께하여 더욱 특별한 무대가 예정되어 있다. 전반부는 베토벤의 <Symphony No. 9> 중 4악장, 차이콥스키의 <String Quartet No. 1 in D Major, Op. 11> 중 2악장, 이수인의 내 맘의 강물 외 다수의 곡, 후반부는 바흐의 <Toccata and Fugue in d minor, BWV 565>, 하이드리히의 <Happy birthday Variations>, 오펜바흐의 <Cancan>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관객들에게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서울 나눔 클라리넷 앙상블은 2007년 음악적 재능을 이웃과 나누며 살아가겠다는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디자인: 김봉선 작가 프로그램 가평 소년소녀 합창단 지휘: 정민희 Kyrie (Missa Arirang 중) ㅡ 허걸재 곡 새야 새야 파랑새야 ㅡ 최가희 편곡 김영준 바이올리니스트 마스네 타이스의 명상곡 피아노 김종경 테너 한일호 천년의그리움(최영섭) 피아노 김종경 내 마음의 강물 (이수인) 소프라노 김현정 그리운 금강산 피아노 김종경 꽃 구름속에 미국 권수정, 이화경 피아노 듀오 아리랑 환타지 I got rhyhthm 앙상블 K-Classic 더 갈(박영란 작곡 / 피아노: 남은정 / 거문고, 구음: 안은정 / 양금: 김경희 / 타악기: 나혜경) 회상 (박영란 작곡, 피아노: 박영란 / 마임: 송영탁) 사월의 노래(안은정 작곡, 노래, 거문고) 곳물질(박영란 작곡 / 양금: 김경희 / 거문고, 구음: 안은정 / 피아노: 남은정 / 타악기: 나혜경 / 마임: 송영탁) 가평 소년소녀 합창단 임준희 작곡 ,탁계석 대본 <칸타타 한강> 중에서 제 4부 자유와 평화의 한강 (칸타타 한강) 제 2부 삶과 전설 두물머리 사랑(칸타타 한강) *객석의 청중과 함께 불러 기록 영상으로 남기고자 합니다. 몇번 따라 하시면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 회장 | 멀티한 영상과 사물놀이의 신명과 흥으로 버무린 K 피아노 비빔밥을 만든 이들이 환하게 웃고 있다 고객의 감동보다 더 강한 추진 동력은 없다 한국 피아노사가 변화하고 있다. 솔로 혹은 듀오, 오케스트라 협연이 전부인 피아노가 그 형식과 구성에서 기존 틀에서 벗어나는 현상이다. 새로운 형식의 옷을 갈아 입기 시작했다. 그 원류는 한국피아노학회 장혜원 이사장의 우리 피아노 모국어 찾기다.. 바이엘, 체르니, 베스틴 등의 외국 교재에서 벗어난 것뿐만아니라 구체적으로 소협주곡, 콘체르티노 콘서트로 분명한 방향을 제시함으로 써 터닝 포인터를 찾은 것이다. 이번 화성 in K-Classic은 한걸음 나아가 그 폭과 깊이, 무대를 다루는 기술에서 역대급 피아노 무대였다. 그러니까 그래픽 영상, 음악에 맞춤 스크린 영상의 감성 자극, 사물놀이 등장에 사모돌리기까지 한국 문화의 원형인 신명과 흥을 피아노 콘서트에 융합해 관객을 사로잡았다. 동요모음곡, 두꺼비 변주곡, 아라리 아라리요, 사물놀이와 피아노 앙상블, 12명의 피아니스트를 위한 화성 그랜드판타지 등이다. 탁월한 기획의 힘이다.이를 이끈 신사임 화성소사이어티 대표의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 회장| 6. 25 음악회를 통해 보훈의 격을 높이고 전쟁의 기억을 소환해 우리가 어떻게 이 나라를 지켜왔는지를 오늘의 세대에게도 전하려고 합니다. 혼돈과 가치가 붕괴되고 있는 시대에 K-Classic이 사명감을 가지고 그 역할을 자임해 봅니다. 우리 모국어에 의한 감동을 연출하고 싶습니다. 예산 확보를 못한 전국의 시립합창단들이 6월 호국의 달을 모차르트, 베르디 레퀴엠 특집으로 도배하는 현실의 안타까움에 대안이 되었으면 합니다. (외국 사람들이 보면 어떻게 이해할까?) 호국 영령들께서 우리 정서와 전쟁과 1% 상관도 없는 세계 명작을 듣는 것이 어떨지 모르겠으나, 이런 개념 수준이라면 솔직히 합창단 존재가 언제까지 일지 걱정이 됩니다. 일부 시민들이 군산 예술단을 해체하자는 소리로 시끄러운데, 마냥 강 건너 불로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렇죠. 시민 성원을 받지 못한다면 예술단 존립 기반을 어디서 만들 수 있을까요! 그래서 힘겹게 예술의전당 앞-서초 3동 사거리에 깃발을 내걸었습니다. 모든 예술이 우리의 역사와 삶과 생활과 무관하다면 형식이나 겉치레에 그치고 맙니다. (셀카 찍어 널리 뿌려 주심 고맙겠습니다) 포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