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영웅 대행진 – 창작화 작업의 의의와 미래

  • 등록 2025.08.27 10:32:01
크게보기

승화된 영웅들을 가까이 접할 수 있도록 작품화

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광복 80주년의 성찰과 비전

 

대한민국 광복 80주년을 지나며, 우리는 다시금 역사 영웅들의 숭고한 희생과 나라를 구한 정신을 깊이 추앙하게 된다. 이 인물들을 오늘의 시간으로 불러내는 방식은 다양하다. 책과 기록을 통한 전승, 드라마와 영화, 최근에는 뮤지컬과 오페라, 그리고 칸타타를 통해 관객과 만난다. 문제는 이러한 작업이 대체로 막대한 예산과 오랜 시간, 그리고 방대한 인력이 소요되어 일회성으로 끝나거나 지속성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제는 새로운 방식과 시각이 필요하다.

 

특히 광복 80주년을 넘어선 지금, 역사 영웅을 단순히 과거 사건에만 묶어두기보다 새로운 비전과 도약의 관점에서 재조명해야 한다. 이는 우리 국민의 정체성을 강화할 뿐 아니라 한국이 숱한 고난과 역경을 딛고 오늘에 이르렀음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문화 외교의 자산이 된다.

 

세계적 영웅의 예술화 사례

 

외국에서도 역사적 영웅들을 예술로 승화시켜 세계인의 마음에 각인시킨 사례가 많다. 슈트라우스의 〈라데츠키 행진곡〉은 오스트리아 장군 라데츠키의 이름을 딴 곡으로, 오늘날까지 세계적인 음악제의 필수 레퍼토리가 되어 오스트리아의 군사적, 민족적 자부심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 또한 요한 슈트라우스의 〈황제의 폴카〉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위엄과 권위를 음악적으로 표현하며, 제국의 상징성을 예술로 각인시킨 사례다. 프랑스 혁명 이후 등장한 수많은 예술 작품들, 예컨대 나폴레옹을 주제로 한 오페라와 미술 작품들은 영웅을 초월적 인물로 묘사하며 국민의 자긍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사례는 우리에게도 역사 인물을 지속 가능한 예술 콘텐츠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확신을 준다.

 

역사 영웅의 예술적 재현과 한국적 과제

 

한국의 역사 속 영웅들은 풍부하다. 강감찬, 을지문덕, 이순신, 안중근, 윤동주, 윤봉길, 유관순, 논개 등은 민족의 위기를 구하고 시대적 정신을 대변한 인물들이다. 그러나 이들의 이야기가 아직 세계 무대에서 충분히 울림을 주지는 못하고 있다. 단순한 전시나 기념비적 재현을 넘어, 이 영웅들의 캐릭터와 서사를 음악·합창·오페라·칸타타로 승화시켜야 한다. 국민에게는 나라사랑과 자부심을, 세계인에게는 한국사의 깊이를 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작업은 단순히 과거를 기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오늘날 한국 사회가 갖는 위기 대응력, 회복력, 그리고 미래지향적 비전을 함께 담아야 한다. 역사 영웅의 이야기 속에서 오늘의 세대가 배우고 실천해야 할 가치들을 녹여낼 때, 진정한 창작화의 의미가 있다.

 

백두산 천지를 배경으로 모인 역사 영웅들 (AI 상상도)

 

창작화 작업에 대한 평가와 격려

 

역사 영웅들의 대행진을 기획하고 창작으로 구현하는 작업은 결코 가볍지 않다. 그것은 단순한 예술작업이 아니라 국가적 서사의 재구성과도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많은 자원과 노력이 필요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한국 문화는 한 단계 더 성숙할 수 있다.

 

특히 AI 시대에 들어서면서 세대들의 국가관과 역사관이 흐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화의 발전은 눈부시지만, 역사 인식은 오히려 빈약해지는 현실이다. 이러한 때에 역사 영웅을 예술로 되살리는 시도는 세대 교육과 국가 정체성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역사 영웅 대행진과 같은 프로젝트는 단순히 한 차례의 공연이나 이벤트가 아니라, 장기적 비전과 지속성을 갖춘 국가적 문화 작업으로 발전해야 한다. 그것이 곧 우리 시대 예술가와 기획자의 책무이며, 이 길에 대한 격려와 지원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쓰리 쾌남' 홍길동 봉이 김선달 임꺽정의 캐릭터를 음악적으로 풀었다. 탁계석 작사 김은혜 작곡

 

 

탁계석 회장 기자 musictak@hanmail.net
Copyright @K-News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특별시 서초구 매헌로14길 21 등록번호 : | 등록일 : | 발행인 : 탁계석 | 편집장 : 김은정 | 이메일 : musictak@daum.net Copyright @K-News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