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김은정 기자 |
인류 문명의 기원을 관통하는 힘은 무엇일까. 제주대학교 교수이자 한국시치료학회 부회장인 원종섭 교수는 “그 답은 욕망”이라고 단언했다. 지난 13일 제주시 스크루지 펍에서 열린 특강 「와인과 인문학, 욕망2」에서 그는 신화와 철학, 문학을 아우르며 인간 본성과 욕망의 깊이를 짚어냈다.
이번 강연은 *“치유의 날개(The Wings of Healing)”*를 주제로, 이브와 릴리스, 헬렌과 칼립소 등 신화적 인물을 통해 욕망의 기원을 조명하고, 스피노자·라캉·쇼펜하우어·프로이트 등 사상가들의 사유를 인용하며 욕망이 인간 정체성과 삶의 의미를 결정짓는 본질임을 강조했다.
원 교수는 “예술은 관음이며, 예술가는 욕망을 투사한다”고 지적하며, 금지된 사랑과 예술의 파격이 결국 에로스에 닿아 있음을 분석했다. 이어 블레이크, 보들레르, 예이츠의 시를 통해 “치유는 창조적 긴장과 표현, 그리고 자기 인식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제시했다.
행사 현장에서는 원종섭 교수의 시집 《로맨틱한 틈새》 친필 사인본이 참석자들에게 증정됐다. 그는 “자기 인식이야말로 행복의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하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이번 특강은 문학과 철학, 예술과 치유를 아우르는 폭넓은 사유의 장으로, 인간 본성과 욕망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을 제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