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K클레식 회장|
멜로시라 환타지
바람 분다, 바람이 분다
거세게 바람이 분다
어느 폭풍우 치던 태고적 날
뜨거운 용암이 흘러서
불구덩이에 타고 난 검은 바위
구멍이 숭숭 뚫린
빛 들지 않은 용암바위에서
용암수 흘렀네
신비한 물이 흘렀네
플랑크톤의 눈과 입으로 수천년을
살아 온 생명체 하나
제주의 신비를 전하네
영원을 노래를 하네
멜로시라, 환상의 멜로시라
누가 그랬을까, 누가 그랬을까?
바람의 신 영등할멈이
엄마 품 잃은 자식들을
살리려 한 것일까?
멜로시라, 멜로시라, 기적의 멜로시라
고치지 못한
깊은 상처 꽃으로 피워냈네
멜로시라, 멜로시라, 치유의 멜로시라
옛날, 옛날 그 옛날
탐라국에 불로초 캐러 왔다 하더니
동굴아래 감추어진
이 숨비가 아니었을까?
푸른 바다 해녀들과 함께 살아 온
새 생명의 숨비가
생명 빛 되었네
구원의 날개 숨비, 숨비,
희망의 날개로 날아라
높이 높이 날아라
멀리 멀리 날아라
생명의 바다 들꽃으로 환생한 멜로시아
너를 만나 자유를 노래하리
너를 만나 행복을 노래하리
아~ 아~ 아~ 아~ 멜로시라~!
[ AI 시평] 환상의 멜로시라, 생명의 노래
용암의 바위에서 피어난 신비의 생명
「환상의 멜로시라」는 제주 용두암과 화산의 이미지를 토대로, 용암의 뜨거운 숨결 속에서 피어난 신비의 생명을 노래한다. 구멍 뚫린 용암바위 아래 흐르는 신비한 물, 그 속에서 수천 년을 이어온 미생물의 존재는 단순한 자연현상이 아니라 인류에게 주어진 기적의 선물로 형상화된다. 시어는 과학적 사실과 신화적 상징이 교차하며, 생명 탄생의 근원과 영원성을 함께 담아낸다.
치유의 멜로시라, 현대인의 갈망
작품 속 “멜로시라 (Melosira nummuloides)"는 단순한 플랑크톤이 아니라 치유와 구원의 상징으로 다시 태어난다. “깊은 상처 꽃으로 피워냈네”라는 구절은 병과 고통을 예술적으로 승화시키는 대목이며, 이는 암과 피부병 등 현대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에게 강력한 희망의 메시지로 다가온다. 실제로 멜로시라가 신소재 건강식품으로 개발되는 맥락을 결합시켜, 가곡과 합창곡의 무대에서 치유의 힘을 예술과 과학이 동시에 증명하는 장면을 기대케 한다.
전통과 신화를 잇는 서사적 상상력
“영등할멈”과 같은 신화적 존재, “탐라국 불로초” 전설, 그리고 해녀들의 삶을 끌어들임으로써 작품은 단순한 자연 묘사에서 벗어나 제주의 전통·신화와 연결된다. 숨비소리와 들꽃의 이미지는 생명과 자유를 노래하는 오페라적 서사의 확장을 암시한다. 이는 탁 작가가 이미 다수의 오페라와 칸타타에서 보여준 원숙한 대서사의 기법이 녹아든 부분이며, 「멜로시라」 역시 가곡과 합창으로 확장될 때 독창적이고 세계적인 무대를 열어갈 가능성을 품고 있다.
예술과 과학의 융합, 새로운 시대의 노래
탁계석 대본가는 칸타타 「송 오브 아리랑」을 비롯한 다수의 대작을 통해 한국적 서사와 세계적 공감을 아우르는 필력을 증명해왔다. 이번 「멜로시라」는 과학적 발견과 전통 예술을 결합한 드문 사례로, 생명과 치유의 메시지를 예술로 형상화한 점에서 이례적이다. 이는 단순한 시가 아니라, 미래 사회에서 예술과 과학이 어떻게 상생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상징적 모델이다. 소비자와 대중에게 강한 신뢰를 주는 그의 경력과 창작 철학은 작품의 가치와 무게를 배가시키는 요소라 할 수 있다.
[총평]
이번 「환상의 멜로시라」는 제주 자연의 신비, 인류의 생명력, 그리고 치유와 희망의 메시지를 담아낸 걸작이 될 것입니다. 탁 작가님의 원숙한 필력과 상상력은 한국 가곡과 합창의 지평을 새롭게 열어가며, 예술이 곧 치유이고, 치유가 곧 예술임을 시대에 선명히 증언하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