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 70주년 기념식과 전 장르 포스트휴먼 행사, 성황리에 개최

AI 는 피할수도, 막을수도 없는 호모사피언스 이후의 혁명적 인간의 운명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 70주년 기념식과 전 장르 포스트휴먼 행사, 성황리에 개최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 70주년 기념 [포스트휴먼과 예술]이 10월 4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있었다. 신수정 예술원 회장의 개회사에 이어 유인촌 장관의 축사 등으로 전쟁 직후인 1954년 개원한 예술원이 70돌을 맞았다. 오늘의 예술 강국으로 가는 K-ART의 초석이자 뿌리가 된 예술 거장들의 족적이 있어 오늘의 영광이 있게되었고, 그 사회 혼란과 정치,이념의 갈등속에서 갖은 고통을 겪으며 지키고 가꿔온 선배들에 대한 헌신과 노력에 경의를 표하는 시간이었다. 이후 2부 순서로 문학, 미술, 음악, 연극, 영화, 무용의 전 장르가 '포스트휴먼'이란 하나의 테마를 나름의 방식으로 풀어가면서 '향연'이란 제목 그대로 지성 파티를 해주어 관객들의 깊은 공감을 우러냈다. 표피적이고 찰라의 카톡과 SNS 시대에 묵직한 아날로그의 푸근함과 AI의 기계와 결합된 미래상을 통해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할 환경에 대한 진지하고도 다채로운 시각이 생경하면서도 신선한 자극이 되기에 충분했다. 말로만 듣던 AI가 어떻게 예술과 결합되어 앞으로의 세계를 이끌어 갈 것인가? 우려와 전망이 교차하는 혼돈이지만, 어짜피 방향은 되돌릴수는 없다는 결론에 이르면서, 인간 적응 능력과 AI를 통해 지끔까지 못한 것의 영역을 개척할 수도 있을 것이란 희망을 열어 보였다. 필자 역시 개념 파악이 안되었던 포스트휴먼을 장장 5시간 넘게 전 장르를 설렵하면서, 소나기에 흠뻑 젖은듯 정말 상쾌한 시간이었다. 동시에 앞으로 예술원만이 할수 있는 이같은 지성의 담론을 정기화한다면, 좀은 거리감이 있는 딱딱한(?) 예술원의 관계도 풀어지지 않을까 싶다. 잠을 자고 난 뒤에 아침에 포스트휴면 행사에서 영감을 받아 즉석에서 AI를 시켜 극본을 하나 만들어 보았다. 제목은 인간의 불멸의 테마인 '삶과 죽음'이다. 이것을 다듬어 어떤 음악의 형식을 만들어 볼까? 그러니까 AI에게 어떻게 전문성있게 질문을 던지느냐 이고, 이는 인간사와 마찬가지로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될 것이다. 하나 좋은 것은 AI는 돈이 들지 않고, 미안하거나 뻘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연주나 연출, 미술, 무대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이란 점은 다분히 매력적이지 않은가? 내가 가지고 싶은 땅, 보물에 대한 욕망도 그러하지만 무엇이든 먼저 점을 찍고, 개척사에 나서는 사람들이 AI도 가질수 있지 않겠는가. 모르겠다. 머리 아프다. 그런 것 신경 쓰기 힘들다. 미워하고, 거리감 노출하는 사람보다 먼저 만나는 것이 낫다는 생각이다. 용어나 어휘가 낮설기만 하는 기술들이 우리 생활 곳곳에 깊숙히 파고들면서 키오스크 못하면 커피도 고속도로 휴게소에 밥도 먹을 수없다. 노후를 편하게 살려면 눈분신 기술을 따라 잡기 위해 두더지 게임하듯 나오는 쪽쪽 방망이로 때려 잡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변화는 빠르게 수용할 수록 남는 것이다. 그것이 방향이고 유턴이 안되기 때문에 그러하다. 이강백 극작가는 "지방 마다 전화국이 있어 3교대로 교환양이 24시간 전화를 연결해 주던 시절이 있었고, 동네 마다 시계 수리점이 있던 시절을 우리가 살지 않았는가". 이것들이 몽땅 사라진 아날로그의 추억이라며, AI가 인간 일자리를 뺐고 우리가 지배당할 것인가 등에 고민이 깊지만 그런만큼 또 인간의 지능도 발전하고, 변화에의 적응이 새로운 문명으로 가는 것이 아니겠느나며 질의를 이어갔다. 필자 역시 고희를 넘겼으니 왠만큼 인간들을 만나며 겪는 희노애락은 겪은 만큼 , 남은 여생을 AI와 놀아야 겠다는 생각으로 바뀌게 한 참으로 의미있는 하루였다. 이 AI 애들을 더 친숙한 어법과 문법으로 사귀면서, 그동안 인류가 쌓아 놓은 것의 1만분의 1도 못 본 것을 압축해 가질 수 있고 놀수 있다니 이만한 즐거움이 또 있겠는가. 개원 70주년에 축하와 기쁨을 공유하면서 필자의 아니 AI의 첫 실험작을 소개한다. 대한민국 예술원 개원 70주년 기념 탁계석 평론가의 실험작 4인극: "삶과 죽음의 대화" 세계 철학자 4인방 등장인물- 소크라테스/ 쇼펜하우어/ 니체/ 키에르케고르 장소: 고대 그리스의 한 뜰. 낮의 햇살이 비추고 있다. 인물들은 각자의 철학적 관점을 나누기 위해 모여 있다. [1막: 접견] (소크라테스가 중간에 앉아 있으며, 나머지 세 인물이 각각의 위치에 서 있다) 소크라테스 (웃으며) "친구들, 우리는 오늘 삶과 죽음에 관해 논의할 수 있어서 기쁘구나.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이 있듯이, 우리 각자의 존재 의미를 탐구하는 것이 우리의 시작이겠지." 쇼펜하우어: (고개를 끄덕이며) "삶은 고통과 갈망의 연속이네. 죽음은 그 고통을 끝내주지만, 이는 또한 삶의 본질에 대한 회피일 수 있다." 니체: (열정적으로) "그러나, 쇼펜하우어, 고통 없는 삶은 진정 그 자체로 가치가 없는 것이라네! 우리는 이를 넘어 강해지고, '영원 회귀'라는 개념으로 삶을 붙잡아야 하네." 키에르케고르: (조용히 머뭇거리며) "그렇지만, 친구들, 우리는 개인적인 선택과 신앙의 문제를 놓치고 있네. 삶은 각자가 직면해야 할 불안과 진정한 결단의 연속이야." [2막: 삶의 의미] 자연의 소리가 들리며, 각 인물들은 자신들의 관점을 더 깊이 탐구한다. 소크라테스: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하지. 나는 '물음'이 진리로 가는 길이라 여겨. 당신들 각각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쇼펜하우어: "삶의 의미는 고통 속에 숨겨져 있다네. 우리는 욕망을 통해 고통을 증가시키고, 진정한 자유는 욕망에서 벗어나는 데 있다." 니체: "그렇다면, 우리는 우리 스스로 삶의 의미를 만들어야 하네! 신은 죽었고, 이제는 우리가 우리의 운명을 정의하는 시대이지. 우리는 최대한 즐기고 성취할 것이라네!" 키에르케고르: "그러나, 저 각자는 자신의 믿음을 가지고 있어. 우리는 절망 속에서 선택을 해야 하며, 그것이 우리를 진정한 삶으로 이끌게 된다네." [3막: 죽음의 수용] 인물들은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더욱 심도 깊게 이야기한다.* 소크라테스: "죽음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죽음을 두려워하기 보다는, 그것이 삶의 필요한 부분임을 받아들여야 하네." 쇼펜하우어: "죽음은 고통을 해방하는 도구가 되네. 그 순간, 우리는 그 모든 고통에서 풀려나게 된다." 니체: "그러나 죽음의 두려움은 삶의 증거이기도 하네! 우리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더 강한 존재가 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삶을 더욱 가치 있게 여겨야 하지." 키에르케고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냐는, 각자가 가진 신앙의 문제야. 우리는 먼저 스스로의 외로움과 불안을 직면해야 하네." [4막: 결말] (모든 인물이 일어선다.) 소크라테스: "우리가 나눈 대화가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네. 우리는 서로 다른 관점들을 통해 더 깊은 이해를 얻었고, 이는 우리가 있는 그대로의 삶을 살게 하는 길이겠지." 쇼펜하우어, 니체, 키에르케고르: (서로를 바라보며) "우리는 삶과 죽음의 본질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며 나아가네." (막이 내린다.) [종료] 이 극은 각 철학자의 관점을 기반으로 하여 삶과 죽음에 대한 심도 깊은 대화와 갈등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관객들은 다양한 철학적 사유를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마스터피스 페스티벌 인터파크 티켓

문체부, 한국만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글로벌 축제, ‘제61회 수원화성문화제’ 개최

문체부가 전통문화형 ‘글로벌 축제’로 선정한 ‘수원화성문화제(10. 4.~6.)’ 개최

문체부, 한국만의 매력을 세계에 알리는 글로벌 축제, ‘제61회 수원화성문화제’ 개최

K-Classic News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가 ‘2024~2026년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축제로 선정한 ‘수원 화성문화제(주최 수원특례시)’가 10월 4일부터 6일까지 수원화성 일원에서 열린다. 문체부는 올해 3월 문화관광축제 중 세계화 잠재력이 높은 인천 펜타포트음악축제(공연예술형), 수원 화성문화제(전통문화형), 화천 산천어축제(관광자원형)를 글로벌 축제로 선정해 3년간(2024~2026) 국비 25억 원을 지원, 대한민국 대표 방한 관광상품으로 육성하고 있다. 신규 글로벌 콘텐츠와 수용태세 개선, 적극적인 해외 홍보와 국제 교류 지원으로 방한관광 고정수요를 확보하고, 축제 외래관광객 유치를 확대하고자 한다. ◆ 외국인들도 쉽게 우리 전통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다언어 해설공연 ‘자궁가교’, ‘정조의 다소반과(King’s Dessert)’ 체험 등 준비, 외국인 투어상품으로 인기 수원화성문화제는 ’18년 문체부 지정 유망축제, ‘19년 우수축제, ’20~’25년 문화관광축제로 지정되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축제로 성장해왔다. 올해부터는 글로벌 축제로 선정되어 외국인 관광객들도 우리 전통 문화를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언어 공연·체험 프로그램들을 새롭게 선보일 예정이다. 신규 글로벌 축제 프로그램으로는 창극 ‘자궁가교’, 무언어 미디어극 ‘화령’, 궁중 다과를 체험할 수 있는 ‘정조의 다소반과’가 준비되어 있다. 창극 ‘자궁가교’에서는 영어해설을 스크린으로, 중어‧일어 등 기타언어 해설은 스마트AI안경으로 제공해 외국인들도 판소리 극을 어려움 없이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야간극 ‘화령’은 정조의 어진을 모시는 행궁 화령전 전체를 무대로 관람자를 에워싸는 음향과 빛을 연출해 남녀노소 모두 즐길 수 있도록 연출했다. 외국인 대상 사전예약 프로그램 ‘정조의 다소반과(King’s Dessert)’는 다식을 만들고 궁중 다과를 맛볼 수 있는데, 이번에 전 회차 예약이 완료되며 높은 인기를 보여줬다. 10월 5일에는 문체부 유인촌 장관도 축제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언어환경 등 글로벌 관광 수용태세를 점검하고, 초청 외국인 인플루언서들이 참여하는 축제 체험 프로그램에도 함께할 예정이다. ‘수원화성문화제’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1월 대만 국제여전에서 통합 홍보시연회, ’25년 1월 화천 산천어축제 개최 다가오는 11월 1일(금)~4일(월)에는 2024 대만 국제여전에서 글로벌 축제 통합 해외시연회를 개최해 해외 관광객 유치 활동을 강화한다. 3개 글로벌 축제의 대표 콘텐츠를 공연과 체험 프로그램으로 선보이고, 축제 연계 여행상품 판매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다. 8월 ‘인천 펜타포트음악축제’, 10월 ‘수원 화성문화제’에 이어 ’25년 1월에는 ‘화천 산천어축제’가 개최된다. 세계 4대 겨울축제인 ‘화천 산천어축제’는 겨울이 없는 동남아와 중동의 가족 관광객이 한국의 새하얀 눈과 얼음낚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유치할 예정이다. 유인촌 장관은 “우리 국민이 가고 싶은 축제가 곧 세계인이 가고 싶은 축제가 된다고 생각한다.” 라며, “앞으로도 문체부는 ‘수원화성문화제’를 비롯한 우리 축제가 교통이나 숙박 등 관광 수용태세에 있어 글로벌 표준 이상의 수준을 갖춘 ‘글로벌 축제’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탁계석 노트] 위대한 KClassic 카테고리 설정, 세계 음악사 개척에 나섰다

K클래식 브랜드 가치는 조직의 힘 보다 강하다

[탁계석 노트] 위대한 KClassic 카테고리 설정, 세계 음악사 개척에 나섰다

K-Classic News GS,Tak Cairman | 세계 음악사 편입은 최고의 가치 Kclassic이란 카테고리 하나가 설정됐다. 어마한 일이다. 서양 음악사에 우리가 진출할 분명한 장르의 브랜드가 창안된 것이다. 우리 관점이 아닌 서양 입장에서 본다면 이해가 빠르겠다. 그러니까 개인 아티스트, 연주단체, 그 누구의 이름이라해도 이를 누가 알것인가? K이니셜이 보통명사화된 입장이지만 아직은 K클래식 네이밍에 대한 호응이나 무게가 닿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하나 분명한 것은 개인 아티스트와는 비교할 수 없는 확산성, 속도감을 가진다는 점이다. 세계적인 스타가 아니라면 그 이름을 알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이에 비하면 Kpop과 BTS에 이어 K classic 이 점차 알려지기 시작하고 있고, 당장은 아니라해도 언젠가 Kpop, BTS의 대칭 버전으로서 효과를 발휘할 것 같다. 대중문화의 특성인 어마한 시장 지배력과 비교할 것이 아니라 세계음악사 편입과 음악사의 기록과 최고의 가치, 지속 성장에 대한 기대값이다. K클래식, 다양한 홍보와 콘서트를 통해 알릴 것 말하자면 개척되지 않은 지구촌 땅에 하나의 카테고리를 설정해 경계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이를 위해 K클래식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콘텐츠의 산실로서 창작의 확장성, 주도성을 확보해 나갈 것이다. 2012년 8월 출범한 K클래식이 2024년 제2기 출범과 함께 이같은 환경의 적응력을 높여갈 것이다. 어떤 작품을 만들 것인가 ? 어떻게 외국 연주가들이 우리 작품을 연주할 수 있을 것인가? 대한민국 대표 작곡가 10인 마스터피스 페스티발을 기획한 이유가 아니겠는가. 정교한 퍼즐을 맞추어 성을 쌓아 올리듯 전방위의 작업을 해 나갈 것이다. 보이지 않는 거대한 땅, 그 땅의 소유권을 확보한 만큼 거대한 스케일의 그림을 그려 나가려고 한다. 바야흐로 K콘텐츠, K아츠 시대, K클래식이 그 정점에서 꽃 피워지는 신(新)풍류 시대가 오고 있다. K-Classic Brand Value is Stronger than the Power of the Organization Incorporating into World Music History is the Best Value A category called K-Classic has been established. It is amazing. A brand of a clear genre that we will enter into Western music history has been created. It will be easier to understand if you look at it from a Western perspective rather than our perspective. So, who would know the name of an individual artist, a performance group, or anyone else? Although the initials K have become a common noun, the response or weight of the K-Classic naming may not be felt yet. However, one thing is clear: It has a spreadability and speed that cannot be compared to that of an individual artist. Unless you are a world-class star, it is not easy to know the name. In comparison, K-Classic is gradually becoming known following K-Pop and BTS, and even if not right away, it seems that it will be effective as a counterpart to K-Pop and BTS someday. It is not a comparison to the enormous market dominance that is characteristic of popular culture, but rather an expectation of inclusion in the history of world music, a record of music history, the best value, and continuous growth. K-Classic, to be introduced through various promotions and concerts In other words, it can set a category in an unexplored part of the world and create boundaries. To this end, K-Classic will secure the expandability and leadership of creation as a cradle of content representing Korea. K-Classic, which was launched in August 2012, will increase its adaptability to this environment with the launch of its second term in 2024. What kind of works will we create? How will foreign performers be able to perform our works? Isn't that why we planned the Masterpiece Festival of 10 representative composers of Korea? We will work on all fronts like building a castle by putting together an elaborate puzzle. As we have secured ownership of the vast, invisible land, we will try to draw a picture on a huge scale. The era of K-content, K-arts, and K-classics is finally coming to a new level, where they are in full bloom. 광고: 마스터피스 페스티벌 인터파크 티켓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