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국의 작곡가 존 케이지(1912∼1992)의 ‘4분 33초’가 초연된 날

시간에 맞춰 악장이 시작할 때 피아노 뚜껑을 닫고 끝날 때 연 것

문화일보 김지은 기자 | 

 

 

1952년 8월 29일 미국 뉴욕주 우드스톡의 야외 공연장.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가 무대 위에 등장한다. 피아노 앞에 앉은 튜더는 악보를 펼치더니 피아노 뚜껑을 닫았다. 몇 초의 정적이 흐른 뒤 그는 다시 피아노 뚜껑을 열었다. “이제 정말 시작하려나 보군.” 하지만 관객들의 기대를 저버리고 그는 또다시 뚜껑을 닫아버린다. “뭐하는 거야.” 사람들이 수군거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피아노 뚜껑만 여닫기를 반복한 피아니스트는 인사를 하고 퇴장했다. 

 

미국의 작곡가 존 케이지(1912∼1992)의 ‘4분 33초’가 초연된 이날, 아무 연주도 하지 않은 연주자는 사실은 충실히 악보를 따랐다. 1악장 33초, 2악장 2분 40초, 3악장 1분 20초로 짜인 곡의 악보엔 음표는 하나도 없고 ‘타셋’(TACET·침묵)이라고만 쓰여 있었기 때문이다. 연주자는 시간에 맞춰 악장이 시작할 때 피아노 뚜껑을 닫고 끝날 때 연 것이다.

 

 

청중들은 피아노의 침묵 속에 무언가를 듣긴 들었다. 나무 옆을 스치는 바람 소리, 갑자기 튀어나온 기침 소리, 웅성거리는 소리…. 케이지는 이런 소음들도 음악으로 여겼다. 연주시간 동안 현장에서 우연히 발생하는 모든 소리가 음악이 될 수 있고, 우연의 불확실성으로 관객이 어떤 음악을 듣게 될지 알 수 없는 것이 이 작품의 핵심이다. 

 

케이지는 세상에 완벽한 무음은 없다는 것을 깨달아 4분 33초를 만들게 됐고,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에서 주인공 강마에가 이 곡을 지휘해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현대음악의 거장 아널드 쇤베르크에게 작곡을 배운 그는 피아노 현에 못, 볼트, 나무 조각, 고무 등을 끼워 넣어 음색에 변화를 준 프리페어드 피아노(prepared piano)를 고안하는 등 실험적인 음악을 했고, 비디오아트를 창시한 백남준 등과 함께 1960∼1970년대 전위예술 운동인 플럭서스를 주도했다. 

 

백남준은 “내 인생은 케이지와의 만남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1958년 케이지와 만난 백남준은 “내 인생은 케이지와의 만남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말할 정도로 그에게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를 스승으로 삼아 1959년 ‘존 케이지에 대한 경의’라는 공연을 했고, 이듬해 또 다른 공연에서 관객석에 앉아 있던 케이지의 넥타이를 가위로 싹둑 자른 퍼포먼스는 유명하다.

 

70년 전 음악의 고정관념을 깨고 음악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진 4분 33초는 예술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케이지는 말했다. “사람들이 왜 새로운 생각을 두려워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나는 오래된 생각이 두렵다.”

 

김지은 기자 kimjieun@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