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철학인류학자 박정진 박사 『한글로 철학하기』 출간 (신세림)

선진국 되려면 사대주의 극복하고 우리 것 세워야

K-Classic News 탁계석 K클래식 회장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후 580년 만에 순우리말철학인 ‘재미있는 한글철학’을 세상에 내놓았던 철학인류학자 박 정진 박사가 2달 만에 『한글로 철학하기』(신세림)를 연거푸 독서계에 선보였다. 이 책은 ‘재미있는 한글철학’의 내용을 증보하고 보다 새롭고 친절하게 설명을 붙였다. 이론적 강화를 시도한 에세이 여러 편과 독자들이 철학에 보다 쉽게 접근하도록 철학시 70여 편을 보탠 책이다.

 

박정진 박사는 이 책에서 한글의 철학적 깊이를 더하기 위해 한글단어 28자를 키워드로 28철학소(素)를 뽑아내어 한글로도 철학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한편 그 내용에 있어서도 세계철학의 보편적 반열에 진입할 수 있음을 실례로 증명해 보였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자신의 철학인 ‘일반성의 철학과 포노로지’(소나무)를 비롯한 소위 ‘소리철학’ 관련저서를 20여권 출판한 철학인류학자이다. 그동안 철학 이외에도 1백여 권의 인문학 저서를 세상에 내놓은 20, 21세기 한국인문학의 기린아이다.

 

그는 이번에 우리말 <나-남-님-놈-너>를 비롯해서 <알(생명)-나(나다)-스스로(살다)-하나(되다)>, <맛-멋-(마음몸)-마당-말-마을>, <알-얼-올-울-을-일(놀일)>, 그리고 ‘있다-이다-잇다-하다-되다-나다-살다’ 등 28자를 서로 연결하는 기법을 통해 순우리말로 된 한글철학을 구성했다. 이것은 박정진의 한글철학의 28철학소(素)이다.

 

28철학소들은 서로 상호보완하고 연결되면서 그동안 어렵게 느껴지던 동서철학의 내용들을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단어들을 사용하면서 보다 선명하게 설명하고 있다. ‘재미있는 한글철학’과 ‘한글로 철학하기’ 자매편은 그동안 번역철학과 모방철학에 그쳤던 한국의 철학적 환경을 일신하는 한편 미래철학으로서도 충분히 앞서갈 수 있음을 보여준 철학신서들이다.

 

그는 “한글철학의 최초구성을 하면서 스스로 한민족에게 다시 얼을 되찾아준 기분”이라고 말한다. 한 나라가 자생철학을 갖는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선진국의 문턱에서 좌절하는 국가가 적지 않다. 돌이켜 생각하면 그 원인은 자생철학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이 있느냐, 없으냐의 차이인 것 같다. 자생철학이 없으면 국민의 교양으로서의 철학이 부재하고, 다른 나라와 구별되는 독자적인 사유를 할 수 없게 되고, 지식인이라고 하더라도 결국 사대주의자가 될 수밖에 없다. 독자적인 사유체계가 없으면 결국 부(富)를 지탱할 수 없게 된다.

 

우리가 경험론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영국의 철학이다. 관념론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독일의 철학이다. 합리론이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프랑스의 철학이다. 실용주의라고 알고 있는 철학은 미국의 철학이다. 이들 국가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보편성에 도달한 문화능력이 있기 때문에 근대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저자는 서문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우리는 서구의 철학을 그 나라의 국민철학, 혹은 국가철학이라고 이해하고 있기보다는 처음부터 보편철학의 위치에 있었던 것으로 착각하고 있다. 물론 이들 철학이 보편성에 도달한, 세계인으로 하여금 믿고 따를 수 있는 시대정신을 반영한 철학이다. 그러나 그 철학의 발생 과정을 보면 그 나라의 사유체계와 존재방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오늘날 세계는 지구촌이라는 말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하나의 마을처럼 가까워졌지만, 그럴수록 자신만의 고유의 철학을 가지고 있어야 철학적 시민권을 주장할 수 있고, 선진국으로서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다. 그 나라의 고유한 철학이 없으면 결국 정신적 사대주의에 빠지게 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이 선진국이 되려고 하면 종래 동서철학에 대한 해박한 이해와 더불어 그 틈새를 뚫고 우리말인 한글에 의해 개념화되고, 체계화된 한글철학을 가지지 않으면 안 된다. 서양철학, 중국철학을 배우고 따라가면 된다는 생각은 문화적 사대주의다. 외래철학을 잘 한다고 우리의 고유철학이 저절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역설적으로 외래철학에 빠지면 빠질수록 자신의 혼을 잃어버리고 헤어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훌륭한 외래 철학일수록 정치한 내용은 물론이고, 체계화와 설득력의 면에서 우리를 압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나라에는 오랜 철학적 전통과 함께 자신만의 오리지널(original) 철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때나마 선진국을 구가하면서 제국주의를 행한 나라들은 하나같이 자국의 철학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훌륭한 철학자 군을 자랑하고 있다. 불행하게도 한국은 아직 그러한 철학자와 철학을 지니고 있지 못하다. 도리어 고대철학으로서 천부경(天符經)의 천지인(天地人)·정기신(精氣神) 사상을 지니고 있지만 근대철학으로 내세울만한 것이 없다. 

 

조선조 성리학(性理學)만 하더라고 중국 송(宋)나라 주자(朱子)의 철학이다. 우리는 주자의 철학을 마치 우리의 철학인 양 착각하면서 살아왔던 것이다. 이것은 부성부재(父性不在)임을 말해준다. 우리는 주자철학을 퇴계(退溪)철학이라고 하면서 국내외에 떠들고 다녔다. 지구촌이 세계화가 된 오늘날, 주자의 성리학을 한국의 철학이라고 하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

 

원효(元曉)의 화쟁(和諍)사상은 그래도 좀 낫다. 중관(中觀)사상을 비롯해서 유식(有識)사상 등 불교사상과 철학을 죄다 모아 화해시키면서 나름대로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정리하고, 그것을 넘어서는 메타(meta)철학으로서 화쟁사상을 창출해냈기 때문이다.

 

오늘날도 우리는 원효의 화쟁사상이나 퇴계의 경(敬)철학을 우리의 사상으로 팔아먹고 있다. 오늘날의 우리시대정신을 담은 철학을 생산하지 못하고, 그 과거의 흔적들만 우상처럼 자랑하고 있는 것이다. 부재(不在)를 현존(現存)으로 자랑하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은 선진국 문턱에 있는데 철학은 항상 서양철학을 들먹이고, 아니면 중국 고전철학을 끄집어내서 철학하고 있는 것처럼 스스로를 속이고 있다. 동서양의 철학적 고전을 공부하는 것이야 철학적 사유능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지만, 철학공부만 한다고 철학이 저절로 하늘에서 뚝딱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철학을 하려면 자신이 살고 있는 땅(나라)의 전통을 바탕으로 스스로 사유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

 

번역된 남의 철학으로 자신의 철학을 대신하는 일은 자신의 혼을 빼버리는 일이다. 철학하는 것은 철학공부가 아니다. 역설적으로 남의 철학을 잘 알고 평생 그것을 신주 모시듯 하면 도리어 자기철학을 할 수 없게 된다. 남의 철학에 완전히 세뇌가 되면 자기철학을 할 수 없다. 그것은 철학을 우상화·종교화하는 일이다. 한 나라의 철학은 그 나라의 언어로 구성되는 것이 당연하다. 남의 나라 언어로 철학을 한다는 것은 문화교류와 소통을 위해서는 중요하지만 독자적인 철학을 수립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한글로 철학하는 자가 없었다. 한글철학의 걸음마를 떼는 기분으로 이 책을 엮었다. 한글로도 얼마든지 고매한 철학적 개념과 체계를 구성할 수 있음을 독자들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는 <알(알다)-나(나다)-스스로(살다)-하나(되다)>의 큰 이론체계와 함께 삶의 존재방식에서 보편적으로 요구되는 육하원칙(六何原則)을 ‘알’의 변형으로 설명하는 탁견을 접할 수 있다. <알(생명)-얼(정신)-올(시간)-울(공간)-을(목적)-일(놀, 놀일)>이라는 현상학적인 이론체계가 그것이다. 철학에서 ‘나’는 키워드이다. ‘나(I)’가 없으면 철학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나-남-님-놈-너>라는 명칭과 호칭 뒤에 숨은 철학적 의미와 상관관계를 처음으로 탐색했다. ‘ㄴ’은 플러스 홀소리와 닿소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나’의 변형들은 한글 속에 숨어있는 의미체계에 어떤 규칙성이 있는 점도 발견되었다.  그리고 ‘나’와 ‘하나(큰 나)’의 상관관계, 그리고 ‘하나’ 플러스 ‘님’의 의미복합에 대해서도 다루었다. 

 

동양의 철학자답게 <격물치지성의정심(格物致知誠意正心)-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를 대신할 현대판 팔조목(八條目)으로서 한글발음으로 ‘자신’의 변형으로서 <자신(自身)-자신(自信)-자신(自新)-자신(自神)-검소(儉素)-겸손(謙遜)-자유(自由)-창의(創意)>를 제안해보았다.

 
한 나라의 철학이 자신의 말로 철학을 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인데도 그렇지 못한 나라들이 많다. 한국도 그러한 나라 가운데 하나이다. 옛날에는 한자말이 아니면 철학을 할 수도 없었고, 오늘날은 영어를 비롯한 라틴어 계통의 말이 아니면 철학을 할 수 없는 것처럼 한국의 철학자들은 살고 있다. 남의 나라 말로 철학을 하는데 자신의 정체성이나 혼(魂)을 지킬 수가 있을까. 남의 말로 생각을 하면 과연 그것이 자신의 철학이라고 할 수 있을까.

 

다시 말하면 『재미있는 한글철학』은 총 28개 단어, 철학소(素)로 한글철학을 완성하고 있다. 28개 단어로 한국인의 삶의 철학과 미학을 통틀어 말하고 있다. 한국인의 무의식 속에, 집단무의식 속에 숨어서 전해 내려온 이 단어를 발견한 것은 저자가 그동안 동서양철학의 준봉들을 넘어섰기 때문으로 보인다.. 저자는 2012년을 기점으로 지금까지 20여권의 철학관련 대작들을 세상에 내놓았다. 그 때마다 세상을 놀라게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저작들이 밑거름이 되어 이번에 한글철학을 내놓았다고 소감을 말한다. 저자는 이밖에도 1백여 권의 저술과 13권의 시집(1천5백여 편의 시)을 내놓았다. 특히 『철학의 선물, 선물의 철학』 『소리철학, 포노로지』 『빛의 철학, 소리철학』 『니체야 놀자』 『일반성의 철학과 포노로지』 『니체, 동양에서 완성되다』 『위대한 어머니는 이렇게 말했다』 『네오샤머니즘』 『신체적존재론』 『평화는 동방으로부터』 『평화의 여정으로 본 한국문화』 등을 출간한 바 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 시와 철학과 아포리즘을 집대성한 『21세기 詩經』을 출간했다. 

 

박정진 박사는 이번에 선보인 한글철학을 간단하게 줄여서 ‘알-나’철학, 혹은 ‘알-나 생명문화’철학이라고 말한다. K-팝, K-영화, K-드라마, K-푸드, K-방산 등 한류가 세계적 대세인 이때에 K-철학(philosophy)으로서 ‘한글철학’이 탄생함으로써 한국문화가 세계의 중심문화로 들어갈 날이 더욱 재촉하는 것 같다. 저자는 특히 “어린아이들이 우리말에 대한 자부심을 갖고, 일찍부터 생각할 수 있는 인간이 되고, 어른이 되어 철학적 사유를 하면서 살아갈 수 있는 토대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한다. 

 

 

다음은 저자의 주요저술 목록 33선이다.

 

<해원상생, 해원상생>(시집, 89, 지식산업사)

<한국문화와 예술인류학>(92, 미래문화사)

<잃어버린 仙脈을 찾아서>(92, 일빛출판사)

<아직도 사대주의에>(94, 전통문화연구회)

<불교인류학>(2007, 불교춘추사)

<종교인류학>(2007 불교춘추사)

<단군신화에 대한 신연구>(2010, 한국학술정보)

<굿으로 본 백남준 비디오아트 읽기>(2010, 한국학술정보)

<박정희의 실상, 이영희의 허상>(2011, 이담북스)

<철학의 선물, 선물의 철학>(2012, 소나무)

<소리의 철학, 포노로지>(2012, 소나무)

<빛의 철학, 소리철학>(2013, 소나무)

<니체야 놀자-초인이 도인을 만났을 때>(2013년, 소나무)

<일반성의 철학, 포노로지>(2014년, 소나무)

<지구 어머니, 마고>(2014, 마고북스)

 
<한류의 원조-메시아는 더 이상 오지 않는다>(2014, 미래문화사)

<니체, 동양에서 완성되다>(2015년, 소나무)

<예수, 부처, 문선명-메시아는 더 이상 오지 않는다>(개정증보판)(2015년, 행복출판사)

<평화는 동방으로부터>(2016,  행복한에너지)

<평화의 여정으로 본 한국문화>(2016, 행복한에너지)

<여성과 평화>(2017, 헹복에너지)

<위대한 어머니는 이렇게 말했다>(2017, 살림)

<심정평화, 효정평화>(2018, 행복에너지)

<네오샤머니즘(NEO-SHAMANISM)(2018, 살림)

<니체를 넘어서-예수부처, 부처예수>(2019, 신세림)

<한국의 무예마스터들>(2020, 살림)

<무예 자체, 신체 자체를 위한 신체적 존재론>(2020, 살림)

<인류학자가 풀어쓴-차의 인문학 1>(2020, 차의 세계사)

<서양철학의 종언과 한글철학의 탄생>(2021, yeondoo)

<신(神)통일한국과 하나님주의(Godism)>(2021, 신세림)

<축제와 평화>(2022, 신세림)

<21세기 詩經>(시집, 2023, 신세림)

<재미있는 한글철학>(2023, 신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