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황순학교수 | 6. “바로크 후기 로코코!” 바로크 말기 새로운 예술의 변화를 ‘로코코 Rococo’라 부르는데,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 와 보로미니(Francesco Borromini) 같은 위대한 예술가들을 포함하여 17세기 내내 번영했던 바로크 양식의 풍요로움 이후, 18세기 초 프랑스에서 로코코 양식이 탄생한다. 로코코 양식은 바로크 양식에 이미 존재했던 모티프를 극도로 정교하게 발전시켜, 특히 실내 장식과 가구 등 응용 예술 분야에서 더욱 장식적인 모티브들로 화려하게 꾸며진 장식예술의 전성기였다. 이런 이유로 로코코는 바로크와 딱 잘라서 구분하기 좀 모호한 사조이다. 바로크 시기의 장엄하고 화려한 교회나 궁전의 권력적 씬(scene)에서 벗어나, 귀족 부인들의 실내 사교의 장인 살롱에서 우아하면서도 유희적이며 나른한 쾌락적 취향의 씬(scene)들이 연출된다. 즉 바로크가 교황권과 왕권의 권력다툼의 산물로 왕실 문화가 갖는 권력적 이미지를 추구했다면, 로코코는 절대 왕권의 상징적 존재인 루이 14세 사후의 귀족 중심 문화의 산물인 살롱 문화에서 비롯되는 쾌락적 이미지를 추구한다는 점이다. 다음의 이
K-Classic News 황순학교수 | 앞선 시간을 통해 바로크 예술의 특징 중 하나는 화려한 곡선미를 바탕으로 매우 인공적이면서도 아름다운 볼륨감이라는 점을 로렌초 베르니니(Gian Lorenzo Bernini)와 프란체스코 보로미니(Francesco Borromini)의 작품들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바로크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베르니니의 다비드가 보여주는 ‘다이내믹(Dynamic)’이란 점도 알게 되었다. 이런 바로크적 다이내믹 예술의 조각가가 로렌초 베르니니라면, 바로크 회화 분야에서 다이내믹을 구현한 화가로는 카라바조를 꼽을 수 있다. 카라바조 역시 앞서 살펴본 베르니니의 사례처럼 10만 리라(Lire) 화폐의 주인공이다. 이처럼 카라바조가 이탈리아 내에서 높이 평가받는 이유는 바로크 회화에서 신기원이 된 ‘키아로스쿠로 Chiaroscuro’ 기법을 창시한 자이기 때문이다. ‘키아로스쿠로 Chiaroscuro’ 기법이란 ‘키아로’는 ‘밝음’을 뜻하고 ‘스쿠로’는 ‘어둠’을 뜻하는데 영어로 말하자면 Black & White 이다. 즉, 밝음과 어둠이란 서로 다른 상극의 요소를 강력한 대비를 통해 다음의 작품처럼 그림을 통해 말하고
K-Classic News 황순학 교수 | 바로크(Baroque) 1. 자동차 디자인 속 바로크 예술! 자동차 시장에서 테슬라 전기차의 승부수 중 하나는 기존의 전기차 이미지를 연상할 때 늘 떠올랐던 골프장 카트 같은 기능적이고 단순한 느낌의 이미지에서 벗어나, 스포츠카 디자인에서나 만나 볼 수 있는 화려한 곡선미의 우아함으로 승부를 걸며 2003년 출시 당시 전기차에 관한 기존의 고정관념을 한 방에 무너뜨리며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Tesla Roadster (First generation) 그럼 스포츠카 디자인은 전통적으로 위의 테슬라의 1세대 모델인 Tesla Roadster 이미지처럼 풍만한 곡선미를 자랑하는 걸까? 그것은 상당 부분 유럽의 전통적인 귀족 문화와 연관이 깊으며 예술사의 전개 방식과도 흡사하다. 예술사적으로 미적 취향과 선호도 변화는 근대적 가치관이 성립되는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다음과 같이 점, 선, 면의 대결로 전개된다. 1. 15~16세기 르네상스 예술 : 선원근법에 영향으로 직선미를 선호한다. 2. 16~17세기 바로크 예술 : 바이올린 스크롤 (violin scroll) 디자인을 시작으로 곡선미를 선호한다.
K-Classic News 황순학교수 | 서양 예술이 체험의 해석이 아닌 이미지 파일과 텍스트로 이해하는 한계성 새로운 예술의 시작은 기존의 예술에 반역을 꾀하고 그 반역이 성공하면 새로운 예술이 시작된다. 그리고 그렇게 새롭게 시작된 예술 역시 얼마 안 가서 또 다른 반역에 직면하게 되는 숙명을 가진다. 즉 예술의 역사는 반역에 성공한 반역자들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다는 점에서 볼 때, 예술가들은 기존의 양식에 어떻게 반역을 꾀할지 고민하면 고민할수록 예술가 자신이나 그의 예술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렇지만 우리의 예술 교육 시스템 안에서 예술가들이 반역을 꿈꾸기란 무척 어려운 현실이다. 기존의 양식을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기보다는, 예술가로 성장하기 위해 배워야 하고 또는 알아야 하는 예술 작품이나 예술의 변천사가 우리의 역사가 아닌 대부분 서양의 것인 관계로 감각적으로 체화하며, 나만의 감성으로 해석하기보다는 기존 양식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주요 작품을 통해 각 시대가 표방한 양식들을 이미지 파일과 텍스트를 통한 학습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 제한성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럽에서 살다 보면 일상의 환경 속에
K-Classic News 황순학 교수 | “블랙은 신성함의 최종병기다!” 클래식이 갖는 의미를 쉽게 설명할 수 있고,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것들이, 바로 유럽의 명품 산업이다. 우리가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의 음악을 여전히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와 명품 제품이 가지는 기술적 우수성과 심미적 아름다움은 어떤 점에서 서로 닮아있기 때문이다. 명품은 단순히 제품을 넘어 한 국가를 대표하는 문화적 자존심이라 할 수 있다.유럽이 우리보다 딱 반만 일하고 우리보다 소득이 높은 이유는 그들이 만들어 내는 제품에는 그들의 역사 즉 예술사가 숨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시간에는 명품 브랜드 지방시(Givenchy)가 들려주는 중세 예술에 관한 이야기이다.중세 시대를 한 문장으로 설명할 때 우리가 자주 접하는 단어는 ‘암흑기’이다. 즉 중세 시대를 서양 역사에서의 ‘암흑기’라 흔히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세 시대를 ‘암흑기’라 부르는 이유 중 하나는 인본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성이 배제된 신 중심의 사회였다는 점을 부각하기 위한 측면이 있고, 다른 측면 하나는 중세 말의 시작된 고딕 예술의 특징 중 하나인 신비주의적 어두움에서 비롯된다. 신비주의적 어두움이라 할
K-Classic News 황순학 교수 | “바로크 예술에도 직선은 없다!” “나는 100세까지 사는 집안 출신이다.”라던 루이지 꼴라니(Luigi Colani)가 지난 2019년 91세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필자는 그 사실을 최근에야 알게 되었고 그를 추모하며 그의 이야기를 전하고 싶어 이번 문화노트의 주인공으로 모시게 되었다. [루이지 꼴라니(Luigi Colani): 그는 늘 흰색의 옷을 입었고, 그의 트레이드 마크였던 길고 깔끔한 갈기의 바다코끼리 같은 콧수염은 국제 콧수염 학회에서 ‘올해의 콧수염’을 수상한 적이 있다.] 바이오 디자인(Bio Design: 생체 공학을 형성하고 있는 곡선을 기조로 하는 디자인))의 창시자이자 살아 있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란 별명을 가졌던 루이지 꼴라니의 디자인 철학은 그가 남긴 “90%는 자연에서, 10%는 멍청한 번역가 꼴라니에게서!”란 말로 대변된다. 꼴라니는 전통적인 의미에서 자신을 ‘디자이너’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나는 공기 역학을 공부했고, 철학을 공부했고, 조각을 공부했습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첨단 기술을, 다른 한편으로는 예술을 공부했습니다.” 그의 말처럼 그의 독특한 이력으로 인해 그는 작업 방식에
K-Classic News 황순학 교수 | “인간이 아름다움(美)에 노출될 때, 그의 영혼에 선(善)이 들어온다!” - 플라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상 언제부터인지 우리 사회 사건 사고를 다루는 사회면 뉴스를 접하기가 겁날 정도이다. 특히 예전엔 감히 상상도 못 할 잔인한 폭력들이 이제는 너무나 자연스럽게 우리의 일상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것 같아 무척 걱정이 든다. 어쩌다가 동방예의지국,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이런 일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벌어지고 있는지 개탄스럽다. 예술인으로서 생각해 보자면 예술의 부재가 아닌지라는 생각이 든다. 이탈리아 로마에서 살 때다. 어느 날 밤에 아파트 수위 분이 우리 집 문을 두드리고는 불을 꺼달라고 부탁했다. 그 이유인즉슨 한 남자가 프러포즈하려고 악단과 함께 왔는데 상대 여성 집의 베란다 등만 켜져 있기를 바란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아파트 수위 분에게는 이런 일이 다반사였는지 나에게 무덤덤하게 말을 건넸다. 잠시 후 악단의 반주가 시작되고 그가 세레나데를 시작하자 상대 여성이 불 켜진 베란다로 홀로 나와 감동과 기쁨의 눈물을 흘렸고 세레나데가 끝나자 그를 향해 단숨에 달려 나왔다. 그러자 동네 주민들이 한목소리로 “키스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