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뉴스섹션

전체기사 보기
Column

[칼럼] 종이 매체의 쇠태와 K-Classic 인터넷 신문의 미래

장르·공연·콘텐츠를 아우르는 플랫폼형 브랜드는 K-Classic이 유일

탁계석 회장 기자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기하급수적 성장과 속도감이 비전 종이 잡지와 신문이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이는 누가 막으려 해도 되돌릴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인쇄·유통 비용의 한계, 독자층의 변화, 빠른 정보 소비 방식은 종이 매체를 점점 주변부로 밀어내고 있다. 이제 정보의 중심은 명백히 모바일과 인터넷에 있다. 그러나 인터넷 신문이 완전히 정착되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 더 많은 독자층의 신뢰, 꾸준히 읽히는 플랫폼 습관, 언론으로서의 무게감이 축적되어야 한다. 하지만 한 번 체계가 잡히고 ‘독자 회전 속도’가 붙기 시작하면, 종이 매체가 따라올 수 없는 기하급수적 성장과 속도감이 생긴다. 이것이 인터넷이 가진 본질적 힘이다. K-Classic 뉴스가 바로 그 전환의 중심에 서 있다. 이미 ‘케이 클래식(K-Classic)’이라는 상표는 세계 곳곳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하나의 브랜드가 되었다. 클래식 음악계에서 장르·공연·콘텐츠를 아우르는 플랫폼형 브랜드는 K-Classic이 사실상 유일하다. 이 독보적 지위를 지렛대 삼아, K-Classic 뉴스는 예술계 최초의 ‘브랜드 언론’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예술가들의 인식 전환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