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기자 | 탁계석 회장이 K클래식 제 2기 출범, 도약과 비전 선언문을 낭독하고 있는 모습 누구에게나 망설여지는 순간이 있습니다. 어느 쪽으로 가야 하나? 더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 선택은 일생 그 차체일 수 있습니다. 그것이 험한 산속이거나 어둠이거나, 가시넝쿨일 때 누군가에게 묻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KClassic News가 200만 독자 View를 앞두고 독자 서비스의 일환으로 무료 발행인과의 'Talk , Mentoring , Navigation' 을 엽니다. 두드려라, 그러면 열릴 것이다! 를 굳이 말하지 않더라도 문제나 논점을 다른 시각에서, 객관적으로 보는 것에서 충분히 변수가 될수 있을 것입니다. 언제라도 메일을 , 댓글을 , 카톡을 통해서, 물어 오신다면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처럼 위안이 되고 새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입니다. 40년 넘게 문화 현장과 지역과 글로벌을 조망하고 네트워크를 가져왔기에 등뒤의 바람이 되고자 합니다. 오직 자존심 하나로 힘겨운 고통의 시간을 버티는 아티스트에게 평론가의 관점이 도약과 비전이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지난 12년 동안 작곡가님들과 창의적 컨셉을 나누면서 오페라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답답한 일상을 벗어나 시원한 남한강 물줄기를 따라 1시간이면 양평 도착이다. (강남, 서초, 송파 기준) 이곳 양평에서 K클래식 12시 콘서트가 열린다. K클래식 태동지로 우리의 전통과 현대가 잘 어울러지는 고품격 콘서트와 끝난 후 점심, 그리고 대화가 이어지는 하루날의 소풍같은 일상을 즐기는 프로젝트다. 새로운 사람과 기회를 만나는 신상류층의 놀이터가 아니겠는가. 물질에서 벗어나 정신의 여유와 휴식, 예술의 멋과 맛을 즐기는 사람들의 만남이다.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2024년 8월 27일 화요일 10시~12시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 발제: 탁계석 한국예술비평가 협회장 좌장: 이병직 아리랑 코러스 총감독 토론: 차영회 한국합창지휘자협회 이사장 이한웅 충청대학교 교수 김흥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김 철 한국 시(국)립합창단 연합회장 주최: 국회의원 채수진 주관: 한국합창지휘자협회 KCDA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이제는 마케팅 수익 창출이다 K 클래식 제2기 출범에 주가(株價) 상승이 가파르다. 출범 뉴스가 나가자 뉴스독자뷰(View)가 최고치를 갱신한 것이다. 창간 이래 역대급으로 5천 명을 돌파하더니 연일 3천 명 수준이다. 그러니까 전보다 2배 가량 뛰었다. 이러한 활성화는 K 클래식의 도약과 비전이 제대로 소통되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다. 따라서 제2기 케이 클래식은 작품 제작을 넘어 경영을 해서 수익을 창출해야 한다. 홍보와 마케팅을 강화하고 네트워크를 열어서 속도감을 내야 한다. 내수 시장을 개척하면서 생산성을 올리는 것이 관건이다. 때마침 내년 2025년이 광복 80주년이어서 명분과 목표가 분명해진 것이니 좋은 타이밍을 만는 것도 행운이 아닐까 싶다. 우리 작품들이 방방곡곡에 울려퍼질 수 있도록 프로젝트를 잘 구성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전진선 양평군수, 모지선 작가, 탁계석 회장, 홍성훈 오르겔 마이스터 오는 29일 국회에서 개최되는 한국지휘자협회의 공청회에서 필자가 토론자로 나선 것은 이러한 구상을 밝힐 수 있는 절호의 찬스가 아니겠는가. 전국 합창단의네트워크 현황을 다시 들여다보고 조직 강화에 보탬을 주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인간의 삶의 원형터는 강가다. 강에서 조상들은 고기를 잡고 빨래를 하며 강가에서 춤추고 노래하였다. 강이 단순한 물의 집합이 아닌 것이다. 그 모래톱의 시간이 쌓이고 쌓여 문명이 만들어졌다. 강이 없는 역사란 있을 수가 없다. 그래서 도시를 흐르는 강은 곧 그 나라와 도시시 상징이되었고 자존심으로 통한다. 누가 그 지역의 강을 비하거나 비난한다면 어떤 반응이 나올까? 저 더러운 강이라고 말이다. 산업 현장과 도시의 마켓이 발전하면서 강과 삶의 터는 이동을 했다. 그리고 그냥 바라만 보는 강물이 되고 말았다. 그래도 강가에 서면 까닭모를 그리움이 몰려 온다. 눈가가 젹셔진다. 왜 그런가. 강물이 흘러가는 인생이어서 인가. 강은 노래를 낳고 노래는 강을 동경한다. K클래식이 잊혀져 가고 있는 강복원에 나선다. 'World River Song Festival'을 개최하는 이유다. . 지역마다, 세계의 곳곳의 강의 명소를 찾아 연결하면서 강으로 서로 인사하면 어떻겠는가. 강, 그것은 사람의 명성보다 훨씬 유명하고, 역사이고, 강의 정서 문법으로 소통하는 특화된 브랜드가 아니겠는가! 노을지는 강가에서 바라보자. 두물머리 강가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선언문을 낭독하는 K클래식 탁계석 회장 1. K클래식은 K콘텐츠의 심장으로 예술 생태계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 2. K클래식은 우리의 얼과 정신이 녹아든 전통을 바탕으로 지구촌 사람들과 뉴(New) 클래식 메뉴를 개발하여 즐기고 공유한다. 3. 인류가 직면한 만연한 물질주의에서 정신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新(신) 상류사회 개념을 정립하고, 문화 소비자를 길러내어 시장 활성화를 도모한다. 4. K클래식 태동지 모모아트 스페이스를 기반으로 ‘K클래식 양평~’ 부호로 글로벌과 소통하며 세계적인 관광 메카로 만든다. 5. 창조의 새벽을 연 K클래식 태동지가 창작 산실로서 작가와 크레이티브에 영감을 주고, 아티스트의 도약과 비전에 둥지 역할을 한다. 6. 세련되고 품격있는 문화 정책 플랫폼으로서 예술의 방향성과 자생력을 생성하는 발전소가 된다. 7. 중앙문화재단을 한국의 토종 ‘품앗이’ 원형을 복원하여, K메세나의 새 형식 구조를 창출해 한계에 빠진 한국 기부문화에 새 패러다임을 만든다. 2024년 8월 15일 K클래식 태동 제 1기 멤버였던 임동창 작곡가, 피아니스트 감독의 축하 메시지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K 클래식 제2기는 제 1기와 어떻게 다른가요? 제1기는 길을 내는 시간이었습니다. K클래식이 무언가? K클래식이란 네이밍을 알리고, 왜 해야 하는가? 설명하는 시간이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비로소 뚫렸습니다. 그리고 K 클래식이 뭐냐고 했을 때, 콘텐츠다! 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오페라 6편, 칸타타 9편을 만들었습니다. K클래식에 탑재해야 할 우리 것의 내용 일부나마 만든 것입니다. 동시에 일회성 창작이란 한계점도 통과해 보았거든요. 창작을 만드는 것에 대한 자신감과 탄력이 어느 정도는 붙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케이 Classic News 하나를 만들었죠. 정보를 알려야 하고, 누군가를 소개해야 할 때 필요할 것이기에 만들었는데, 오는 8월이면 3주년이 됩니다. 지난주엔 하루 View가 처음으로 5천명을 넘기도 했습니다. 종이신문 시대에서 모발일 시대가 온것이 분명합니다. 제 2기에 주력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첫째, 행정의 힘을 길러야 하겠습니다. 행정의 힘이란 어마한 것이죠. 수원시에서 출발한 화장실 만들기 운동, 제주에서 출발한 둘렛길 만들기, 잊혀졌던 남이섬을 관광화한 것 등, 아이템과 행정력이 결합되어서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심장’은 크기가 아니라 ‘역할’이다 그 중요성에 비해 늘 잊고 사는 게 심장이다.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심장은 도덕적으로 양심이라 상징된다. 실제는 심근근색, 심장 마비 등 신체 위기 상황을 알리는 비상등이자 대채어다. 우리 업종에 도입한다면, K콘텐츠의 대부분은 산업 영역에 들어 간다. K팝, BTS, 드라마. 영화, 웹툰, 대형 전시 프로젝트 등이다. 양이나 규모에서 보면 항시 클래식은 소외되거나 외면당한다. 공공 지원에서는 카테고리 조차 설정이 안되어 있다. 작지만 그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심장’이란 어휘를 선택해 K클래식을 설명하려고 한다. 그러니까 심장은 흉강내에 위치하며 횡격막 위, 허파사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심장의 크기는 본인의 주먹 만한 정도라고 한다. 4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좌심방과 우심방은 혈액을 받아들이고, 좌심실과 우심실은 심방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혈관으로 혈액을 밀어내는 역할이다. 이 작용이 안되면 혈액 순환이 안되는 것이다. 따라서 K클래식이 심장 역할을 자임하는 것은 이 신체의 원리처럼 선순환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방점이 있다. 클래식은 서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지역에서 3일간의 오페라 축제를 연다는 것은 상당한 의욕이자 모험이다. 강원 오페라앙상블(단장 오성룡)이 8월 10일 도깨비 동물원 (김은혜 작곡, 김현우 동화, 탁계석 대본), 17일 신동일 작곡 맥의 신화, 10월 4일,5일 리골레토 세 편을 올린다. 특히 창작 오페라를 지역에서 오페라 페스티발에 올리는 것에서, 또 어린이 오페라를 배려해 구성한 점에서 오페라단의 정신이 살아나 보였다. 독일 베를린 문화원에서도 공연된 바 있는 도깨비 동물원은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 공연이다. 으처음 무대에서의 미비함을 가수와 연출가들이 참여해 완성도를 높였다. 이들의 땀흘림은 바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는 노력으로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소통하는 것에서 거의 어린이 오페라가 없는 창작 현실에서 반가움으로 닥아왔다. 아이들에게 맞는 언어와 춤, 동작, 영상을 통해 아이들이 깔깔거리고 웃기도 하고 또 때로는 심각해 하는 등의 반응에서 아이들의 난생 첫 오페라 경험은 일생을 지배하지 않겠는가. 솔리에 김규리, 원숭이 고재선, 코뿔소, 돼지 오동규, 하마 박성원, 호랑이 유형우, 참새 이효영, 앵무새 이소라. 내용상 젊은 성악가들이 중심이 되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클릭하시면 자동입장됩니다 https://us06web.zoom.us/j/81642338716?pwd=y34IYeuivAp42fnHbVHsVtQlHw4bcp.1 회의 ID: 816 4233 8716 암호: 817881 자세내용참조 https://m.blog.naver.com/unpeacekor/223538812301 한국 8월10일(토) 오전9시-11시 미국 9일(금) LA 오후5시 / 뉴욕 오후 8시 남미 9일(금) 브라질 오후9시 / 파라과이 오후 8시 유럽 10일(토) 파리 오전2시 대양주 10일(토) 시드니 오후10시 <참석자 명단> 김덕룡 UN피스코 이사장 허준혁 사무총장 윤순진 총괄본부장 정도영 정운푸드 대표 김두만 셀플렉스 대표 박희원 넷제로 대표 이상훈 올인카본 대표 홍은희 UN피스코 운영위원 윤철혁 스페인어통역 총괄팀장 신경하 다온과낑하 대표 강상필 포레스트 폭스 대표 김이백 케이넷 대표 [태권도연맹] 김덕근 세계태권도평화연맹 회장 이강일 미주총괄본부 회장/텍사스 김난재 명예총재 김재용 상임고문 이병철 사무총장 문재일 상임부회장 원점조 조직총괄본부장 임은주 문화예술본부장 [유엔피스코] 김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