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lassic News 탁계석 회장 |
양재동 세계적인 MAP 종합건축설계 회사 지하 1층에 있는 에제르홀에 청중들로 가득하다
버스킹(Busking)은 길거리에서 공연을 하는 예술 활동을 뜻하며, 전 세계적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기원은 고대 이집트, 그리스, 로마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광장에서 악사, 곡예사, 마술사 등이 대중을 위해 공연하며 생활비를 벌었다. 이후 중세 유럽에서는 음유시인(Troubadour)과 방랑 예술가(Minstrel)들이 귀족이나 왕실 앞에서 연주하는 한편, 도시와 마을 광장에서 대중을 위한 공연을 펼쳤다.
근대 (16~19세기)인 산업혁명 이후에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거리 공연은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런던, 파리, 뉴욕 같은 대도시에서 거리 공연이 중요한 문화 요소가 되었고, 19세기에는 클래식 음악가들도 길거리에서 연주하곤 했습했다. 클래식이 궁중의 지원을 받던 것에서 귀족 형태가 사라지면서 가져온 당연한 결과다. 이는 20세기 이후 1960~70년대에는 포크송과 록 음악이 대중화되면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거리 공연 문화는 더욱 활성화되었다. 1980년대 이후, 세계 주요 도시(뉴욕 타임스퀘어, 런던 코벤트 가든, 도쿄 시부야, 서울 홍대 등)에서 거리 공연이 하나의 확실한 문화로 자리 잡았습니다. 그러니까 단순한 생계 수단을 넘어 예술가들이 자신을 알리고 소통하는 플랫폼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달라진 것이다.
K클래식이 가곡 보급에 앞장서고 있는 세미나레 콘서트에 함께 했다
우리도 대중음악에선 꽤 오래전 부터 대학로나 신촌 등에서 언드그라운드의 젊은 아티스들이 버스킹을 통해 자신들부터 즐기고 시민 문화 향유에 즐거움을 나눴다. 그러나 클래식에서 버스킹은 이뤄지지 않았다. 클래식은 점찮다, 고상하다, 거리에서 하면 격이 떨어진다 등의 고정관념탓인지 지금도 거의 찾아 볼수가 없다. 거의 한국에서 최초로 버스킹을 한 것은 성악가 노희섭 테너가 독보적 위상을 갖고 있다. 그는 1,000가 넘는 버스킹을 해 기록을 세웠다. 필자는 그 가치를 인정해 평론가 상을 수여하기도 했다.
이번 오창호 리더가 있끄는 세미나레 콘서트는 거리음악회의 버스킹은 아니지만 그 같은 정신과 맥을 같이 하는 실내 버스킹이라 할수 있다. 정확히는 살롱음악회 형태이지만 함께 하는 팀원들과의 행동력은 가히 버스킹과 다를 바 없다.
이것은 공간의 가치에 목적을 두는 대부분의 클래식 연주자들과 궤를 달리라는 행동파 예술가이다. 용기, 팀웍, 경제적 고통을 넘어 연주를 제1의 목표로 삼으며 시장을 개척하려는 단합된 의지다. 수많은 음악가들이 유학, 콩쿠르 우승, 에콜노르말 박사를 따 왔지만 타 업종의 일로 생계를 꾸려가야 하는 것과는 분명히 다르다.
누구나 무료로 예술을 경험하면 거리를 좁히려는 노력이 자신의 탄탄한 예술 성장이 됨을 느끼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거리 공연이 활성화되면 그 지역이 문화로 활기찬 공간으로 변한다. 세미나레 콘서트가 경험을 축적하면서 스스로 진화의 과정을 발견하게 되면서 확신을 갖게 한다. 이들의 자유와 헌신적 활동에 감동을 받은 지지자들이 생기면서 더욱 탄력을 받게 되는 것도 예술의 선순환 생태계 형성이란 점에서 고무적이다.
참석한 청중들이 사랑으로를 합창하며 한 호흡의 열기를 끌어 안았다
오창호 토브뮤직 대표는 '문화에 전혀 몰랐던 일반인들 조차 왜 이렇게 멋진 예술을 뒤늦게 알았을까? 하는 관객들의 만날 때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예술가는 조명을 받는 직업이어서 자신에게만 집중될 뿐 상대를 배려하는 입장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예술이 기술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수많은 경험과 환경의 적응을 통해 원숙미와 다양한 표현이 살아난다고 할 때 적응력 지수는 결국 예술의 맛으로 이어진다. 동일한 재료를 쓰는 식당이 수천, 수만이 있어도 맛집이 다른 이유처럼 관객들이 감동하는 것에는 이유가 있지 않겠는가. 공간에 대한 특권의식을 버리고 음악이 좋고 청중이 있으면 어디든 달려간다는 자세야 말로 버스킹을 넘어 모든 예술행위의 근본이 아닐까 싶다.
버스킹이 활성화될수록 문화적 다양성이 풍부해지고, 새로운 예술가들이 탄생하며, 지역 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있다. 대학이 이를 커리큐럼으로 받아 들이는 전진적인 관점 변화도 필요하다. 세미나레 콘서트가 머지 않아 해외 글로벌 시장 개척에 나설 것이라고 하니 K클래식 입장에서 환영이다. 이들이 개척해 가는 추진력이 무대를 잃고 방황하는 이들에게 용기가 되고 청중에게는 삶의 행복과 즐거움이 되는 것이라 굳게 믿는다. 이들을 후원하는 것은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보이지 않는 등 뒤의 바람과도 같다.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고비가 있고, 위기에 벼랑끝에서
눈물 흘린 적이 있을 것이다. 흙먼지의 소용돌이가 치는 오늘의 세태에서 샘처럼 정화감을 느끼는 음악, 예술, 문화가 더욱 필요한 때가 바로 지금이다.