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인류 문명의 발상지도, 산업과 무역의 중심지도, 문화의 흐름도 바뀐다. 언제나 세상은 그 중심과 위치를 변경시켜 오면서 발전해왔다. 현대사회 역시 자본과 경제, 돈을 따라 움직인다. 예전에는 무역상이 있었고, 중간에서 판매하는 거래꾼들이 있었다. 이제 온라인에서 모든 것이 팔리면서 점차 공간들이 힘을 잃어가고 있다. 유명한 백화점이나 마트 역시 장소나 위치가 아니라 택배로 온라인으로 변화하고 있다.
서양 오페라의 발상지인 밀라노나 이태리 문화가 오페라를 탄생시켜 실로 오랜 영광을 누렸고 세계 표준화를 만들어 냈다. 그러나 이제는 한국의 K콘텐츠가 중심이 되는 세상이 왔다. 가장 훌륭한 응축력을 갖고 있는 오페라를 내세워 한국문화의 현대성을 보여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우리 오페라 시대를 열고 우리가 플랫폼을 만들어서 세계에 수출해야 할 단계이다. 그러나 모든 관습과 제도는 과거의 고정관념에 묶여서 나가지 못하고 있다. 오페라하우스가 없는 것은 마치 축구나 야구에서 전용 구장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무늬만 오페라하우스가 되지 않으려면 관객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예술의전당, 대구오페라하우스, 건립중인 부산오페라하우스의 하드웨어가 있지만 서양 오페라 축제가 중심이고 한국오페라는 형식적인 구색맞추기에 그쳤다. 그러나 이제는 패러다임을 바꾸어서 '한국오페라 축제'를 만들어야 한다. 그간 소외되었던 지역을 돌며 오페라 관람과 예술가들에게도 무대 제공의 기회를 주어야 한다. 이것이 문화 균형 발전과 형평성에도 맞지 않겠는가! 상생의 선순환 구조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오페라는 문화의 총체이고 오페라는 압축이다.매너리즘에 빠져들고 있는 서양 오페라 축제에 K 오페라가 새로운 환경을 만들고 비상하는 새 출발이 필요하다. 해방이후 오랜 수입구조하의 오페라 상품이 이제는 내수시장을 키워 수출로 전환해야 할때가 바로 지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