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울산시립합창단 한국 가곡 토크 콘서트- 이은철 작곡가, 조혜영 작곡가

박동희 지휘, 봄과 함께 새싹처럼 피어나는 우리 가곡의 향연

울산시립합창단 한국 가곡 토크 콘서트- 이은철 작곡가, 조혜영 작곡가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아름다운 하모니로 울산을 대표하는 울산시립합창단이 준비한 제 129회 정기연주회 새로운 한국 가곡을 작곡하는 두 작곡가의 이야기를 노래와 함께 듣는다. 음악 교과서에 실린 산유화를 작곡한 이현철, 합창의 대중화를 이끈 아름다운 가곡, 모디저를 작곡한 조혜영의 대표적 작품을 비롯한 재미있고 아름다운 서정적인 가곡들. 탁계석 비평가의 시각 대중가요를 유행가라고도 부른다. 유행가란 시절의 유행을 탄다는 이야기다. 그때 그때 사회나 삶과 인생의 사연들을 반영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가곡은 유행가처럼 시대의 흐름을 타지 않을까? 아니다. 가곡도 흐름을 탄다. 옛동산에 올라, 그 집앞, 보리밭 등 4~ 50년 전의 지난 가곡들을 지금은 거의 부르지 않는다. 공전의 히트를 한 가고파, 목련화, 향수 등도 한 시절을 고비로 정상에 올랐다가 지금은 상당히 힘을 잃었다. 따라서 새로운 시어(詩語)에 의한 꾸준한 창작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것이 소비자인 관객에 대한 예술단체의 매너이자 책무다. 박동희 지휘자의 울산시립합창단이 새 봄을 맞아 이현철, 조혜영 두 작곡가에게 위촉을 해서 봄의 식탁에 제철 음식으로 입맛을 돋우게 하니 이 또한 반갑고 즐겁지 아니한가. 바라건대, 전국의 합창단들이 이렇게 '미감(美感) 식탁'을 준비했으면 좋겠다. 한국 가곡 이은철 작곡 겨울은/ 봄아 오너라/ 청산에 살리라/ 어머님이 그리워/ 내 안의 그대가 그리운 날/ 중국 노래 메들리/ 산유화 한국 가곡 조혜영 작곡 무언으로 오는 봄/ 고향의 봄/ 희망을 만드는 사람이 되라/ 봄바람 난 년들/ 금잔디 /못 잊어 지휘 박동희 예술 감독. 작곡가 이현철. 작곡가 조혜영. 진행 정윤지. 반주 강혜진. 반주 정고원. 울산시립합창단.

소프라노 이하늘 귀국 독창회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영산아트홀)

소프라노 이하늘 귀국 독창회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영산아트홀)

K-Classic News 이백화 기자 | 맑고 화려한 음색을 지닌 소프라노 이하늘이 오는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영산아트홀에서 귀국 독창회를 개최한다. 소프라노 이하늘은 계원예술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 음악대학 우수상을 받으며 졸업했다. 경희대학교 재학 중 페라라 국립음악원(Conservatorio Frescobaldi di Ferrara)에서 Garbis Boyagian의 마스터클래스를 수료한 경험을 바탕으로 졸업 후 이탈리아로 유학하여 비발디 국립음악원(Conservatorio Antonio Vivaldi di Alessandria)에서 오페라과 Biennio과정과 밀라노 클라우디아 아바도 시립음악원(Civica Scuola di Musica Claudia Abbado)에서 보컬코칭 최고연주자 과정을 졸업하였다. 또한 아레나 아카데미(Accademia di Arena)에서 성악과 합창지휘 최고연주자 과정, 로마 국제 아카데미(Accademia di Roma Internazionale)에서 뮤지컬 최고연주자 과정, 도니제티 아카데미(Accademia di Donizetti)에서 극장경영학과정까지4가지 과정을 이수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귀국 후에도 국가전문자격증인 ‘문화예술교육사’(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 진행, 분석, 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를 이화여자대학교 문화예술교육원에서 취득하며 문화예술교육 분야까지 역량을 확장하며 끊임없이 학구적인 면모를 이어갔다. 소프라노 이하늘은 <Sale del Museo di Palazzo Cuttica>, <L’auditorium Lattuada di Milano>에서 연주하였으며, <세종 FM 개국 기념식 축하공연>, 대전 시민과 예술로 함께 호흡하는 <대전시청 수요브런치 콘서트>, <대전문화재단 지역특성화 음악회> 등 다수 연주에 출연하였다. 그녀는 클래식에 국한되지 않고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 공연에 주역으로 호연하여 매 공연에 감동을 주는 연주자로 평가받으며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또한 오페라 <La Boheme>의 Musetta 역을 시작으로 이후 <ll segreto matrimonio>, <Le nozze di figaro> 등 다수의 오페라 작품에 참여하며 다양한 음악 활동을 이어갈 뿐 아니라 한국문화예술협동조합 솔앤 이사를 비롯해 세종예고, 한밭문화예술교육원, 세종고운청소년센터, 세종국제고 보컬 강사를 역임한 그녀는 창작뮤지컬 공연(세종문화예술회관), 솔앤 어린이 뮤지컬 갈라 콘서트(한밭문화예술교육원 아트홀), 청소년 창작 뮤지컬 ‘무지개 상담소’(비오케이아트센터)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였으며, 중부대학교 문화예술 교육 자원조사 및 안내서 개발에도 참여하는 등 문화예술 교육 분야에도 많은 활동을 하였다. 현재는 세종FM 98.9MHz ‘이하늘의 세종 플레이’를 진행하면서 라디오 청취자들과 넓은 스펙트럼의 음악으로 소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훈, 조윤조 교수를, 국외에서는 Prof. Carla di Censo, Prof. Giovanni Botta를 사사하였다. 이번 귀국 독창회에서는 피아니스트 김민경, 오보이스트 김윤섭, 해설가 한진만과 함께 다양한 나라의 문화적, 음악적 견해를 통하여 폭넓은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그동안 쌓아온 음악적 열정과 그녀만의 풍부한 감성과 울림으로 청중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이번 연주를 시작으로 그녀는 더욱 폭넓은 무대를 통해 국내에서 전문연주자로 활발한 음악적 행보를 이어 나갈 예정이다. 영음예술기획이 주최하는 본 공연은 전석 2만원으로 인터파크 티켓과 yes24에서 예매할 수 있다. 문의) 영음예술기획 02-581-5404

K클래식 뉴스 다양한 운영 방식에 돌입

오는 8월 200만 돌파 앞두고, 독자가 만드는 신문, 소비자의 현명한 선택!

K클래식 뉴스 다양한 운영 방식에 돌입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아직도 골똘한 생각과 신문을 보고 계신가요? 누구도 시대의 흐름을 막을수는 없다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이 신문의 폐간 사례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2011년 36.7%에서 2018년 86.7%로 약 2.4배 증가하였다. 동시에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도 2022년 기준으로 77.2%로, 처음으로 TV를 통한 뉴스 이용률(76.8%)을 넘어섰다. 종이 신문의 폐간 현황도 마찬가지다. 미국에는 2005년 약 8,891개의 신문사가 있었으나, 2022년 5월 말 기준으로 6,377개로 감소했다. 약 2,500개 이상의 신문사가 폐간(廢刊)된 것으로, 매주 2개꼴로 폐간한 것이다. 우리나라 종이 잡지의 폐간 현황 역시 가장 오랜 전통의 잡지였던 49년 역사를 가진 월간 <샘터>가 2019년 폐간하며 종이 잡지의 쇠태를 예고하고 나섰다. 2010년에 2,744종의 잡지가 폐간되었으며, 2011년에는 424종이 폐간되었다. 이게 10년 전 이야기니까 오늘의 현황은 더욱 가속화되고 았다. 누구도 트랜드의 변화는 막을수 없다. 하루 독자 평균1,370명 매월 41,100명, 잡지의 40배가 넘어 이같은 변화를 예상하고 2021년 8월 창간한 K-Classic 뉴스가 오는 8월이면 창간 4년을 맞는다. K클래식뉴스는 '독자가 만드는 신문'을 표방하며 더욱 풍성한 클래식 플랫폼으로 탄생을 준비 중이다. 현재의 속도라면 오늘 8월이면 200만 독자뷰(view)를 상회할 것으로 보여, 하루 평균 1,370명의 독자가 K클래식뉴스를 읽은 것으로 집계된다. 그간 1일 최대 뷰는 2025년 1월 7,600명이다. 이에 K클래식은 분야별 필진을 한층 강화하고, 전국지를 넘어 글로벌 실시간 매체로 문호를 개방할 것이다. 변화의 속도가 눈부신만큼 언론 소비자인 독자들의 매체를 보는 시각도 달라졌으면 한다. 그러면서 검색으로 통하는 시대에 클래식계에 새로운 미디어 총아가 될 것을 목표로 한다. 소통과 홍보 마케팅이 아티스트를 살린다 탁계석 K클래식뉴스 발행인은 '아직도 인터넷 신문 활용법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에게 소정의 비용으로 마음껏 뉴스를 자신의 안방처럼 사용하게 하기 위해서 1년 기사 게재비를 내는 것이 효율적이란 것이 운영진이 내린 결정이다. (*기존 잡지 매체 2~3 페이지 기사(광고 포함) 80만원~100만원) 종이 매체에서 보면 매우 파격이다. 그렇다고 누구나 싣는 것은 아니고 일정의 수준을 검증하여 고품격 매거진이 되도록 할 것이다. 여기에 동영상 탑재가 가능하고 구글 검색도 가능하니 달라진 언론 환경이 주는 최고의 뉴스 플랫폼'이라고 했다. 동시에 비평가인 탁회장은 예술가들의 진로와 무대 등을 만들어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날수 있도록 멘토링을 해서 AI 시대의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새 예술 문법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했다. 특히 창작을 중심으로 K클래식 상품화와 소비시장, 그림과 클래식의 공동 개척 등 병행해 나갈 것이라며 아티스트의 마인드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새로운 변화의 물길이 거세게 밀려오고 있지만 기득권 매체는 손을 떼지 못하고, 분명한 방향이 될 뉴미디어 사이에서 예술가들은 선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요즈음 회자돠는 말처럼 누군가가 해야 하고, 지금이 해야 할 때라면, 나서서 해법을 찾는 것이 맞다는 뜻이다. 이 역시 언론의 길이 아닐까 싶다. *온라인 계좌: 우리은행 1002-931-412158 예금주(탁계석) 홍보 기사 : 1회 10만원/ 프리미엄(기사 무한 리필) 1년 100만원 (100명 한정) /보급형 50만원 박상수 작가

Opus

더보기

Opinion

더보기

Hot Issue

더보기

반려 Friend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