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사)한국캘리그라피예술협회 교토국제고등학교 방문기

한글 캘리그라피로 이어진 예술과 우정의 한일 교류

(사)한국캘리그라피예술협회 교토국제고등학교 방문기

K-Classic News 김경민(한국캘리그라피예술협회 사무국장)| (사)한국캘리그라피예술협회는 한일수교 60주년을 맞이하여 “글씨를 예술로, 한글을 세계로”라는 표어 아래 일본 순회 전시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번 교류는 단순한 예술 교류를 넘어, 한글을 매개로 한 민간 문화 외교의 새로운 장을 여는 의미 있는 자리였습니다. 2024년, 일본 열도를 뜨겁게 달군 고시엔 고교야구 대회에서 일본 전역 4,000여 고등학교를 제치고 역사적인 우승을 차지한 학교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전교생 160명의 작은 학교, 바로 교토국제고등학교가 그 주인공입니다. 결승전에서 울려 퍼진 한국어 교가는 NHK를 통해 전국에 방송되어 일본 사회에 깊은 울림과 한국 교포 사회에 큰 감동을 전한 상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이번 방문에서 (사)한국캘리그라피예술협회 임정수 이사장은 직접 한글 캘리그라피로 쓴 교가 작품을 학교에 기증하였으며, 재학생들이 아름다운 한글 서체로 교가를 배우고 익히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이사장의 저서 4권도 함께 기증되어 학생들이 한글 캘리그라피의 미학과 한국적 정서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에 비치되었습니다. 이날 기증식에는 학교 설립자인 왕청일 회장(왕미술관 설립자)을 비롯해 손두형 전시추진단장, 김경민 사무국장, 한경수, 손삼영, 임옥례, 이재진, 이광석, 송진규 등 협회 작가들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습니다. 아름다운 한글로 새겨진 교가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힘찬 응원의 글꽃이 되었으며, 양국의 문화가 언어와 예술로 하나 되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광복 80주년을 맞이한 해에 한글의 예술성과 정신이 일본 현지에 전해졌다는 점에서 더욱 뜻깊으며, 한글을 통한 한일 민간교류 사절단의 역할을 실감케 한 순간이었습니다. 한글 캘리그라피로 다시 기록된 교토국제고의 교가는 이제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시대를 잇는 평화의 메시지이자 예술로 피어난 우정의 상징으로 오래도록 기억될 것입니다.

2025 경주 APEC 갈래 말래~ Wanna go or not? · On y va ou pas ? · Gehen wir oder nicht? · Andiamo o no? · Ĉu ni iru aŭ ne?

세계인이 찾는 K-풍류의 중심지로

2025 경주 APEC 갈래 말래~ Wanna go or not? · On y va ou pas ? · Gehen wir oder nicht? · Andiamo o no? · Ĉu ni iru aŭ ne?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갈래 말래~? 영어 Wanna go or not? Shall we go or not? / 프랑스어 (Français) On y va ou pas ? / 독일어 (Deutsch) Gehen wir oder nicht? / 이탈리아어 (Italiano) Andiamo o no? / 에스페란토 (Esperanto) Ĉu ni iru aŭ ne? ‘갈래말래~(K풍류)’는 2025년 10월 27일 창립된 민간 문화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대한민국의 풍부한 문화 자원을 바탕으로 K-한류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하는 단체입니다. 이 모임은 예술, 관광, 콘텐츠, 산업을 잇는 글로벌 문화 투어 브랜드로 발전할 계획이며, 지역과 세대를 아우르는 창조적 연대의 장을 지향합니다. 갈래말래~(K풍류)의 주요 특징 창립 목적: 한국적 미감과 정서를 세계와 나누고, 지속 가능한 문화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민간 차원의 문화 네트워크 플랫폼. 운영 방식: 회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네트워크를 통해 예술과 관광, 콘텐츠, 산업을 연결하는 새로운 한류 패러다임을 추구. 이름의 의미: “갈래? 말래?”라는 자유로운 물음에서 비롯되어, 억지로가 아닌 즐김과 나눔, 자율의 정신을 강조. 비전: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글로벌 문화 투어 브랜드로 성장, 세계인이 찾는 K-풍류의 중심지로 자리 매김한다. Forest in Seungju (photo: 장의현) 갈래 말래 창립회원들~ “Gallae Mallae~ (K-Pungnyu)” Overview Gallae Mallae~ (K-Pungnyu) was founded on October 27, 2025, as a private cultural network platform designed to open a new horizon for K-Hallyu (Korean Wave) by utilizing Korea’s abundant cultural resources. This initiative aims to grow into a global cultural tour brand that connects arts, tourism, content, and industry, fostering creative solidarity that transcends both regions and generations. Key Features of Gallae Mallae~ (K-Pungnyu) Purpose: To share the beauty and sentiment of Korean aesthetics with the world and to build a sustainable cultural ecosystem through a private-sector cultural network. Operation: Through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ember networking, the organization pursues a new paradigm of Hallyu that integrates arts, tourism, cultural content, and industry. Meaning of the Name: Derived from the free-spirited question “Shall we go or not?” (Gallae? Mallae?), the name emphasizes autonomy, enjoyment, and the spirit of sharing rather than coercion. Vision: To grow into a global cultural tour brand embracing both Korean tradition and modernity, ultimately establishing itself as the central hub of K-Pungnyu that attracts audiences worldwide Forest in Seungju(photo: 장의현) 갈래 말래 창립회원들~

[탁계석 퓨리뷰] 관객 기반이 확장되는 K-바로크의 새로운 기류

서울역사 박물관과 (주) 메노가 함께 하는 재능 나눔 콘서트

[탁계석 퓨리뷰] 관객 기반이 확장되는 K-바로크의 새로운 기류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바야흐로 하프시코드 바람이다 바람이 어디서 불어오는지, 그 근원을 알 수는 없다. 그러나 바람은 언제나 소식을 전한다. 꽃씨를 나르고, 먼 산골의 숨은 이야기나 바다 건너의 소문을 실어 온다. 지금 한국 음악계에도 그런 바람이 분다. 바로 하프시코드의 바람이다. 바로크 시대 유럽 궁정의 애호를 받던 악기가 오늘,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새로운 숨결로 초대되었다. 그것은 단지 악기의 전시가 아니라, 시대와 예술의 시간 여행이다. 이번 무대에서는 바로크 음악의 섬세한 변주와 장르적 확장, 그리고 그 속에 깃든 정신의 미학이 한 자리에서 펼쳐진다. 여기에 예술 인문학자 황순학 교수의 해설이 더해져, 하프시코드의 탄생 배경과 미학적 의미를 인문학적 울림으로 전한다. 2025년은 광복 80주년. 이 시점에 하프시코드가 서울의 역사 공간에 등장했다는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다. 과거의 상처를 예술로 치유하고, 새로운 시대의 문을 여는 상징적 사건이다. 송은주 한국하프시코드협회 회장은 바로 이 전환의 중심에 서 있다. 그의 활동은 단순한 연주를 넘어, 하프시코드의 현대적 부활과 한국적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을 구축하는 일이다. 단순 감상을 넘어 관객 참여형 문화로 각 지역의 소규모 공연장에서부터 대형홀까지, 이 악기의 낯선 매력에 매료된 관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클래식 음악이 ‘귀한 취향’에서 ‘참여형 예술’로 옮겨가는 문화적 변화의 징후이기도 하다. 하프시코드가 더 이상 ‘수입된 음악’이 아니라, 우리 작곡가와 연주자, 청중이 함께 만들어가는 창작의 무대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역사박물관 공연은 바로 그 변화를 알리는 신호탄이다. 한국적 정서와 바로크적 형식이 만나 새로운 교류의 장이 열리고, 그 안에서 전통과 현대, 과거와 미래가 공존한다. 나아가 이는 단순한 음악회가 아니라, K-바로크의 글로벌 진출을 향한 실험무대로 볼 수 있다. 새로운 시도, 새로운 결합, 새로운 감동, 이것이 바로 하프시코드 바람이 품은 진짜 메시지다. 새로운 메뉴는 언제나 호기심을 자극 그러나 그것이 단순한 유행이 아닌 문화적 자존심(프라이드)이 될 때, 그 바람은 오래 지속된다. 이제 하프시코드는 한국 음악사의 또 다른 이름으로 불릴 것이다. 조용하지만 단단한 바람, 바로 하프시코드의 부활이 그것이다.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