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탁계석 노트] 'K클래식 마스터피스' 최고의 상품성 향해 열심히 달려야죠

명품이 갖는 요건과 기준, 소비자의 고객 심리 잘 읽어야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 회장  |

 

 

연주가와 관객에게서 박수 받는 작품이 명작이죠

 

무엇보다 K클래식 작품들이 상품적 지배력을 가져야 합니다. 상품으로서의 가치 즉 1차 대상은 연주자들이 그 곡을 연주함으로써 연주력이 빛나고 관객들로부터 박수를 받아야 합니다. 의무적이거나 일회성이 되어서는 안되죠. 그동안 창작의 상당수가 실적을 위한 것에 집착한 면이 없지 않습니다. 학교 제출용? 창작이 기법의 전시장처럼 돼서는 안되겠지요.  

 

모두  개성과 색깔, 기법을 현란하게 표시하고 있지만 결국 1회 공연으로 끝난다면, 기술력이야 향상되겠지만 상품으로서는 진입을 못한 것이니까요. 어떤 기준에서 보면 완성품이라 할수 없는 자기 만족입니다. 이를 극복해야 하고, 이것은 창작자인 작곡가의 몫은 아닙니다. 결국 홍보와 마케팅, 그래서 기업에 생산부와 영업부, 홍보 마케팅의 세분화가 있는 이유입니다. 더 늦기 전에  관객과 연주자에게 공유되는 작품이 나와야 합니다. 이를테면 피아졸라처럼 세계 도처에서많이 연주되는 대중성과 작품성을 갖추었으면 합니다. K 클래식 마스터피스 페스티벌을 통해서 전체를 조망하고,  어떻게 방향을 잡아야 할까를 고민하는 것입니다.

 

우선은 마스터피스 페스티벌의 가치를 높여야 하겠기에 '10인 천재 작곡가' 라는 좀 오버한듯한 카피(copy)로 사람들의 시선을 끌어 보려고  합니다. 일단 가격도 높이고, 무엇보다 티켓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으로 어려운 것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앞으로 각자 연주가들이 할수 있도록 홍보력을 높이고 인센티브도 주면서 마케팅을 해야합니다.  선별적인 연주자들이 앞장서 주는 그런 작업과 운동이 필요합니다. 

 

문화 사대주의 극복, 상품 지배력이 힘을 가질 때 

 

동시에 우리에게 깊숙이 박혀 있는 사대주의를  벗어나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합니다. 좁은 시야 때문에, 편의성 때문에, 시대성을 잃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죠.  우리가 현대에 살고 있고,  이 시대를 함께 살면서 오늘이 배제된체 모차르트 마차 구르던 시대의 음악만 편안하게 즐기는 것이 클래식이 아니란 것입니다. 우리가 만든 작품들을 청중들에게 제대로 설명하고 설득하지 못한다면  창작의 열정과 수고로움이 어디서 답을 얻겠습니까!  한국의 클래식은 너무 진부하고 매너리즘에 빠져 있습니다. 

 

엊그제 막을 내린 프리즈서울과 키아프 전시는와는 극히 대조를 이루는 것이었습니다.  인산인해의 관객에서 미술시장이 탄력적이고 뜨거운 열기를 체험했습니다. 여기에 젊은 관객층이 대다수인 점은 희망입니다. 그러니까 일회성, 실험성, 자기 만족의 창작시대는 지났습니다. 지금은 도입기도, 실험기도 아닌 완성품을 생산해 내야 하는 K콘텐츠 세상입니다. 지난 창작 70년사에서의 교훈을 바탕으로 새 출발을 다짐해 봅니다. 보다 완성의 작품으로 기업 명품과도 연계되는 그러한 흐름을 K 클래식 마스터피스가 획득할 것이라 굳게 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