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뉴스섹션

전체기사 보기
Classic

임준희 작곡 '송 오브 아리랑(Song of Arirang) K-Classic 탁계석 회장과의 인터뷰

베토벤 합창을 넘어 세계인이 부르는 합창 찬가로

김은정 기자

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김은정 기자: 회장님, 9월 5일 광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송 오브 아리랑 공연, 정말 뜨거운 반응이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현장의 분위기를 직접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탁계석 회장: 네, 광주시립합창단을 중심으로 부산, 대구 시립합창단이 함께한 합동 무대였습니다. 임준희 작곡가의 송 오브 아리랑은 광복 80주년에 걸맞은 작품이자, 영호남 화합이라는 상징적 캐치프레이즈를 구현한 무대였지요. 객석의 열기는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우리 민족 DNA 속에 흐르는 아리랑 정서를 건드려서 하나의 울림으로 합쳐졌습니다. 관객들이 눈물을 흘리며 감동하는 모습을 보며, 아리랑이야말로 우리 민족을 하나로 묶는 노래라는 확신을 다시금 얻게 되었습니다. 베토벤의 합창이 인류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했듯, 한국인에게 아리랑은 독보적인 정서적 호소력을 지닌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회장님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맞습니다. 세계적인 명곡들, 베토벤 합창을 포함해 카르미나 브라나 등 우리가 거의 다 들어왔지만, 적어도 우리 국민과 해외 동포들에게 아리랑만큼 직접적인 소통력을 가진 음악은 없습니다. 강원도, 영남 밀양, 진도 아리랑처럼 지역마다 다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